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히 혼자 묵독으로 책을 읽으면 빨리 읽을 수 있다. 다른 사람과 호흡을 맞출 필요도 없이, 내 속도에 맞춰 눈으로 읽는게 속도가 빠른건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혼자서는 꾸준히 읽기가 쉽지 않고, 혼자 읽다 보니 집중해서 읽지 않고 페이지를 대충 넘기는 경우도 많았다. 어떤 날은 단숨에 스무장도 넘게 읽지만, 어떤 날은 한 장도 읽지 않는다. 또한, 돌이켜보면 내가 좋아하는 장르의 책만 편식해서 읽는 경향도 있었다. 자연스레, 불편한 주제나 낯설고 어려운 책은 기피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북클럽을 통해 사람들과 책을 같이 읽으면, 많은 점을 보완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과 소리 내서 책을 읽는다는 것이 다소 생소할 수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꽤 재밌다. 내가 좋아하는 친구와 전화 할 때를 생각해보자. 친구가 말하고 내가 답하고, 주거니 받거니 이야기하다 보면, 어느새 1시간이 5분처럼 흐른다. 원서 낭독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내 차례가 돼서 낭독할 때는 집중력도 올라가고, 잘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좀 더 정성스럽게 읽게 된다. 원래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 관심이 제일 많은 법이다. 최소한 내가 읽은 부분은 낭독 스터디를 마친 후에도 제일 기억에 남게된다.
모르는 단어를 그냥 낭독하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될까 싶을 수 있다. 하지만, 한 번도 입으로 직접 말해보지 않은 단어를, 내가 나중에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그냥 눈으로 봤을 때 아는 단어라고 해도, 막상 소리 내서 발음해보면 머뭇거려질 때가 있다. 대부분의 영어교육이 시험 준비를 목표로 진행되다 보니 소리 내서 말하는 것에는 낯설고 쑥스럽다. 완벽한 발음이 아니면, 굳이 말하고 싶지 않고, 틀린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렌지] 면 어떻고, [오륀지], [아륀지]면 어떠랴. 처음에 Orange 란 단어가 나왔을 때, [오렌지]라고 발음하더라도, 다음번에 나올 때 원어민처럼 흉내 내서 발음해보자. 북클럽 다른 멤버들이 멋지게 읽는 것도 따라해 보고, 영어사전에서 발음 듣기도 들어보자. 그러면서 조금씩 입에 척 붙는 단어가 되도록 연습하는 것이다. 그 첫 시작은 옹알이가 되더라도, 일단 소리 내서 발음해보는 것이다.
왜 우리는 책을 낭독하는 것일까? 소리를 내서 읽는 것은 내가 확실히 그 문장을 이해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과정이기도 하다. TVN의 <책의 운명> 이란 다큐에서 ‘낭독의 중요성’에 대해 다룬 대목이 나온다. 독일은 연간 독서율이 81.1%로 세계 최고다.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를 발견한 나라, 최고의 문학 지성들이 모여있는 곳인 이곳에서도 낭독을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독일인들에게 책을 '듣는' 것은 책을 읽는 것만큼이나 일상적이고 중요한 문화생활로 자리 잡혀있다고 한다.
독일이 낭독을 강조하는 이유에 대한 이어령 님의 인터뷰가 인상 깊다.
“북유럽에서는 지금도 책을 소리 내어 읽도록 처음부터 낭독을 시키는 겁니다. 의미를 모르면 읽는 소리가 달라지는 겁니다. 그러니까 서로들 읽고 들어 보면 비로소 두 사람이 이해가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독일 사람들이 세계에서 가장 독해력이 뛰어난 사람입니다.”
- 이어령 님 인터뷰 ( <책의 운명> 다큐 중)
낭독을 하면서 내가 읽는 소리를 들으며, 내가 어떤 구문을 흐려서 발음하는지, 어떤 단어를 눈으로만 아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사람이 읽는 것을 들음으로써, 내가 아는 것과 비교할 수도 있다. 내가 잘 아는 문장은 누가 읽어도 편하게 들린다. 하지만, 내가 잘 이해가 안 되는 문장은 원어민이 읽어줘도 이해가 안 되는 것은 마찬가지다. 한번 읽었을 때, 이해가 안 됐던 구문은 따로 표시해두고, 낭독 후 다시 전체 문맥 속에서 이해해보면 수수께끼 풀리듯 이해가 되기도 한다. 낭독은 내가 이해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좋은 가늠자가 될 수 있다.
낭독과 묵독 중 어느 것이 좋은 것인지는 본인이 선택하면 된다. “배우는 단계에서는 낭독이 그 단계를 넘어설 때는 묵독이 좀 더 효과적”이라는 이어령 님의 생각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언젠가 묵독으로 휘리릭 원서를 부담 없이 읽어나갈 그 날을 위해! 오늘도 소리 내서 크게 읽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