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화과 Jan 29. 2024

남편을 복제하기로 했다

쿼카는 위험한 동물이다

결혼 전 남편을 두 번 울렸다. 두 번 다 내가 남편에게 이런 질문을 했기 때문이었다.


"내가 끝까지 아이를 안 갖겠다고 하면, 우리, 헤어지는 게 나을까?"


그 순간, 남편의 눈에 눈물이 차올랐다. 실시간으로 남의 눈물이 샘솟는 걸 태어나 처음 직관한 나는 당황해서 따라 울었다. 그렇게 우리는 서가앤쿡에서 통곡의 시간을 가졌더랬지.


남편은 좀처럼 울지 않는 사람이다. 반대에 가깝다. 남편은 쿼카형 인간이다. 그러니까, 대체로 웃는 사람. 세상은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고 믿고, 그러므로 인생은 살 만한 것이며, 따라서 단란한 가족을 꾸리는 게 일생의 목표인 사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러 이유로 일찍이 품절되지 못했고 나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6살이나 어린, 세상을 비관하는, 새 생명을 내놓기에는 세상이 마음에 안 드는, '비혼 나쁘지 않지' '아이는 안 낳고 싶어' 생각하는 나.


그러므로 내가 남편에게 저 질문을 던진 건 나름의 배려였다. '이 아저씨 나이도 잡술 만큼 잡쉈는데, 2세 계획이 인생에 있어서 그렇게 중요하면 놔주는 게 맞지 않나' 하는 고심 끝에 한 말이었다.


내 기억이 맞다면, 저 질문을 처음 한 날은 우리가 서울시 예비부부학교를 다녀온 날이었을 거다. 집에 처음 인사 온 남편이 마음에 들었던지(순진하게도 나는 그냥 명절 인사라는 남편의 말을 믿었다. 나 빼고 다 결혼 준비 과정이라 생각했다.) 엄마는 불쑥 서울시 예비부부학교란 것이 있으니 들으며 서로의 인생관을 진지하게 탐색해보라고 권했다. 과연 학교는 위대한 것. 수업 중 마련된 대화 시간에서 우리의 결정적 인생관 차이는 2세 계획에 있었다는 걸 마주하게 됐다.


그러나 남편은 비겁하게도 눈물로 두 번의 질문을 무마했고, 나는 사랑하는 남자의 눈물에 홀렸다. 결국 우리는 이토록 중대한 문제를 미뤄둔 채 결혼을 하기에 이르렀다. "허니문 베이비도 좋다!"는 시부모님 앞에서 "아직 저도 덜 커서요. 저부터 좀 자랄게요. 하하" 나 역시 비겁하게 무마하며 지냈다.


그렇게 얼렁뚱땅 보낸 결혼생활 약 3년. 내 마음이 변했다. 참 나. 남편이 끝없는 햇볕정책으로 나를 홀린 까닭인지, 인류 유전자에 대대로 각인된 종족보존의 본능이 내 안에서 깨어난 것인지. 아직도 미스터리다.


사실 가장 솔직한 내 심경은 이런 문장에 가깝다. '이런 거(남편) 하나 더 있었으면 좋겠다.' 남편을 복제/백업하겠다는 나의 선언에 남편은 또 다시 눈물을 글썽거렸고, 우리 부부는 산전검사라는 것을 나란히 받고 왔다. (맨날 예산 퍼붓고 효과 없다고 욕했는데 생각보다 임신출산 관련해 제법 유용한 정책이 여럿 있다는 걸 알게 됐다. 보건소 무료 산전검사도 그 중 하나.)


이 정도면 남편을 국회로 보내야 하는 게 아닐까. 저출생, 인구절벽 걱정하는 뉴스가 날마다 들려오는 대한민국. 남편은 비혼주의를 외치던 나를 결혼하고 싶도록, '내 생에 출산은 없다'고 다짐하던 나를 2세를 꿈꾸도록 만들었다. 나의 세계관을 뒤흔든 쿼카. 사실, 쿼카는 무서운 동물인지도 모른다.

이전 01화 [프롤로그] "어떻게 애 낳을 생각을 했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