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세라 Nov 19. 2020

책상을 정리하니 보이는 것들

어지럽게 놓인 집착과 미련을 버리는 연습

 책을 책장에 꽂아두는 편인가,
아니면 책상 위에 그대로 올려두는 편인가?


이 질문이 뜬금없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결혼 후 상대와 생활방식이 다르면 어떤 질문도 뜬금없지 않다. 중요한 질문이다.


나는 책을 그냥 두는 편이고, 신랑은 그 반대다.

나는 책상 위 공간이 모두 비워져 있으면 불안감을 느끼고, 신랑은 책상 위 공간에 무언가 어지럽게 올려져 있으면 화를 느낀다.

우리에게 이 문제는 하루에 한 번 중요한 문제가 되어 날아온다.

같은 책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서로 이렇게 다르다.

그러니 이런 대화는 늘 있게 마련이었다.


나 : 내가 어제 보던 책 어디에 뒀어?

그 : 책꽂이에 있잖아. 여기 말이야, 여기. 읽고 있는 책들 여기에 모아두기로 했잖아.

나 : 아니, 책을 다 읽지도 않았는데 왜 내 책 건드려! 책 읽다가 흐름이 끊기잖아.

그 : 책은 다 봤으면 꽂아두고 다시 볼 때 꺼내는 거지, 무슨 흐름이 끊겨.


나는 그렇다. 책상 위에 하던 일을 그대로 두고 생활을 해왔다. 그래야 다음에 다시 책상에 앉았을 때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목, 저 과목 공부해야 했던 학창 시절은 더 그랬다. 수학책, 영어책, 과학책, 다 이쪽저쪽에 쌓아두곤 했던 습관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다. 지금은 읽고 있던 책을 펼쳐두고, 저쪽 한쪽에는 읽다 만 책을 쌓아두고 지내고 있다. 그래야 다음에 책상에 앉았을 때 빨리 적응을 하고 바로 몰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생각을 늘 신랑에게 피력하고 있다. 물론, 씨알도 안 먹히지만.



어지럽히는 사람과 치우는 사람이 만나면
누가 이길까


흔히 어지럽히는 사람이 이긴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치우는 사람이 치우다 치우다 지치기 마련이니까.

하지만 그는 다르다. 서너 발자국 내 뒤를 밟으며 하나하나 내 흔적을 정리하는 사람이다.

뭐 이런 식이다. 내가 아이패드를 소파에 두고 서재로 잠깐 들어가면 어느새 나를 따라오면서 아이패드를 들고 쫒아온다. 아이패드의 자리는 서재 책상 밑 서랍이다. 아니 그냥 좀 두지, 나 유튜브 더 볼 건데... 소용없다. 이미 아이패드는 서랍행이다.

침대에 누워서 어제 읽던 책을 협탁 위에서 찾을라치면 흔적도 없다. 그 책은 원래 자기 자리였던 곳, 책꽂이에 얌전히 꽂여 있을 뿐이다. 내 곁을 떠난 지 이미 오래였던 것이다. 침대에서 뭔가를 읽다가 스르르 잠드는 감성도 모르는 인간, 그의 짓이었다.



그러다 하루는 책상에서 일어나며
 보던 책을 제자리에 꽂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했다


이런 나의 낯선 모습에 스스로 놀랐다. '정리왕' 내 신랑과 살다 보니 나도 모르게 깨끗한 책상이 익숙해져 버렸다. 이제는 더 이상 어지럽게 뭐라도 놓여있던 '내 책상'이 상상이 되지 않는다. '우리 책상'은 보던 책, 보다 만 책, 영어 회화책, 다이어리, 일기장이 널브러져 있던 책상이 아니었다. 아무것도 올려져있지 않은 이 깨끗한 책상이 더 이상 불안하지 않다.


요즘 <신박한 정리>라는 프로그램에서 여러 집을 정리해주고 있는 이지영 대표의 책 <당신의 인생을 정리해드립니다>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집을 복잡하게 만드는 요소들을 가만히 살펴보면 대부분 과거에 대한 집착, 미련에 관한 물건이거나 혹은 미래에 대한 걱정, 불안으로 인해 집에 들인 무언가입니다.”


집착과 미련.

책상 위를 어지럽히던 내 심리가 이러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내 책상 위에 있었던 것을 다시 생각해봤다. 읽고 싶어서 책을 사기는 샀는데 막상 읽다 보니 재미가 없어 덮어둔 읽다만 책, 영어 공부의 뜻을 품고 앞에 1과만 연필로 몇 번이나 공부하다만 영어책, 일기를 꾸준히 쓰겠다며 다이어리를 사서는 기록한 일기가 며칠 안 되는 쓰다만 일기장.

이런 것들이었다.

언제 다시 펼칠지 모르는 것들로 한가득 있었던 것이다.

바로 뭔가에 대한 집착과 미련이었다.


“내가 보니까 너 며칠 지나도 읽지 않던데 무슨 흐름이 끊긴다고 그걸 그냥 둬?”

신랑의 뒷말이 그제야 들린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집착과 미련이 보인다. 책을 읽어야겠고 영어는 잘하고 싶고 하루를 정리하면서 산뜻한 기분이고 싶은 그런 마음이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마음과 달리 몸은 아직 더 나은 사람에 익숙해지지 않았으니 대신 책상 위에 물건을 다 꺼내어 정리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 책을 꺼내놓으면 읽을 것 같고 공부할 것 같고 쓸 것 같았다. 오히려 지저분한 책상이 보기 싫어 책상에 앉지 않고 피했던 과거가 떠오른다. 결국 정리되지 않은 것들로 한가득 쌓이기만 했다.


처음에는 내 의지로 정리를 한 게 아니었지만 어쨌든 그 바람에 내 집착과 미련도 갑자기 정리가 되어버렸다. 보지 않을 책, 하지 않을 공부, 쓰지 않을 일기. 매일 스치며 눈으로 마주했던 집착과 미련들이 모두 내 눈에서 사라지니 가슴 한편에 자리하고 있던 답답함도 어느새 사라졌다. 내 마음이 편해졌다. 깨끗하고 넓은 공간을 드러낸 책상은 나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래, 하지 못한 죄책감을 일부러 느끼지 않아도 돼. 잘 안되면 그냥 안 되는대로 자책하지 말고 그냥 기다리면 되는 거야. 진짜 원할 때 그때 하면 되는 거야.


이제는 나도 깨끗한 책상이 더 좋다. 책꽂이 한쪽에 보던 책들을 모아 두고 하나하나 그때그때 책을 읽는 재미도 좋다. 깨끗한 책상이 보이니 더 자주 책상에 앉게 된다. 그 공간에서 더 쉽게 내 할 일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내 삶도 조금은 정리가 되고 머릿속 생각들도 정리가 되는 기분도 든다.

그래도 여전히 난 정리에 완벽하지 않다. 지금도 들린다. 남편의 잔소리.

“좀 제자리에 두라고.”

습관적으로 반항 하지만  잔소리가 고마울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향인에게 결혼의 의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