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들 May 23. 2024

내 안에서 콘텐츠를 끌어 내는 법

빈 화면 앞에 앉는다고 바로 글이 써지는 것이 아니다

쓰고 싶지만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 의욕은 있는데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니 허공만 멍하니 쳐다보는 경우가 많다. 사실 글 쓰는 작업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바로 빈칸에 글자를 채우려니 안 되는 것이다.


다른 일도 그렇다. 집안일을 예로 들면, 설거지, 빨래, 걸레질 등 집안일을 앞치마를 걸치고 열심히 움직이는 모습으로만 생각한다. 설거지 하나를 할 때도 그릇만 씻는 것이 아니다. 우선 주방의 각 도구가 제 자리를 잡고 있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가 치워져 있어야 하고, 하수구도 깨끗해야 하며, 설거지 후에는 주변의 물기까지 닦아야 한다. 주기적으로 설거지에 쓰이는 소모품도 교체해 줘야 한다. 글을 쓸 때도 문장을 쓰기 전에 해야 할 여러 일이 있고, 물론 쓴 후에도 해야 할 일이 있다.


우선 쓸 거리를 생각해 내야 한다. 이 부분이 참으로 어렵다. 나에게 쓸만한 거리가 따로 있을까? 그렇다. 분명히 있다. 그걸 끄집어내기 위해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먼저 탐색해 보아야 한다.



1. 나에게 쓸 거리가 있다는 것 인식하기


쓰고 싶은 내용이 있는데 더 많이 배우고 공부해서 써야겠다고 생각하면 한도 끝도 없이 늘어지게 된다. 아예 시작조차도 하지 못한다. 나 역시도 그랬다. 오래전부터 작가가 되고 싶었는데 이렇게 생각해서 시작을 하지 못했다.


난 아직 부족해. 더 배워야 해. 난 아직 아는 것이 없어서 쓸 수 있는 게 없어.


이런 생각의 장점도 분명히 있었다. 계속해서 무언가를 배우게 한 힘이 되어주었던 것이다. 그런데 심각한 단점이 있었다. 계속 배우기만 하고, 배운 것을 적절히 나눌 줄 몰랐던 것이다. 내가 부족한 게 많은데 어떻게 감히 나눌 생각을 했겠는가?


그런데 어떤 사람의 눈에서 보면, 나는 아는 게 너무나도 많은 사람이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어딘가에 있다. 그런데 계속 나보다 더 잘 쓰고 아는 것이 많은 사람들만을 쳐다보면서, 나는 가진 게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다. 아무것도 시작할 수가 없었다.


관점을 바꿔 보았다.


나에겐 쓸 거리가 참으로 많다. 그동안 배운 것도, 겪은 것도, 읽은 것도 많다.


이렇게 생각하니 '내가 가진 것 중에서 무엇을 써 볼까?' 하는 질문을 꺼내게 되었다. 이것이 시작이었다.



2. 감정적으로 이끌리는 것에 주목해 보자


감정은 여러 역할을 한다. 복잡하고 좋지 않은 감정 때문에 고통스러울 때도 있어서, 감정을 그냥 느끼기 않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때도 있지만 말이다.


감정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중요한 정보를 놓치게 된다.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하고 필요한지 말이다. 감정만을 너무 앞세우고 거기에 휘둘리는 것은 좋지 않겠지만, 감정이 건드려지는 부분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곳에서 내가 하고픈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다.


특별하게 관심이 가고 특정한 감정이 느껴지는 부분이 있는가? 나의 경우에는 ‘소통’과 관련된 부분에서 늘 감정이 건드려졌다. 우리 집안은 워낙 소통의 양이 적었다. 부모님이 말을 거의 안 하셔서 나는 네 살이 될 때까지 말을 못 했다고 한다. 언어 장애가 있나 걱정했는데, 밖에 나가서 놀면서부터 말이 늘었다고…….


생각지도 못한 부정적인 상호작용도 많았다. 서로를 싫어하거나 했던 것은 아니었는데, 늘 서툰 표현 때문에 관계가 서걱거렸다. '우리 가족이 조금 더 표현을 잘했더라면 어땠을까?‘, 그래서 ’나 또한 표현을 잘하는 사람이 되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하는 생각을 늘 하곤 했다.


그래서 언론정보학과에 들어가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대해 공부를 오래 했고, 이와 관련된 글을 쓰고 또 썼다. 글을 쓰는 것도 그 긴 여정의 한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다.


나에겐 소통이 감정이 건드려지는 부분이었지만, 음식이나 옷, 사람, 꽃과 나무, 사회나 정치, 신 등 무궁무진한 것들이 어느 날 문득 자신의 감정을 건드릴 수 있을 것이다.



3. 나에겐 너무 당연한 게 다른 사람에겐 아닐 수 있다는 걸 떠올려 보자


나에게 너무 당연하고 자연스러워서 의식하지 못했던 것이 의외로 좋은 글감이 될 수 있다. 가정주부에게 집안일은 물이요 공기 같은 존재다. 늘 하고 있지만 딱히 특별하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이 집안일 가지고 엄청난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분들이 있다.  


‘직장에 다니는 평범한 샐러리맨’이라고 자신에 대해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따지고 보면 아무나 직장에 다니는 게 아니다. 주위를 둘러보아도 죄다 직장이어서 그렇지, 누군가에게는 직장에 다니는 회사원이 신기하게 보일 수 있다. 직장에 다니는 이야기도 충분히 이야깃거리가 될 수 있다는 거다.


나의 하루 속에서 콘텐츠가 될 만한 거리를 찾아낼 수 있다. 아니, 그래야 한다. 내가 가장 잘 알고 설명할 수 있는 영역이니까 말이다. ‘유치원에 가지 않는 아이, 울리지 않고 데려가는 법’, ‘초등생 긴 머리 엉키지 않게 빗질하는 법’, ‘미련 없이 물건 버리는 노하우’ 같은 내용이 있다면, 나는 꼭 읽어볼 것이다. 그러니 내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삶은 ‘누군가에겐 낯설고 신선한 것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보면 좋겠다.


글을 쓴다고 해서 바로 무언가를 적으려고 하지 말고, ‘나에게는 어떤 말을 해야 하는가’를 가만히 떠올려 보면 좋겠다. 그렇게 생각을 떠올리는 시간도 글을 쓰는 시간이다. 비록 다른 사람의 눈에는 ‘멍 때리는 것’으로 보일지라도.


내 안에는 말할 것이 많다. 다만 그것에 관심을 두지 않고 집중하지 않았을 뿐이다. 다른 곳에 좋은 것이 있지 않을까 기웃기웃하지 말고, 내 안에서 이야깃거리를 찾아보자.

이전 05화 억지로 하지 않으면서 꾸준히 글을 쓰려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