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라는 말이 있다. 이 바쁜 세상에 마트 가면 생수를 파는데 구태여 힘들여 우물을 파야할까? 그러나 한번 파놓은 우물에서 물을 팔고, 이것이 지속적으로 부를 주는 원천이 된다면 이야기가 틀려진다. 나는 우물을 직업에 비유한다. 세상에는 먹고사는 여러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들이 많다. 젊을 때야 직장 다니며 마트에서 물을 구할 수 있겠지만, 자신만의 고유한 직업이 없다면 언젠가 또 이리저리 물을 찾아 유랑해야 한다.
사람은 변화가 반갑지 않다. 특히, 매월 따박따박 월급을 받는 사람들도 우물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당장 뛰어 나가기 싫다. 우물을 팔 장소도 애매하고, 돈도, 도구도 없어서 그냥 묻혀 살고 싶다. 그렇지만 언젠가 변화를 강요당하는 시점이 오는데, 미리 좀 변해서 우물을 팔 장소와 도구라도 사놓으면 좋지 않겠는가? 많은 사람들이 자기 개발을 통해 우물을 파기 위해 준비를 한다. 나도 그렇지만, 당장 목마르지 않으니 건성건성 노력하고 절박하지 않다.
나는 우물을 찾을 수 있을까? 이런 상태로는 못 찾을 것 같다. 무엇인가에 미쳐버리던지, 살아남으려는 강한 생존 의지라도 있어야 하는데 너무 심약하다. 그러나 나만이 지켜야 할 삶의 가치나 소명을 찾을 수 있다면, 누군가가 옆에서 말려도 우물을 팔 장소까지는 갈 수 있을 것 같다. 사실, 기업들도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가치, 즉 미션과 비전을 세운다. 이를 통해 업의 방향성과 지속성을 강화하는데, 이런 맥락에서 개인들도 가치 기준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미래의 직업과 관련된 미션과 비전을 가정해 만들어 보면 어떨까? 예를 들어 미션(Mission)은 자신의 근원적인 존재 이유, 직업의 목적과 원칙 등. 그리고 비전(Vision)은 직업의 구체적인 미래 모습, 자신의 사회적 지위, 달성 방안 등이 있을 것이다. 좀 거창하고 배부른 소리인가? 하지만 표현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지 누구나 머릿속에 있다. 자신은 속일 수 없다. 이것을 명확하게 정리해 매일 쳐다보면서 심장이 두근거리고 뛴다면 먼 길을 가는데 힘이 된다.
성공이 꿈과 계획이 있다고 해서 다 성취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목적과 방향성을 가지고 얼마나 지속을 할 수 있느냐다. 우리가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스스로 꿈을 포기했기 때문이지 않을까? 이 나이에, 내 학력에, 기술도 없고, 돈도 없는데 라며 자신의 활동과 행동을 제한한다면 현실은 변화가 없다. 중장년층의 경우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통해 자신의 성향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직업 방향을 잡지 못해서가 아니라 현실적 포기다.
자신이 살아온 경험과 지식은 우물을 파는 기본 도구다. 이 도구를 업그레이드시켜 직업을 만드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누가 대신해 줄 사람도 없다. 어떤 경우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항상 좋은 결과가 생기는 것도 아니다. 전화위복이라는 말처럼 인생은 전인미답으로 어떻게 전개가 될지 모른다. 새로운 선택에는 정답과 오답이 공존하지만, 진인사대천명이란 말처럼 일단 선택한 다음에는 정답을 만들려는 노력까지는 사람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 ReCar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