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주전장' 리뷰
영화를 보는 내내 과거 일본 문화를 접하던 경험이 떠올랐다. 일본 문화가 아주 자연스러운 유행처럼 돌던 때의 일인데, 일본인은 포장을 좋아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때의 느낌은 그대로 주전장 속에 등장한 일본인들에게로 향한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가 아닌, 우리가 어떻게 보이는가에 집착한다는 인상이 강했다.
주전장의 감독 미키 데자키는 일본계 미국인으로서 일본에서 교육자로 활동하며 유튜버도 겸하는 인물이다. 그가 영화를 만들게 된 계기는 영화 초반에 언급되듯, '위안부' 문제에 대한 유튜브 동영상을 제작했던 당시 일본 우익 네티즌에게 공격받은 것과 자신이 반일 인사로 여겨지던 상황을 보며 의아함을 품은 것에서 비롯된다.
그는 '위안부' 문제와 한일 갈등을 다루는 기자, 역사가, 교수 등의 지식인 계층이 공격받는 현상에도 집중한다. 그러면서 우익인사들이 찬양하는 일본인의 특성이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하고 허울뿐임을 우익인사의 입을 통해 고발한다.
주전장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간 본질을 다룬다. 위안부 문제가 어떻게 발생했고 어떤 과정을 걸쳐 진행되는 것이냐가 아닌, 이 문제를 다루는 이들이 어떤 본질을 지녔고 무슨 목표를 지녔는가를 바라본다. 문제는 그 본질들이 너무나도 얽혀있고 모순적이어서 이걸 말하기 위해 많은 이야기를 덧붙여야 한다는 점이다.
일본인의 본질은 주전장에서 말하고자 하는 문제의 본질과 동일하다. 일본 특유의 본질인 감추고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문화는 '위안부' 문제에도 동일하게 작용된다. 명백한 증거가 존재함에도 지속적으로 감추고 간접적으로 표현하면서 문제를 덮으려 한다.
비슷하거나 같은 시기에 일어난 전혀 다른 사건 증거물을 가져와 거론하는 사건은 거짓이라 주장하고, 생존자의 증언은 증거 없는 일방적 주장이라 말하면서 자신들 또한 증거 없이 일방적으로 의견을 주장한다.
재밌게도 감독은 우익인사들의 주장뿐만 아니라 한국의 '위안부' 관련 단체들, 더 나아가 미국과 유럽 등에서 벌어지는 한국과 일본 간의 진실공방에 집중하면서 무엇이 옳은가를 따지는 게 아닌, 의도가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감독에게 있어 '위안부' 논쟁은 진실이 무엇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왜 '위안부'를 금기시하고 이념 대립으로 이용되는가를 알고자 하는 목표에 가깝다.
이를 위해 감독은 인터뷰와 다큐멘터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한국과 일본의 주장을 대치함으로써 양측의 주장에 있어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과장 또는 거짓인가를 구분해내는 작업으로 시작한다.
중반부의 대부분이 이런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영화를 제대로 쫓아가지 않을 경우 '감독이 무슨 의도로 이런 걸 보여주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우익인사들과 일본 우익 단체에게 고용된 외국인들의 주장을 보여주며 그들이 말하는 게 틀린 것도 아니고 따져보면 맞는 말이긴 하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뒤이어 이런 주장을 한일 관계에 무지한 서양인에게 물어봄으로써 어느 쪽의 주장이 더 신빙성 있는가를 물어보기도 한다.
장면을 보며 어? 하는 목소리가 종종 영화관에서 울려 나왔는데, 바로 후반부에서 우익인사들이 주장하는 것들은 팩트는 맞는데, 전혀 다른 사건을 가져와 '위안부' 문제인 척했다는 진실을 말한다.
그러면서 다시 초반부와 중반부에서 나온 우익인사들의 인터뷰를 반복하며 이들이 했던 주장이 그대로 일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모순을 보여준다.
막바지에 이르러서는 우익인사들의 본심을 보여주며 동시에 이들이 가진 여성 혐오적 심리를 고발한다. 텍사스 대디, 토니 머라노, 의 매니저인 후지키 슌이치의 사상이 참 인상 깊었다. 그는 못생긴 여자가 페미니즘을 한다는 비하 발언을 하며 여성인권을 짓밟는다. 결국 그가 가진 여성 혐오적 태도와 안티 페미니즘적인 사고가 혐한과 결합한 것이고, 여성이자 한국인인 '위안부'에게 적대적 태도를 보이게 된 것이다.
그가 관리하는 토니 머라노 또한 여성 혐오적 유머를 내뱉으며 결국 이들이 '위안부'를 공격하는 것이 여성 혐오적 성향이 강하기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드러낸다.
다른 우익인사들 또한 다를 바가 없다. 여성 혐오를 하기에 한국인 여성인 '위안부'를 혐오하는 것이고, 감히 여자 따위가 성범죄 정도를 당했다 해서 목소리를 낸다는 게 그들에게 있어서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인 것이다.
생존한 일본군이 증언하길, 전쟁 이전 일본은 여성을 인간으로 여기지 않았다고 고백한다. 사실 이 같은 말은 그리 놀랍지 않다. 아주 오래전부터 일본은 여성인권이 낮은 국가로 손 꼽혔다. 소위 '사무라이 문화'로 불리는 가부장적 서열 체재가 일본을 지배하며 여성은 인간이 아닌, 남성의 소유물 따위로 여겨져온 탓이 크다.
한국의 여성인권이 낮아지고 가부장적 사고가 강화된 것 또한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문화의 유입에서 비롯된다. 이전에도 유교나 성리학으로 인해 그리 좋다고 할 순 없었지만, 적어도 여성 또한 인간이자 동등한 개체로 여겨온 문화들이 한순간에 무너진 것이다.
그러니 이들에게 있어 여성인권문제의 중심지인 '위안부'와 이들을 지지하여 목소리를 내는 페미니스트들이 얼마나 혐오스럽겠는가. 여성 혐오적인 문화를 강화하고 그것을 마땅히 일본적인 것으로 여겨온 이들에게 있어 여성인권은 곧 일본에 대한 대항으로 받아들여진다.
감독은 후반부에 페미니즘과 여성인권에 대한 한일 양측의 태도를 담으며 '위안부' 문제의 전장은 어디인지, 그 목적은 무엇인가를 되묻는다.
군복을 차려입은 채 행진하는 일본인들을 보며 전쟁과 군대가 참으로 남성적인 요소임을 다시금 느꼈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저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처럼 일본이 바라는 전쟁엔 오로지 가부장과 지배 권력의 두 가지만 존재할 뿐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나는 전쟁이 있기에 군대가 있는 게 아닌, 군대가 있기에 전쟁이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이 바라는 전장은 과연 국경 위일까, 그게 아니라면 여성의 위에서 일어나는 것일까? 감독의 말처럼 주된 전장이 어디인가를 바라봐야 할 것이다.
#주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