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이과 Aug 25. 2018

소감 제한시간이 60초인 시상식

극강의 무기는 귀여움이다

노벨상의 패러디, ‘이그노벨상’은 황당무계 연구 연보(Improbable Research)라는 하버드 과학 잡지사에서 수여하는 상입니다. 매년 10명의 ‘먼저 웃고, 그 다음 한 번 생각하게 만드는 업적을 이룩한 사람’에게 상을 수여합니다.


노벨상과 인연이 없는 우리나라에도 수상자가 넷이나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2017년 민족사관고등학교 한지원 군은 '길을 걸을 때 커피를 들고 걸으면 반드시 넘친다, 해결책은 컵의 위를 잡고 뒤로 걷는 것이다.'라는 연구로 2017년 이그노벨상을 받았습니다.


2017년 우리나라의 한지원님이 수상소감을 밝히고 있습니다.


연구 주제가 재미있죠? 이그노벨상에 대해 좀 더 와 닿게 쓰자면 ‘와, 진짜 미쳤다!!', 혹은 ‘헐... 미쳤네...’ 가 절로 나오는 업적을 이룩한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


개인적으로 전자의 케이스로는 ‘맥주병으로 머리를 내려 치면 머리가 깨질지 맥주병이 깨질지’를 증명해서 평화상을 받은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연구 결과, 맥주병으로 충분히 머리를 깰 수 있으며, 따지 않은 새 맥주병보다 빈 맥주병이 더 강하다고 하네요. 


후자의 경우는 대량 석유 유출 사태로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다는 상식을 깼다'는 업적으로 화학상을 받은 영국의 BP사가 있을 텐데요. 이 사례도 다른 측면에서 좋아합니다.




전에 이 흥미로운 상에 대해 소개하는 기사를 쓴 적 있습니다. 그러나 재밌는 부분이 너무 많다 보니 이 상의 매력을 다 담아내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이상하지만 멋있어..' 이그노벨상 상금 '10조 달러'



여기서는 기사에 담지 못했던 이그노벨상의 위트를 하나 소개해 볼까 합니다.


이그노벨상을 수여하는 사람들은 긴 수상소감이 관객을 지치게 만든다는 걸 잘 파악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상을 받는 사람들의 수상소감을 단 ‘60초’로 제한해 버렸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제한해도, 제한시간을 넘기는 사람들이 종종 있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이그노벨상 시상식에서는 아무도 이길 수 없는 무기를 사용합니다. 바로 ‘귀여움’입니다.


수상자 등 연설가가 소감을 60초 이상 이야기하면 만 8세의 여자아이가 나와서 “그만해요, 지루해요”라는 말을 반복합니다. 이 아이는 ‘스위티 푸’라고 부르는데요. 느낌을 살려 번역하자 귀요미 응아 정도 될 것 같습니다.


2009년 이그노벨상 시상식에서  스위티푸가 맡은바 역할을 다하는 모습입니다.

 

위 사진은 2009년 시상식에서 스위티 푸를 맡았던 아이가 맡은 바 역할을 다하는 장면입니다. 2009년 스위티 푸는 “그만!!! 해요!!! 저는!!! 지루해요!!!”라고 당돌하고 인상적으로 소리쳤습니다.


“그만!!! 해요!!!!! 저는!!!! 지루해요!!!!” 만약 “그만!!!” 수상자 “해요!!!!!가 말을 계속 “저는!!!! 지루해요!!!!”하려고…“그만!!!!” 해도 도저히 할  수 “해요!!!!” 없… “지루!!!!” 겠죠. “해요!!!”


참고로 위 사진에서 쫓겨나고 계신 분은 수상자는 아니고, 시상식을 빛내주기 위해 연설을 준비해 온 키노트 스피커였습니다. 그래도 이그노벨상에서 모든 사람은 스위티 푸 앞에서 평등합니다.




그래서인지 수상자들은 60초 안에 자기가 말하고 싶은 것, 혹은 그냥 하고 싶은 것들을 어떻게 해 낼까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오는 것 같습니다. 맥주병으로 머리를 치면 머리가 깨질지 연구한 스테판 볼리거는 설탕으로 만든 촬영용 맥주병으로 자기 머리를 내려첬고, 칼 삼키는 묘기와 부작용에 대해 연구한 댄 마이어는 시상식장에서 칼을 삼키는 묘기를 직접 보여줬죠.


2009년 시상식과 2007년 시상식에서 펼쳐진 장면입니다. 열심히 준비해왔군요


한편 스위티 푸를 위한 뇌물을 준비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젖소에게 이름을 붙여주면 더 많은 우유를 생산한다'는 연구로 시상식에 참가한 피터 로빈슨은 젖소 인형과 우유 한 병을 준비했습니다. 뇌물을 받은 스위티 푸는 더 힘을 내서 “그만!!!!!!!! 해요!!!!!”라고 힘차게 소리를 질렀고, 피터 로빈슨은 두 손을 내저으며 퇴장했습니다.


데킬라로 다이아몬드를 합성한 자비에 모랄레스와 미겔 아파지카는 스위티 푸에게 커다란 멕시코 모자와 작은 데킬라 한 병을(!) 선물로 줬죠.


스위티 푸를 위한 뇌물. 우유와 젖소인형, 그리고 멕시코 모자와 데킬라?!


웃고 나서 한번 더 생각하게 하는 이그노벨상의 수상작들처럼, 60초의 수상소감 제한시간과 스위티 푸 시스템도 사람들을 한바탕 웃게 만듭니다. 그리고 말리기도 뭐하고, 그냥 두기엔 부담스러운 긴 수상소감을 이그노벨상의 60초 수상소감과 스위티 푸가 얼마나 멋지게 이를 해결했는지 감탄하게 됩니다.


말리기도 그냥 두기도 애매한 것들 투성이인 일상에서, 스위티 푸처럼 모두 웃으며 일을 마무리 지을 수 있는 방법이 있지는 않을지 한번 더 생각해보게 되기 때문입니다.


 



<참고자료>


Improbable Research

The 17th First Annual Ig Nobel Prize Ceremony

The 19th First Annual Ig Nobel Prize Ceremony

The 27th First Annual Ig Nobel Prize Ceremony

작가의 이전글 임신부가 고꾸라지지 않는 진화적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