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rgen Jun 26. 2020

나무를 그리다.


나무를 그리다.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있는데, 이제부터 하는 이야기는 모두가 다 무지에서 나온 용감한 이야기로 알면 된다.미술에 대해 아는 사람이 들으면 피식 웃음이 나올 이야기들이다.
교회에서 십자가에 그림을 그리면서 처음으로 아크릴 물감 칠을 해봤다. 그 때 아크릴의 매력을알게 됐다. 그 매력이란 수채화와 달리 개칠을 해도 흉하지 않다는 것이다. 화이트를 쓰지 않고 농담으로만 색을 내던 투명 수채화보다 편한 것은 흰색을 섞어서 쓰는 것이었다. 수채화에서도 과슈에서는 흰색을 사용하지만 투명에서는 흰색을 안 쓴다.

아크릴 그림을 한 번 그려봤다. 순전히 일하기 싫어서, 일은 하기 싫고 그냥 빈둥빈둥 있을 수는없으니까 그림이라도 그려본 것이다. 어머니 표현을 빌리자면 나는 오방난장, 도깨비 쓸개같이 해놓고도 태평한 사람이다.

마치 재활용품 수거하는 장소처럼 떠벌려 놓은 상황에서 그림 그릴 생각이 나다니…

나무! 나무를 그렸다.
나무를 좋아하기도 하지만 순전히 편할 것 같아서 선택된 소재이다. 쉬울 것 같아서 나무를그렸다. 나무란 원래가 자유로운 형태 아닌가. 스케치한 선밖으로 붓이 나가면 ‘원래 나뭇가지가 굵기도 하고 가늘기도 한 것이지 뭐’하면서 넘어가고, 붓질이 거칠게 드러나면 ‘원래 나무는 이렇게 결이 있는거야. 매끄러우면 그게 유리지 나문가’ 이렇게 또 넘어간다.
색깔도 멋대로이다. 나무가 뭐 정해진 색이 따로 있나?
그리면서 나의 나무에게 말도 건다.
“야, 나무야, 너는 무슨 색깔이고싶니? 말해봐. 네가 원하는 대로 칠해줄께.”
무슨 색으로 칠하든 틀린 색은 아니다. 그래서 신난다.
형태는 또 어떤가. 그것도 내 멋대로 휙휙 그어댄다. 나뭇가지가 하늘을 찌르건 땅바닥을 기건 아무러면 어때, 그래도 틀린 건 아닌데 뭐.
이렇게 나의 나무는 완성되었다. 4그루의 나무가 책상 위에 나란히 놓여있다.
커피를 마시면서 색칠을 했는데 어쩌다 보니 내가 붓을 커피잔에 헹구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애매한 나무에게 마구 화를 내버렸다. “야, 너! 나무기둥! 너는 왜 하필 색깔이 커피랑 같은 색이니?” 붓을 헹구던 물과 마시던 커피의 색깔은 똑같았다.
나무 그리기가 생각만큼 자유롭진 않다.

가지가 제멋대로 뻗어도 정해진 공간 안에 여러 가지들과 서로 어울려야 하고, 색깔이 아무리 멋대로라도 한 공간 안의 다른 색들과 조화를 이뤄야 한다. 아무리 개칠을 해도 되는 아크릴 물감이지만 떡칠이 된 게 다 표가 난다. 사람이 외양을 매끄럽게 잘 포장해도 엉망진창인 속이 다 비치기 마련인것처럼.


A4 사이즈에 갇힌 나무 한 그루가 마치 우리네 인생과 똑같이 생각된다. 자유는 보장되지만 안하무인이면 안되고, 정해진 공간에서 한 군데 몰려 있어도 안되고, 튀는색도 멋있지만 다른 색과 어울리지 않을 땐 멋이 아니라 시각공해가 된다. 나뭇가지 마다 햇빛도 서로 나누어야 하고, 하늘도 서로 바라봐야 하고 바람도 함께 맞아야 한다.


공존하는 것들(생물이든 무생물이든)에게 방해가되지 않는, 곁에 있는 이들에게 해악을 끼치지 않는 참 평안하고 멋진 자유에 대해 생각해본다.


<행복해지는 약> 수록 글.

 


 


작가의 이전글 나무에 대한 기억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