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필가 고병균 Dec 02. 2023

[9-1] 비장군(飛將軍) 선거이(宣居怡)

수필 임진왜란

 1545년(명종 원년) 8월 31일(음 7월 25일), 전남 보성군에서 태어난 선거이를 향하여 학자들은 이순신의 동갑내기 친구라고 말한다. 이들 둘에게 어떤 인연이 있었을까?     


선거이는 24세인 1569년(선조 2년) 겸사복(兼司僕)으로 임명된다. 오늘날로 하면 대통령 경호실 직원에 해당된다. 1579년(선조 12년) 식년시 무과에 급제하였고, 1586년 함북병마절도사 ‘이일(李鎰)’의 계청군관(啓請軍官 정3품, 군단장 보좌관)으로 임명된다. 여기서 조산 만호(造山萬戶 종4품) 이순신(李舜臣)을 만난다. 


그는 32세의 늦은 나이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거이보다 2단계나 낮다. 


북병사 이일(李 鎰)은 녹둔도 전투의 승리자 이순신을 감옥에 가두었다. 그때 나눈 대화를 소개한다.

거이 “모함으로 억울하게 감옥에 가는데 술이라도 한 잔 하고 가라.”

순신 “죽고 사는 것은 운명인데 술은 마셔서 뭐 하겠나?”

선거이는 병조판서 정언신에게 편지를 보내 이순신의 무고를 주장했다.       


1590년 선거이는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정3품, 전라도 해남 우측 해군 전단장)로 임명되었다. 정읍 현감(종6품)이었던 이순신이 축하하러 전라우수영에 왔다. 정3품 당상관이었던 선거이는 종6품에 불과한 이순신을 반갑게 맞이하며 가장 귀한 손님으로 각별하게 대접했었다. 


1592년 3월 17일 선거이는 전라도병마절도사(종2품)로 임명된다. 당시 군인으로 최고위 직책인 전라도 군단장에 해당된다. 그러나 임진왜란의 발발로 임명장이 전달받지 못하였다. 그 임명장은 ‘독립기념관’에 보관 전시되고 있다.     


1592년 4월 13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거이는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정3품)로 취임하였고, ‘진도군수’ 자격으로 이순신이 지휘하는 한산대첩에 참전한다.


1592년 11월 전라도 병마절도사(종2품, 전라도 군단장) 자격으로 오산 독산성 전투에서 참전하여 승전한다. 이 전투에서 왜군의 총탄에 맞았다.


1593년 2월 부원수 겸 전라도 병마절도사(종2품)로서 도원수 겸 전라도 관찰사(종2품, 전라도 도지사) 권율과 함께 행주대첩에 참전한다.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속에서도 조선은 문관우대 정책이 유지되고 있었다. 문관인 권율을 도원수(합참의장)로, 무관인 선거이를 부원수(육군 참모총장)로 임명했다. 전투 작전과 지휘는 누가 담당했을까? 10년 차 문관 도원수 권율의 몫? 23년 차 장군인 부원수 선거이의 몫? 당시의 상황을 보자. 권율이 지휘한 병력은 전라도 감영 소속의 8백 명, 선거이가 지휘한 병력은 전라도 병영 소속 6천 명 중 2천 명에게 수원성을 지키게 하고, 4천 명의 병사를 인솔하여 행주산성 전투에 참여했다. 강화도에서 주둔하던 전라도 병영 소속 8천 병사가 추가로 합류한다. 선거이가 지휘한 병사는 무려 1만 2천 명이다. 전체 병력의 80%를 지휘한 부원수 선거이는 도원수 권율과 같거나 더 많은 공적을 인정받았어야 마땅하다. 


1593년 6월 ‘진주성을 사수하라.’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선거이는 반대 의견을 냈다. 

“조선군은 병력이 적고, 왜군은 병력이 많으니 조선의 모든 병력이 진주성 내로 진입했다가 포위 고립된다면, 조선군 전체가 섬멸당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지금은 병력을 보존하여 북진을 저지하고 호남을 방위하는 것이 옳다.”


도원수 권율은 그렇게 하라고 허락했다. (백사별집 제3권 1629년 이항복의 기록) 그런데 조정에서는 ‘명령 불복종’의 징계를 내렸다. 권율은 빼고 선거이에게만 적용됐다. 


왜 그랬을까? 행주대첩의 공적을 판단하는 자리에 있었던 영의정 권철은 권율의 아버지요, 병조판서 이항복은 권율의 사위다. 모두 문관이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라는 속담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정유재란이 발발했다. 왜적들에게 비장군(飛將軍)이라고 부르는 선거이를 나라에서 불렀다. 선거이는 부상자다. 53세로 고령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쟁터로 나아갔다. 제2차 울산성 전투에 참전하여 적의 수급 50을 베는 전과도 올렸다. 안타깝게도 적의 총탄에 맞아 순국했다. 1598년 1월 선거이는 시신도 찾지 못해 행방불명자가 되었다.      


선거이와 이순신의 인연을 각별하다. 임진왜란 당시 육군의 최고위 지휘관이었던 선거이와 해군의 최고위 지휘관이었던 이순신 둘은 문관들의 극심한 모함에 시달렸다. 


선거이와 이순신은 1545년 같은 해에 태어났다. 눅둔도 전투에서 여진족을 물리칠 때 함께 전장을 누비었고, 한산대첩과 장문포 해전에서 힘을 모아 왜군을 물리쳤다. 그리고 1598년 같은 해에 전사했다. 선거이는 육상의 마지막 전투인 울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고, 이순신은 해상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 해전에서 전사했다. 

이쯤 되면 두 분을 향하여 ‘가장 가까운 친구’요, ‘가장 오래된 전우’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선거이와 이순신 둘 사이의 인연은 정말로 특별하다.      


선조가 다스린 나라 조선은 ‘상 받을 자에게 상을 주고, 벌 받을 자에게 벌을 주는’ 공정한 사회가 아니었다. 그러나 동갑내기 친구 선거이와 이순신은 선조가 다스리는 나라 조선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 그리하여 위기의 나라 조선을 지켜냈다. 악을 악으로 갚지 않고 선으로 이긴 민족의 영웅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8-6] 사로병진작전(四路竝進作戰)의 육로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