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킴싸이트 kimsight Oct 24. 2021

나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었다. (2)

사람들은 저마다 친구처럼 가지고 있는 감정이 하나쯤 있다고 생각한다. 나에겐 불안이라는 친구가 있었다. 불안은 약하게 흔들리는 촛불처럼 마음 한 구석에 자리 잡고 있었다. 언제부터 자리를 잡고 있었는지, 왜 나한테 온 건지, 언제 나갈 건지 알 수 없었지만 그저 마음 한쪽에서 호롱거리고 있다는 것만 인지하고 있었다.


2년에 가까운 연애가 끝나고 심리검사를 받은 후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과정에서 오랜 친구의 얼굴을 처음 마주할 수 있었다. 유기 불안. 나는 버려질까 봐 불안했다. 



나의 아버지는 내 가족들에게 몹쓸 짓을 해왔던 범죄자이다. 언니와 엄마에게 함부로 대하는 그 사람의 모습을 보고 자란 나는 언제 그가 나에게도 나쁜 짓을 할까 봐 항상 두려움에 떨었다. 나의 어머니는 그래도 너는 친딸이니 아빠한테 가서 잘하는 척을 하라며 나를 그 사람에게 떠밀곤 했다. 그때부터였다. 어린 나의 마음에 버려질까 봐 두려운 불안이 슬그머니 자리를 차지하고 앉았다. 


내가 이제 막 사회인이 되었을 무렵 부모님은 마침내 이혼하셨다. 더 이상 아빠라는 작자를 보지 않고 살아도 되는구나 하는 해방감도 느꼈고, 동시에 이렇게 간단한걸 엄마는 왜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자식들까지 고통 속에 넣어두셨을까 허망하기도 했다. 



그리고 2년 전 나는 처음으로 가족만큼 소중한 사람을 만났다. 척박했던 어린 시절 슬프거나 고통스러워도 나를 공감해주고 감싸 안아주는 어른이 내 주변엔 없었다. 언니와 엄마에게 내가 겪는 고통은 어리광에 불과했다. 이해했다. 그들이 겪은 상처가 훨씬 컸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자라온 나에게 그사람은 단비 같았다. 나의 아픔을 들어주고 이해해주고 어루만져 주었다. 


소중한 경험이었다. 그 사람 덕분에 나는 내가 아팠구나, 내가 슬프구나 하는 나의 상태를 알아차릴 수 있었고, 이게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감정이라는 것도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는 회사에서든, 가정에서든, 힘든 일이 있을 때마다 그에게 달려가 울곤 했다. 그러면 그는 나에게 달려와 나를 토닥여주며 달래주었다.


나는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입체적인 캐릭터를 좋아한다. 왜냐하면 여러 면을 가지고 있어야 가장 사람 같기 때문이다. 그도 그랬다. 내가 힘들 때 나에게 큰 힘이 되어주던 그는 동시에 나를 힘들게 했다. 그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기 어려울 때마다 자신의 감정을 앞세워 나를 원망하고 실망스러운 사람으로 만들었다. 나는 의존적이었고, 그는 통제하려는 성향을 가졌다. 나쁜 의미로 우리는 참 잘 맞았던 것 같다.



아빠와의 마지막 장면들이 기억났다. 이혼하고 1년쯤 지났을 때 아빠가 집 앞으로 찾아왔다. 엄마는 놀라서 경찰에 신고했고 외출 중이었던 나는 경찰의 연락을 받았었다. "상습적인 가정폭력과 외도 때문에 협의이혼을 완료하신 상태이니 어머니 집에 들어가면 주거침입이 됩니다."라고 경찰에게 설명을 드리고 아빠를 돌려보냈다. 그 후에도 몇 번 더 다양한 핑계를 대며 찾아오려 했지만, 나는 끝까지 그를 차단했다. 

 

그의 태도 변화도 볼만 했다. 처음엔 경찰 앞에게 자신을 범죄자 취급했다며 화를 내던 양반이 계속 안 만나주니 나중에는 불쌍하고 병든 척을 하고 더 나중에는 우리 가족을 걱정하는 태도를 취했다. 우스웠다. '있을 때 잘하지 시 X놈이..'   

 

아빠 이야기와 전 애인 이야기를 이렇게 교차해서 쓰는 게 전 애인에겐 조금 미안한 일이다. 전 애인은 아빠만큼 쓰레기는 아니었지만, 내가 만났던 사람들 중 나를 가장 살펴주면서 동시에 제일 함부로 대했다. 

 

이별의 문턱에서 나는 최선을 다해 전 애인 입장을 생각했었다. 며칠을 고민해서 생각을 글로 적어내려 갔다. '지금은 힘들고 불안해서 나를 아프게 하는 것이지, 안정될 때까지 옆에서 견뎌주어야지'라는 결론을 들고 그에게 만나서 이야기하자고 했다. 그는 만남을 거절했다. 할 말도 없고 뭘 말할지 생각하고 싶지도 않고 나를 보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 우리는 그렇게 헤어졌다. 

 

그리고 한 달쯤 지났을 때 다시 연락이 왔다. 잘 지내는지 궁금하고 얼굴도 못 보고 헤어진 게 마음이 아프다고. 그가 아파하고 있을 모습을 떠올리니 마음이 좋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의 마지막 장면을 떠올리곤 다시 이성을 찾았다. 여러 차례 연락이 왔지만 답장을 하지 않았다. '마지막에 보지 않겠다고 선택한 건 너니까 네가 느끼는 그 슬픔도 네 몫이다.'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한결 편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었다. (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