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몽스 Jan 31. 2020

[리뷰]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보고

사랑의 의미

사랑에 빠진 적이 있냐고 물었을 때, 지금이라고 말하고 싶었어.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서로를 모르기에 오는 설렘이 아닌, 서로를 잘 알기에 발현되는 사랑을 아름답게 그려냈다. 마리안느는 여성이란 이유로 화가로서의 활동에 제약을 받고, 엘로이즈는 원하지 않는 결혼을 강요 받는다. 그런 엘로이즈의 원하지 않는 결혼을 위해 마리안느는 그녀의 초상화를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이 둘은 사랑에 빠진다. 허나, 영화를 들여다보면 이 사랑이 아이러니한 사랑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연인은 서로가 서로일 수 있게 해주는 관계이다.

  마리안느와 엘로이즈가 사랑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서로를 평등하게 바라봤기 때문이다. 사랑은 평등이란 토지가 없다면 피어날 수 없는 꽃이다. 이들은 여성에게 가해지는 비합리적인 억압을 일상으로 겪었기에 서로의 아픔을 진실로 보듬어줄 수 있었다. 누구에게도 경험해보지 못한 평등한 시선으로 서로가 서로를 바라봤으며 나아가 '나' 자체일 수 있게 해준 것이다. 결국 같은 여성이었기에 평등할 수 있었고, 평등할 수 있었기에 사랑할 수 있었다.

"당신이 나를 볼 때 나는 누구를 보겠어요?"

  영화를 보기도 전에 결말을 알게 되거나 뻔한 결말의 영화라면, 영화를 다 봐도 시시하게 느껴지고, 어떨땐 보는 것 자체를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사람 간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만남의 결말이 뻔하고 시시한 끝맺음이라면 다른 데로 시선이 가고 도중에 달아나기도 한다. 그렇기에 마리안느와 엘로이즈의 사랑이 아름다운 것이다. 여성 간의 사랑이 맺는 결말을 이 둘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끝이 다가오기 직전까지 서로의 이름을 부르고, 서로의 얼굴을 눈동자에 담고 싶어하며, 끝내 뒤돌아본다.

"후회하지 말고 기억해"

  사랑을 단언하여 규정할 수는 없다. 이는 곧 무엇이든 사랑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얼굴을 조금이라도 더 오래 보기 위한 몸짓도, 순간으로 기억될 만큼의 짧은 만남도, 무모한 뒤돌아봄도, 모두 사랑이 된다.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5282


매거진의 이전글 [리뷰] 영화 『윤희에게』를 보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