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하 Jul 28. 2022

빈티지, 마오리소포라

약하지만 내 삶에서 강인하게 서다


‘마오리소포라’ 는 뉴질랜드에서 온 자생식물이다.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강인함을 닮아서 마오리소포라 라고 이름 지었단다. 쪼그만 잎과 가냘픈 줄기가 위태롭게 이어져서 사실, 강인함과는 거리가 멀게 생겼다. 그러나 또 세상사 이치로 본다면 강한 것은 한 번에 부러지기도 하나 약한 것은 질기고 오래가기도 했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자세히 보면 꽤나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우아한 형상으로 자라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뉴질랜드의 어디쯤에서 어떻게 자라는지는 실제로 본 적은 없다. 바람이 많이 부는 척박한 환경에서 어렵사리 자란다고 한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런 환경에서 생겨난 것들은 빈티지 아우라를 풍긴다. 빈티지는 사람의 마음을 아련하게 휘감는다. 빈티지한 것들을 바라볼 때마다 무어라 표현할 수 없는 정서가 나를 압도하는데 그것이 그리움인지, 서글픔인지, 알 도리가 없다. 사실 이것도 적절한 표현은 아니다.


그러다가 퍼뜩, 어렸을 때 시골에서 보았던 싸리나무로 만든 울타리가 떠올랐다. 할머니 집 뒷마당에는 싸리나무 울타리가 있었다. 무수히 얇은 가지들로 엮어서 만든 싸리나무 울타리가, 어린 내 눈에는 그것이 울타리라고 하기엔 너무 가냘프고 안타까운 부속물쯤으로 보였다. 저런 울타리로 대체 무엇을 막을 수 있을 것인가. 산짐승들이 장독대로 내려오는 것을 막기에는 턱없이 빈약하지 않은가. 게다가 죽은 나무가 번듯한 가구로 탄생되는 여타의 나무와 달리 싸리나무 울타리는 선사시대 움막집의 울타리처럼 유물로 보이기까지 했다.


해 질 녘이면 그 싸리나무 울타리에 소슬한 애수가 내려앉았다. 여섯 살 아이는 그 감정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엄마를 하염없이 기다리다 아슴아슴 해가 산을 넘어가서야 비로소 할머니 집안으로 들어갔다. 그렇게 여러 날을, 여섯 살 아이가 견디기에는 너무 벅찬 감정을 혼자 누리고, 감당하면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의 주인공 제제처럼 철이 들어버렸다. 나는 지나치게 일찍부터 고독해져 버린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수 세월을 건너서 인제서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생각을 차오르게 해준 빈티지스러운 마오리소포라를 화원에서 단번에 사 가지고 집으로 왔다.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가냘프게 휘어지다 말다를 반복하는 가지를 잉태한 마오리소포라가 꼭 싸리나무 같아 보여서, 살아 있는 나무를 유물 바라보듯 오래된 이야기를 쓰고 있다. 이제 나는 싸리나무 울타리의 애수를 닮은 마오리소포라를 오래오래 잘 키우고 싶어졌다. 엄마를 하염없이 기다리던 어린 나를 다독이듯 가냘픈 마오리소포라를 쑥쑥 키워서 싸리나무 닮은 것들을 보아도 더 이상 슬프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그래서 약하지만, 위태롭지만, 오랜 시간 고독으로 단련된 내가 비로소 마오리소포라처럼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내 삶에서 강인하게 서 있기를 바란다.





*** 코로나 확진 판정받고 딸아이 몸에 마비증세가 시작되어 격리병동에 입원시켰다. 휠체어에 실려 격리병동 엘리베이터 문앞에서 헤어지고 꼬박 하루밤동안 연락이 안 되었다. 천년 같은 하루가 지난 것이다. 이제 안정을 찾았다고 연락이 오자 그때부터 긴장이 풀어지면서 내가 아프기 시작했다. 나는 열이 40도까지 올랐는데도 제대로 아프다고도 말도 못 하고 있었던 것이다. 약을 먹고 계속 누워만 있었더니 차츰 열은 내렸다. 근육이 무진장 아프지만 잠깐 일어나 예전에 쓰다만 글을 마무리해서 올린다.. 엄마라는 이름은 강하다.





이전 09화 낙원으로 가는 길, 남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