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 Han Nov 28. 2019

비정성시를 만나던 푸르스름한 저녁

권성우 

카페                                          

[ 비정성시를 만나던 푸르스름한 저녁].. 글 제목이 우선 문학적이다.. 비정성시란 영화 재목인데, 1947년 2.28일부터 같은 해 5월 16일까지 발생한 대만 전역에서 일어난 민중봉기 사건을 영화한 내용이다.. 양조위 주역..  말미에 푸르스름의 한글 어법을 사용하여 신비로우면서도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비평가이자 산문작가 이기도 한 저자는 자신의 세대를 풀어내면서 근대와 현세 그리고 미래도 같이 내다 보고자 하였다. 


시대상을 반영하는 영화가 비정성시라면, 인간의 내면을 타고 흐르는 사유에 대한 방법론에서 일본에 있는 한국인 자이니치 문학의 정수 화산도를 거쳐 다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라는 100연전의 미국의 모습을 반추한다. 


몸은 한국에 살아가지만 , 다양한 사고와 나라를 건더 뛰는 상상력 그리고 위대한 문체와 문학 영화와 사람이 있다면 기꺼이 붓을 꺼내 들고 한 줄 한 줄 느낌과 글을 써 내려간다. 


이미 고인이 된 최인훈의 광장이라는 소설 형식을 빌어서 남과 북도 아닌 중간 회색지대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의 서성임처럼 작가도 한때 이방이 이었지 않았을까... 


학교 MT 버스에서 고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듣고 , 불안해하던 10대, 자유분방함 속의 20대에 속엔 건너가기 어려운 사회정의의 벽이 있었고,, 30대에 들어 사회생활하면서 주변을 돌아보며 , 40대에 치열했던 생존 경쟁 방식에서 어느 정도 살만해졌지만 후반 들어 기다리고 있는 다시 회사의 명퇴 , 공장의 퇴거 , 철수 등 ,  


비평가로서의 세상 읽기는 먼저 떠난 사람들에 대한 회한이다. 고 노무현 대통령과의 가상 대화도 그렇고, 고 노희찬 의원을 명복을 빌면서 한 사회의 또 다른 단면을 느끼는 심정,  


디아스포라 , 재일 조선인으로서 고독을 느낀 서경식의 책 읽기, 사방이 막힌 그곳에서 오롯이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방식 꾸준한 책 읽기,,, 무라카미 하루키도 젊은 시절 오로지 남들과 뛰어나게 잘하게 된 것은 책 읽기였다고 회고하였고 작가가 된 이후 꾸준히 몸 관리를 해오며 집필 시간을 정해서 글 쓰기를 할 만큼 자기 관리에도 철저하다. 


그의 글은 여러 장르를 시험적으로 시도하였는데 하나의 수필뿐만 아니라 , 편지글 , 칼럼, 추모사 등 산문의 여러 형식을 내어 보기도 하고,  에세이 적인 측면에소서 이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 


종종, 개인적인 내밀화는 타자와의 관계성에 있어서의 매개체가 되기도 하다. 다시 볼 수 없는 혹은 생전에 만나본적 조차 없는 작가 들에 대한 단상은 그의 상념일까, 최인훈 , 김윤식, 노희찬, 허수경 등 최근 몇 년 사이 세상을 떠나신 분들에 대한 각별한 이병의 정이 애서롭다. 


다시 연화와 사람으로 돌아가면 근대 혹은 우리나라와 비숫한 해방기를 맞이한 대만, 그 속에서 우리보다 더 긴 약 40여 년간 일제 통치와 압박을 받아 욌던 그들에게 다시 외성인에 대한 압박은 더 이상 견디기 어려었으리라 ,,, 


또한 , 해방이 되어서도 일본에 잔류에 남아 있게 된 조선인, 남 혹운 북에도 속하지 못한 그들은 자이니치란 이름으로 하나의 영역을 형성하고 있고, 이는 다시 최인훈의 소설 [ 광정]에서 이명훈의 이념과 현실 속의 괴리를 형상화해 보여 주는 듯하다. 


