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ady Spider Jul 26. 2023

순식간에 예뻐지는 방법

미소의 과학, 그리고 마법

# 미소는 천연 보톡스

늦잠을 자버려서 메이크업 할 시간도 없고 바쁘게 집을 나와야 하는 상황에서 챙겨야할 것은? (3초)

바로, 미소이다. 미소는 우리가 가진 몇 개의 안면근육만으로도 순식간에 동안을 만들 수 있는 천연 보톡스이다. 보톡스를 맞으면 오히려 안면 근육을 마비시키기 때문에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미소를 짓느라, 특히 눈웃음 짓느라 자글자글해진 눈꼬리 주름은 안 펴도 된다. 그것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눈매 화장이다.


오겡끼의 연배를 추측가능하게 하는 줄리아 로버츠(미소하면 자동 팝업되는 배우)도, 더 글로리에서 동은의 복수를 돕던 주여정 의사역을 맡았던 이도현 배우도 환한 미소를 짓기 위해 한껏 들어올린 광대근육이 참 매력적이다. 물론, 이들이 원래 예쁘고 잘생긴 사람이라 미소도 좋아보인다 라고 볼 수도 있지만, 미소의 과학과 마법에 따르면 그 반대이다.  미소만으로 순식간에 예뻐질 수가 있다.


# 미소의 과학, 유명한 연필 실험!

Thinking, Fast and Slow(<생각에 관한 생각>) 의 저자이자 행동경제학의 창시자로 알려진 대니얼 카네만은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바로 연필을 가로로 눕혀 물고 웃을 때 사용하는 근육을 인위적으로 자극하면, 행복과 관련된 도파민(성취감, 쾌락) , 세로토닌(안정감), 옥시토신(사랑) 분비를 자극하여 실제로 행복해 진다는 것이다.  때 분비되는 호르몬은 자그마치 2,000개의 초콜렛바를 먹거나, 25,000불의 돈을 받았을 때 분비되는 양과 동일하다고 한다.


우리 얼굴에는 43개의 근육이 있고, 그 중 미소짓는데 필요한 근육이 광대근 등 17개인데, 이 근육이 움직이면 우리 얼굴 좌우에 도로처럼 깔려있는 안면신경을 자극하고 다시 이 안면신경이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행복 호르몬들이 분비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카네먼은 happiness loop(또는 positive feedback loop) 이라고 불렀다.


우리는 대부분 "웃을 일이 있어야 웃지!" 라고 생각하는데, 먼저 웃으면 행복해진다. 행복이라는 감정에 이르는데 스스로 많은 조건들을 부여하고, 그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만이 행복할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틀린 생각이다. 미소짓기는 순식간에 예뻐질 뿐 아니라 순식간에 행복해지는 방법인 것이다.


# 미소의 마법, 인과관계 뒤집기

더 나아가서, 미소는 성공을 부른다. 여기에 또 다시 인지심리학이 결부된다. 인간에게는 상대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하려는 "거울뉴런" 을 가지고 있다. 누군가 하품을 했을 때 나도 모르게 따라서 하품을 했던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미소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웃으면 상대가 웃게 되고, 내가 웃으면서 분비되는 행복 호르몬이 상대에게도 분비되게 될 것이다. 무언가 설득해야 하는 일이 있을 때 미소를 지으면서 한다면, 상대는 내 미소의 전염효과로 인해 경계심을 낮추고 열린 마음으로 내 제안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힘들고 짜증날 때 의도적으로 웃는 것은 단순히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서 성공을 가져오는 것과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인지심리학자 조 디스펜자에 따르면,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먼저 상상하고, 그 때의 기분을 먼저 느끼면, 그 결과가 현실로 나타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힘들 때 먼저 웃으면, 가까운 시일 내에 웃을 일이 발생한다. 인과관계를 뒤집는 것이다.


문제가 해결되어야, 내가 성공을 해야,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어야... 등등 자신이 행복할 수 있는 조건들을 머릿속으로 나열하고, 그 외부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노오력을 하기 이전에 먼저 웃는다면 그것은 엄청난 시간절약이 된다. 이거는 내가 여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정말 많은 시행착오와 시간을 아껴줄 것이고, 이 아껴진 시간들은 또한 복리의 효과로 불어나리라 믿는다.


"웃으면 복이 와요" 라고 했던 조상님들의 말이 다 과학적 원리가 있었다. 이상, 예뻐지고, 행복해지고, 건강해지고, 또한 성공할 수 있는 작은 실천인 미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출처 : Google "the Physiology of smiling" "Science of smile" 등 글과 함께, 얼굴 근육 해부학 관련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폭풍 검색의 흔적을 올려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너무 바쁜 하루, 한 시간 운동도 어렵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