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잡문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로로 Oct 03. 2020

잡문6

후진 영화를 보고 

후회막급한 맘을 달랠 방법.

새롭게 하나의 앎을 더했다고 생각해야지.

"볼 필요가 없는 영화"란 '보람찬' 깨달음.


책을 중간쯤 보다 영 아니어서 팽개치고는

투자한 시간이 아깝다는 설움을 위로할 방도.

새롭게 하나의 앎을 건졌다고 생각해야지.

"볼 필요가 없는 책"이란 '뿌듯한' 깨달음.


한 생을 살아보다 영 잡쳤다고 생각되지만

덕지덕지 털어낼 것이 많아 난감한 상황을 극복할 수단.

새롭게 하나의 앎을 득했다고 생각해야지.

"살 필요가 없었던 인생"이란 애잔한 깨달음.


또는

다시 살아도, 백만번을 다시 살아도

이 생을 똑같이 살 것이란 영겁의 깨달음.

자신에게 허락된 인생은 오직 하나뿐.

그러니 애달파도 꿋꿋하게 버티고 긍정하고 초월하는 그 길뿐.


나는 평등의 세상을 안다.

누구든 인생의 1/3쯤은 그 세상에 산다.

다빈치든 아인슈타인이든 히틀러든 전두환이든 공자든 예수든

(어쩌면 해피까지도) 나랑 별반 차이가 없으리라.

이빨 빠지는 꿈, 공중을 나는 꿈, 졸라 뛰어도 앞으로 나가지 않는 꿈, 

그리고 그 많고 다양한 유치찬란한 꿈을 꾸며 

몸을 움찔거리고, 동공을 굴리며, 낑낑 신음을 내면서 잠을 잤으리라.

꿈 속의 세상은 평등하다.


[줄긋기의 유혹]


언제부턴가 그만두었지.

책을 읽다가 공감이 가거나, 핵심을 찌르거나, 꼭 머리에 담고 싶은 문장에 밑줄을 긋는 것. 

때론 메모도 끄적거렸지.

다 부질없어졌지.

그 책을 다시 열어볼 가능성이 없다는 자각.

아무리 붙들려해도 머리 속에서 쉬 사라지는 망각.

아무도 이 책을 열어보며 나의 흔적을 살필 사람이 없으니

혹여 누군가 이 책을 읽을 경우 깨끗하게 넘겨주고 싶어졌지.

그래서 오늘도 간혹 찾아오는 줄긋기의 유혹을 떨쳐내곤 했지.


"인간은 욕망이 충족되지 않으면

결핍감에 시달리지만

정작 욕망이 충족되면

권태에 시달리게 된다."

- 쇼펜하우어


"일이 많아 시간에 쫓길 땐

딴 거 하고 싶은 게 마구 떠오르지만

정작 일을 끝내고 나면

하고 싶은 것이 없어진다."

- 나


[슬픈 봄]


그래서 

이 봄엔 눈길을 돌려버린다.

저들, 재잘재잘 까르륵

꽃의 놀이를 방해하고 싶지 않아

왠지 바라보면 안 될 것만 같아

고개를 숙인다.


[책만 불쌍해...]


가만히 있으면 멍청해진다.

일부러 사색이니 명상이니를 하려면 더 멍청해진다.

그래서 찜질방에 갈 때면 기어이 책 한권을 들고 들어간다.

침침한 가운데 불빛 밝은쪽에 자리를 잡고 책을 읽는다.

집중하다보면 땀을 쭉 뺄 수가 있다.

그런데 그러고나면 책이 쭈굴쭈굴해진다.

약한 떡제본 책이면 여지없이 낱장으로 떨어져나온다.

찜질방과 아이스방을 오가면 더욱 심해진다.

벌써 몇 권째인지 모르겠다.

주인을 잘못 만난 책들이다.


실밥 한 올처럼 섬세하고

해면처럼 유연하고

5월의 바람처럼 부드러운 그는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는다.

단지 그의 존재함이 

아픔의 진원지가 되어

스스로 베이컨 처럼 뒤틀릴 뿐.


[공산주의자 선언]


나는 공산주의자였다.

이는 세상에서 가장 멋진 자기 정체성이었다.

현실이 이상을 배반하면서 그게 거시기하게 좀 구려졌다.

그래서 지금은 잠수타고 있다.

언제고 모든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자고 공산주의자들이 다시 용트림하면 나도 얍삽하게 다시 껴들 마음은 있다.

어찌됐던 우리 역사에서 '공산주의자' 김원봉이 있었다는 사실은 쪼그라든 마음에 한 줄기 빛처럼 다가온다.

- '공산주의자'를 무슨 개쌍욕 정도로만 아는 이 나라 어느 정치인에 대한 개쌍욕을 갈음하며...


[기다림]


이사 후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게된다.

'기다림'이 반복된다.

처음엔 짜증과 초조함이 괴롭힌다.

마음을 바꾸었다.

기다림의 시간을 더 길게 가져보자고.

그랬더니 마음이 나른하고 느긋해진다.

'기다림'에 취한다.

....되더라.

기다림을 즐기는 것이...


[교집합]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아무 관계가 없거나, 혹은 교집합이다.

교집합의 영역이 커지고 그 속에 특별한 몇 가지가 포함되면 '사랑'이 된다.

그런데 그 교집합이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합집합인 것으로 우겨대면 사랑은 초라해진다.

한술 더떠서 한쪽이 상대방을 부분집합으로 만들려고 하면 사랑은 완전히 증발하고 소유와 지배만 남는다.

아름다운 사랑은 늘 교집합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잡문5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