이야기를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면 , 우리 이방인의 역시 , 청교도의 역사를 써 내려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는 어떠할까,, 새로운 나라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나간 그들과 동양에서의 디아스포라와는 대비되는 많은 면이 보이는가, 


자유는 결국 쟁취하여야 하는 것인가 , 그냥 주어 지는 쉬운 일들은 세상에 없고, 흔적 조차 남겨놓지 못한 익명의 소리 없는 외침들은 그냥 , 저 푸르스름한 어느 날 저녁노을 너머 한 퀴퉁이에서 소리 없이 밤이 되어 사위어 가는 것을 느낄지도 모르겠다.. 그대는 ,,, 


장르와 시 공간을 넘나들며, 자신의 시대를 회고하고 단상으로 이끌어 내었던 저자는 다시금 비정성시의 물 흐르듯 흐르던 시절의 감성을 바라보고 싶어 졌을까,,, 엔리오 모리 꼬리의 영화 음악 테제에 맞춘 에전 LP 판의 음원들은 지금쯤 어디에서 잠들고 있을까,,,  실존하는 우리들에게는 어쩌면 이곳이 디아스포라 진행형 인지도 모를 일이다.. 책력 거 99. 


--------------------------------------------------------------------------------------------------------------


Value up tip. 대만 2.28 사건 


2·28 사건(二二八事件)은 1947년 2월 28일부터 같은 해 5월 16일까지 대만 전역에서 일어난 민중봉기 사건이다. 중화민국 정부 관료의 폭압에 맞서 대만의 다수 주민인 본성인(本省人)들이 불만을 표출하며 항쟁을 일으키자, 중국 국민당을 위시한 외성인(外省人)들은 본성인을 폭압적으로 학살했다. 대만에서는 2·28대 학살[二二八大屠殺], 2·28 혁명, 2·28 봉기[二二八起義], 2·28 사변 등으로도 부른다. 


배경[편집]


대만 반환[편집]


1895년 4월 17일청나라가 청일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체결된 시모노세키 조약(下關條約)으로 대만(臺灣)과 펑후 제도(澎湖諸島)는 요동반도(遼東半島)와 함께 일본제국에 할양되었다. 일제는 대만총독부를 설치하여 51년간 대만을 식민 지배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하고 그 해 10월 17일 국민혁명군이 대만에 상륙함으로써 중화민국은 대만과 펑후 제도를 영토로 회복하였다. 1945년 10월 25일 대만 주둔 일본군은 중화민국 소속 국민혁명군에 정식으로 항복하였고, 이날부터 대만은 중화민국의 영토로 완전히 복귀되었다. 


그러나 중국 국민당이 집권하던 중화민국 정부는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내전(國共內戰)으로 인해 대만에 정예 관료나 군인을 보낼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행정단위인 성(省)을 설치하는 대신 천이(陳儀)를 대만성(臺灣省)의 행정장관 겸 경비 총사령으로 임명해 이 곳을 국민혁명군의 군사점령지역처럼 관리했다. 대만에 대한 군사통치는 현지 주민들의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기는커녕 일제의 식민통치행태를 답습하는 수준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 청일전쟁 이후 50년간 일제의 지배와 수탈을 받던 대만 주민들은 새 중화민국 정부에 대한 기대가 컸다. 하지만 그들의 통치는 본토에서와 다르지 않았고, 일제(日帝)의 식민통치 이상으로 가혹했다. 


본성인에 대한 외성인의 차별[편집]


이 과정에서 대만 사회는 종전부터 대만에 살고 있었던 본성인(本省人 [2])과 1945년 광복 이후 중국 대륙에서 새로 이주해온 외성인(外省人 [3])이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계층 간의 극심한 분열과 대립을 겪게 된다.  



신임 장관(천이)은 수행원들을 대동하고 그 섬에 도착하였는데 수행원들은 교묘하게 대만을 착취하기에 바빴다……. 군대는 정복자처럼 행동하였다. 비밀경찰은 노골적으로 민중을 협박하며 본토에서 온 중앙정부의 관리가 착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였다. 


북한강 푸르스름 무렵의 저녁 어느날 







매거진의 이전글 모든 공간에는 비밀이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