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쓰다 만 글을 마무리했습니다. 읽으시는 분들의 편의를 위해 어제의 글과 오늘 추가한 내용을 함께 올립니다.
11월 6일은 사무실 이사하는 날이었다. 오전에 짐을 싸 놓으면 오후에 이사업체가 짐을 옮겨주기로 되어 있었다. 나를 비롯한 우리 팀원에게 피씨는, 택시기사에게는 택시, 포클레인기사에게는 포클레인과도 같은 존재인데, 이삿짐 박스 안에 들어가 있다. 사무실에 남아 있는 것은 의미가 없었다. 대낮에 퇴근이라니. 이런 날에는 무얼 할까 다들 행복한 고민에 빠지기 마련인데, 오늘 내 선택은 아무도 없는 집 거실에서 오케스트라 음악 듣기였다.*
토마스 아데스의 '단테' 음반 커버
나중에 생각하면 정말 이상한 일이지만, 그날 건** 음악은 영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토마스 아데스(Thomas Adès)의 '단테'다. 이탈리아의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를 생각했다면 맞다. 그의 <신곡>을 관현악 발레음악으로 만든 것이다. 이 음악의 첫곡은 지옥편의 서막을 여는 'Abandon Hope', 즉 '희망을 버려라'다. 이 곡을 들을 무렵, 트럼프 당선이 확실하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후로 계속 지옥편의 음악***이 재생되는데, 귀로 들리는 음악보다 뉴스로 보는 현실이 훨씬 더 지옥같이 느껴졌다. 이어지는 연옥편은 이스라엘 유대교 회당에서의 하잔의 노래에 관현악으로 살을 붙인 것이다. 작곡가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트럼프의 당선으로 더욱더 기고만장해질 이스라엘, 특히 네타냐후의 얼굴이 떠올라 집중이 흐트러졌다.
뉴욕타임스에서 얼마 전 읽었던 기사가 떠오른다. 파시즘의 권위자로 추앙받는 로버트 팩스턴에 관한. 그는 파시즘이라는 말이 남발되는 것을 경계했지만, 2021년 1월 6일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사건 이후로 트럼프주의를 파시즘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견해를 수정했다. 파시즘이란 단어는 정치적 견해를 달리하는 상대방을 공격하는 데 있어서 마치 욕처럼 사용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가 그 의미를 충분히 곱씹으면서 상대방을 O새끼라고 욕하는 것은 아니듯이, 정치적 상대를 파시스트라고 칭하면서 그 의미를 정확히 알고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하지만 파시즘이 무엇인지를 세상에서 그 누구보다도 잘 아는 전문가가 트럼프주의를 파시즘이라고 했다면, 얘기는 다르다. 역사 상 가장 악명 높은 파시스트인 히틀러도 선거에 의해 총통에 올랐었다. 점점 파시스트화 되어가는 트럼프가 민주적 선거에 의해 세계 최고의 권좌에 다시 올랐다는 것은 역사에 어떤 의미가 될까?
사실, 파시즘에 대한 우려는 지나친 감이 있지만, 그의 당선 이후 달라질 국제 정세와 경제 변혁의 파장은 공포스러울 정도다. 이스라엘은 트럼프의 비호 아래 팔레스타인을 향한 인종청소와 착취의 강도를 노골적으로 더 높일 것이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비열한 침략에 결국 굴복할 것이다. 대만은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일 가능성이 한층 높아질 것이다. 북한은? 솔직히 잘 모르겠다. 북-미 관계가 개선될 가능성은 있지만, 하노이의 선례를 보면 결과는 더 안 좋은 방향으로 가게 되지 않을까?
우리에게 더 피부로 와닿을 경제 측면은 어떨까. 무리한 정치적 기준금리 인하와 중국에 대한 폭탄 관세가 실현된다면 멀잖아 물가는 다시 튀어 오를 것이다. 한편, 그렇지 않아도 대선 승리를 위해 한없이 부풀어진 미국 부채 규모도 훨씬 늘어날 공산이 크다. 많은 전문가들이 미국의 경기 하락을 예측해 왔지만 인디언 기우제처럼 번번이 빗나갔는데, 상술한 물가나 부채의 스트레스가 임계점을 넘는 순간 산사태가 몰려오듯 세계적 공황이 닥칠 수도 있다.
