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살아진다
'화장'은 김훈 작가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임권택 감독의 102번째 영화다. 제목은 장례를 의미하는 화장(火葬)과 얼굴을 꾸미는 화장(化粧)을 동시에 뜻하며 삶의 끝과 젊음이 한 단어에 모두 담겨있다.
사회에서는 능력을 인정받고 집안에서는 자상한 남편인 오상무(이름은 나오지 않고 직책만 알 수 있다)는 어느 날 아내의 암이 재발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떤 남편이 저렇게 잘할까 싶을 정도로 아내를 극진히 간호하며 일에도 소홀히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던 오상무의 마음에 한 여자가 들어온다. 그 여자는 회사에 새로 입사한 추은주 대리였다. 한 발 뒤로 물러나서 보면 문제를 삼지 못할 정도로 평범하고 사회적으로 추은주를 대한다. 하지만 관객은 그보다 가까이 오상무의 행동과 말, 표정을 들여다보며 그의 심리상태를 느낄 수 있다.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죽음과 질병을 솔직하게 드러낸 장면들을 보며 슬픔을 넘어 두려움마저 느껴졌다. 그러한 환경 속에서 어떤 사람이라도 느낄법한 감정이 배우의 표정과 대사에서 그대로 나타난다. 주인공의 이름이 따로 있지 않고 그저 '오상무'인데서, 그가 처한 상황은 어느 특별한 사람만 겪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강하게 다가왔다. 영화는 철저하게 오상무의 시점에서 진행되지만 부인의 심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끝까지 남편에게 여자이고 싶어도 질병으로 인해 그럴 수 없다는 사실에 스스로 괴로워하고 혹시나 남편이 자신을 떠나고 싶어할까봐 불안감을 느낀다.
힘든 쳇바퀴 생활을 하던 오상무 앞에 나타난 추은주는 마음속의 조그마한 숨통이었다. 지고지순한 사랑처럼 반드시 그녀여야만 되는 것이 아니라 생각만 해도 힘든 생활과 두려움을 잊게 하는 하나의 대상이다. 생명력 있는 젊음을 바라보며 죽음과 질병에 대한 두려움을 잠시라도 털어낼 수 있고, 자신의 마음 속에 감추어져 있던 새로운 감정을 통해 생동감을 느낀다. 그것으로 충분할 뿐 실제로 추은주와 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면 환상을 통해 얻던 즐거움을 벗어나 오히려 죄책감과 또 다른 속박을 얻게 된다. 그것을 알았는지 오상무는 추은주에게 좋은 상사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게 행동한다.
아내는 세상을 떠났지만 오상무는 다시 나름대로의 삶을 시작한다. 해외에서는 영화 제목이 'Revivre'인데 이는 '소생하다, 다시 활기를 되찾다'라는 의미라고 한다. 영화 내내 품고 있던 어두움에도 불구하고 끝에는 왠지 모를 희망이 느껴졌다. 이는 단순히 누구랑 누가 이루어질까, 혹은 누가 살 것인가 죽을 것인가에 대한 것을 넘어서 영화 자체가 말하고자 하는 건 이런 것이 아니었을까 싶었다. 누군가를 떠나보내고 죽을 듯이 가슴 아파도 결국 사람은 살아가게 되어있다는 것. 영화를 보고 나서 뮤지컬 '서편제'의 OST 중 하나인 '살다보면'의 가사가 생각났다.
혼자라 슬퍼하진 않아
돌아가신 엄마 말하길
그저 살다보면 살아진다
그 말 무슨 뜻인지는 몰라도
기분이 좋아지는 주문 같아
너도 해봐 눈을 감고 중얼거려
그저 살다 보면 살아진다
그저 살다 보면 살아진다
항상 뭔가를 하는데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여기지만 어쩔 때는 스스로 의구심이 들 때도 있다. 하지만 80대의 임권택 감독이 새롭게 만든 이 영화를 보고 내 의심은 쓸모없는 것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치지 않는 열정과 일에 대한 사랑을 본받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