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스막골 Aug 23. 2023

'불혹'이 뭐야? 먹는 거야?

공자께서 이르시길 40세에 이르면 세상 일에 정신을 빼앗겨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다고 했다. 이런 글을 볼 때마다 인간은 기술의 발달로 수명이 연장되고 몸은 편해졌지만 정신적인 성숙은 전혀 이루지 못 한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나만 그런가 싶기도 하고......


보통의 부모님들처럼 우리 부모님도 자식들이 공무원이나 선생님이 되길 바랐다. 그렇다고 특별히 강요한건 아니지만 조금 기대했고 속으로 많이 아쉬워하셨다. 세상 일에 치이던 어느 날 동생에게 푸념하 듯 '그때 아빠가 하라고 할 때 공무원 시험공부나 할 걸 그랬나 봐'라고 했더니 바로 돌아온 대답이 '그래, 언니 그때 했으면 될 수도 있었겠지. 그리고 지금 아마 울면서 출근하고 있을걸'이었다. 그날 이후로 나는 다시는 그런 아쉬움을 토로한 적이 없다. 맞다. 나는 같은 일을 오래 반복하지 못하는 특이체질을 가지고 있다.


겉으로 보면 참 순하게 생겼다. 어떻게 보면 만만하게도 생겼다. 대부분의 일에 욕심이 없는데 관심이 많다. 그래서 얌전히 성실하게 잡음 없이 일하게 생겼는데 꼭 한 번씩 사고를 친다. 다른 거 다 뺏겨도 괜찮은데 꼭 하나 죽어도 양보 못 하고 죽기 살기로 고집을 부리는 일이 있다. 웬만한 욕심쟁이 이기주의자 다 받아주는데 식당 점원이나 편의점에서 젊은 아르바이트생에게 반말짓거리 하는 사람하고는 다음부터 눈도 안 마주치다가 서서히 손절한다. 이런 성격으로 공무원 조직에서 상명하복 하며 살아남을 수 있을까. 동생 말대로 아침마다 울며 출근하거나 중간에 누구 들이받고 퇴사했을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흑화 해서 내가 제일 높은 자리 올라가서 다 뒤집어 버리겠다고 설쳤을지도.


한 분야에 오래 있으면 10년. 그 외엔 궁금하면 꼭 해봐야 하는 성격 상 여러 일을 거쳤다. 물론 나도 속으로 불안하지 않았던 건 아니다. 이게 맞나? 이 일을 하게 되면 그전에 하던 일은 다 헛짓이 되는 거 아닐까? 그럼 인생을 낭비한 게 되는 걸까?


확실히 (만) 37세부터 어른들 말을 수긍하기 시작했던 거 같다. 그때 결혼했거든. 세상에 내가 결혼이란 걸 할 거라고 기대하는 사람이 가족 포함 단 1명이 없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결혼 선언을 하면서 나는 세상 일에 '장담'이란 걸 함부로 하면 안 된다는 진리를 뼈저리게 받아들였다. 주변에서는 다들 축하보다는 '세상에 이런 일이'에 제보할 듯한 자세여서 한동안 내가 멀쩡하다는 걸 설명하느라 진을 뺏다.


그 후엔 시의원을 하면서 그동안 내가 거쳐온 직업과 경험들을 죄 다 꺼내서 쓰는 경험을 하게 됐다. 배우면 언젠가는 써먹는다는 어른들 말이 맞았다. 오히려 지방에서 하기 어려운 일들을 해본 경험이 나를 박학다식한 사람으로 만들어줬다.


그렇게 40대가 되니까 한 가지는 조금 나아졌다. 크게 일희일비하지 않게 된 것이다. 세상 일에 통달하여 흔들림이 없는 정도까지는 불가능하고 그저 '지금, 전혀, 이해는 안되지만 지금, 당장, 내 눈에 안 보이는 이면이 있겠지' 정도는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까. 세상이 꼭 '1 + 1 = 2'의 법칙으로만 흘러가지는 않고, 사실 이 '1'도 내 수준이 부족해서 1.0002 이거나 0.999934 인 차이점을 못 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1'이 '1'인지조차 모르는데 답이 '2'가 되지 않는다고 화내면 무엇할까!



매거진의 이전글 나도 꽤 괜찮은 친구가 되어주고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