경제/시사 유튜버 박종훈****은 트럼프의 당선 확정과 동시에 <트럼프 2.0 시대>의 출간작업을 시작했다. 그 얘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트럼프의 당선을 가정하고 책을 써 왔다는 것이다. 그는 '박종훈의 지식한방' 채널을 통해 계속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과, 이를 대비하지 않고 카멀라 해리스에만 판돈을 거는 듯한 대한민국의 대처를 질타해 왔었다. 심리적으로는 박종훈의 이런 예측에 거부감이 있었지만, 결국 그가 맞았음이 드러났고 그의 혜안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논지를 보면 냉철한 자국우선주의가 인류애와 세계 정의를 가리는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이제 트럼프 2.0 시대다. 지난 미국 대통령 임기동안의 트럼프는 불을 뿜지 못하는 용이었고 삼지창 없는 포세이돈이었다. 이제 트럼프는 미국 상하원도 장악할 가능성이 높고, 그렇게 된다면 그는 입에는 불을 머금고 손에는 삼지창을 든, 2.0 버전으로 한층 파워풀해진 포퓰리스트 스트롱맨이 될 것이다. 우선 그가 전 세계를 향해 뿜고 던지는 불과 삼지창을 막고 피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박종훈 같은 선각자의 권고를 눈여겨봐야 한다.
박종훈 저, <트럼프 2.0 시대>. 교보문고
토마스 아데스의 '단테' 마지막 악장 천국편은 끝없이 상승하는 느낌의 주제가 미니멀리즘 풍으로 25분 간 변용하며 반복된다. 달 - 수성 - 금성 - 태양 - 화성 - 목성 - 토성 등, 단테가 상상한 천체의 계단을 하나하나 오르며 25분 간 상승하는 음악은 마침내 마지막 일이 분을 남기고 천구의 꼭대기인 청화천(Empyrean)에 도달하는데, 이때 신비로운 여성합창이 티 없고 맑고 정화된 열반의 상태를 노래하며 온 천구에 울려 퍼진다. 기독교적 직선적 세계관의 궁극점이다. 하지만 단테의 세계관과는 다르게, 현실세계는 다시금 지옥의 입구로 떨어지고 있는 느낌이다. 이것은 '우상향'의 큰 그림에서 잠시 존재하는 잡티인가, 아니면 세계가 근본적으로 갖고 있는 구제불능의 숙명을 보여주는 것인가? 100년도 안 되는 내 인생 동안 그 답을 알기는 어려울 것이다.
* 화창하고 선선한 가을날씨에 왜 라이딩이나 러닝 등 야외활동을 하지 않고 집에 틀어박혀 음악을 듣느냐라고 한다면, 관현악곡 결핍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답하겠다. 집에 아내나 아들이 있을 경우 오케스트라 음악을 충분한 음량으로 듣기가 어렵고, 가족 눈치를 보지 않는다 하더라도 관현악곡 감상은 늦은 시간 아파트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나는 대낮에 아무도 없는 집에 혼자 있을 흔치 않은 기회가 생기면 소파에 홀로 앉아 한 시간이 훌쩍 넘는 시간을 꼼짝도 하지 않으면서 말러나 쇼스타코비치, 또는 브루크너 등을 듣기를 좋아한다. 청승맞긴 하다.
** 음악을 '건다'는 표현이 지금도 어색하지 않고 입에 착 감긴다. 사실 내 경우 음악을 듣는다는 행위는 서버 피씨에 저장된 음원을 태블릿 피씨에 깔린 '룬'을 리모컨 삼아 스트리밍 기기로 보내는 것이고, 결국 탭 한다거나 터치한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기는 하다.
*** 토마스 아데스의 '단테'는 현대음악 같지 않게 조성적이고 얼핏 들으면 말러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썼을 법한 발레음악 같다. 1부 지옥편조차도 별로 지옥 같지 않고, 심지어는 감미롭기까지 하다.
**** 경제학 박사인 박종훈은 KBS 기자였고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등에 출연했다. 경제분야에서 꽤 유명한 KBS '박종훈의 경제한방'을 진행하던 유튜버이기도 했다. 올해 초 석연치 않은 KBS 사태를 겪으며 퇴사했고, 이제는 '박종훈의 지식한방'을 진행하고 있다. 그의 '박종훈의 지식한방'은 개설한 지 7개월 만에 구독자가 40만이 넘은 상태다. 박종훈이라는 알맹이가 빠진 KBS의 '경제한방'과 이제는 거의 비슷한 구독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