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일상건강 Oct 14. 2021

의약유물 속 일상건강, 청동초두

by 한독의약박물관

우리나라 고대는 고조선(BC 2333~BC108)에서 남북국시대(7세기 후반~10세기 전반)까지를 말합니다. 이 시기는 문헌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아 발굴 유물로 고대사를 연구합니다. 이러한 학문이 바로 고고학인데요. 오늘 소개할 유물이 고고학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한독의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고 부여지역에서 출토되었다 전해지는 삼국시대 청동초두(靑銅鐎斗)입니다. 


초두는 솥의 일종으로 다리가 세 개 달려 있고, 긴 손잡이 있으며 술·음식·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한 용기입니다. 순우리말로는 ‘자루 솥’이라고도 합니다. 초두의 기원은 중국 신석기시대의 ❶ 삼족토기(三足土器) 화(盉)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❶ <토기화(土器盉)> 중국, BC.1900 ~ BC.1500

이후 화토기는 중국 상나라(BC1600~BC 1046) 때 ❷청동기로 만들어지는데 이 것이 초두의 직접적인 원형이 되었습니다. 

❷ <청동화(靑銅盉)> 중국 상나라, BC.17세기~BC.11세기


현재 기록상 가장 오래된 초두는 ❸‘ 원강원년(元康元年)’명(銘) 초두입니다. 손잡이 아랫부분에 새겨진 글귀가 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한나라(BC 202년 ~ AD 220년) 선제 10년인 기원전 65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량도 새겨 있어 초두 무게를 알 수 있었다 합니다. 이는 당시 동의 가치와 중요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유물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❸ <원강원년(元康元年)명 청동초두> 중국 한 대, 선제 10년, BC. 65년


한반도에서 출토된 최초의 초두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입된 ❹ 낙랑초두입니다.  

❹ <낙랑초두> 낙랑, 가로 30.3cm, 세로 25.2cm, 부전진이(富田晋二) 소장


이 낙랑초두가 삼국시대에 전해져 더욱 다양하게 발전하였고, 중국과는 달리 ❺ 철제로도 만들어져 우리나라만의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❺ <철제초두> 가야, 남원 월산리 M5호 고분 출토


초두는 ❻고구려, ❼백제, ❽신라, 가야 등 전 지역에서 확인되고 주로 큰 무덤인 고분에서 출토되어 삼국시대에 주로 왕실 등에서 사용하던 기물로 여겨집니다. 

(좌) ❻ <청동초두> 고구려, 평양 부근 출토 (중) ❼ <청동초두> 백제, 강원도 원주시 법천리 출토, 높이 13.3cm, 입지름 17.3cm (우)❽ <청동초두> 신라, 


초두는 몸체의 형태에 따라 호형(항아리 모양)과 반형(소반 모양)으로 나눠지는데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청동초두는 호형으로 동체(몸체), 주구(액체가 나오는 곳), 뚜껑, 자루(손잡이), 다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리는 말발굽이 있는 동물 다리로 모양으로 만들었고, 주구는 용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입을 쫑긋 벌린 모습이며 뚜껑은 유실되었지만 몸체에 뚜껑과 연결된 고리가 남아있습니다. 손잡이 부분은 눈을 감은 용이 그릇을 지그시 물고 있는 모습입니다. 청동초두는 화려하게 장식된 경우가 많고 크기가 작다는 점에서 일상용품이었다기보다는 의례용 또는 의료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청동초두>, 삼국시대(5~6세기), 전(傳) 부여 출토, 높이 10.3cm, 길이 17.7cm,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초두가 의료에 사용된 전용기는 아니지만 약재를 다릴 때 사용한 의료용기였을 가설은 고고학계에서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그럼 초두의 용도와 관련된 고대 의학사에 대해 간단히 살펴볼까요? 우리나라는 기원전 2세기경 중국과 국경이 맞닿으면서 중국의학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삼국 가운데 고구려 의학이 가장 먼저 발달하였는데, 여기에는 불교 의승들의 활약도 컸습니다. 백제는 중국의 남조(420년~589년)와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남조 의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를 일본에 전해주기도 했습니다. 백제는 의료행정을 담당하는 약부(藥部)를 설치했고, ❾『백제신집방(百濟新集方)』이라는 의학서를 발간할 정도로 의학이 발달하였습니다. 

❾『백제신집방(百濟新集方)』,『의심방(醫心方)』 전사본에 기록되어 있음.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사회발전이 가장 늦었던 신라는 5세기 무렵 고구려 의학의 영향을 받아 성장했으며, 7세기 삼국통일전쟁(660년~676년)은 의학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전쟁에 참여했던 동아시아 각국의 군대를 통해 새로운 전염병이나 풍토병이 유입되었고, 당나라군의 군의를 통해 선진적인 당 의학을 경험하면서 신라 의학이 발전하게 됩니다.




작가의 이전글 피부과 의사의 겨드랑이 땀냄새 없애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