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생산적인 활동은 빠르게 도태되는 세상이다. 특히 한국에선 생산성과 효율성의 쌍두마차가 끝없이 그 구성원을 채찍질한다. 젊은 층 사이에서 자기계발과 시간 가성비로 스스로를 무장하는 '갓생(god생)'이 유행하기도 했다. 아무래도 우리 사회는 그렇게나 부지런히, 열심히 살아야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생산성 위주의 문화이다.
반면 아기 낳는 것은 그 반대다. 재생산(임신-출산-육아)은비생산의 극치이다. 출산 전후의 노동자는기성 직업 세계에서 최적의 생산성을 발휘하기 힘들다. 임신과 함께 짤리지나 않으면 다행인 직장이 아직도 많다. 매 시간 돌봐줘야 하는 갓난아기를 두고 자기계발은 어림도 없다. 게다가 육아란 효율은커녕 돈 쓰기만 하는 활동이다.돌봄에 아무리 공을 들여도 품삯이 돌아올 리가 없다.영 수지타산이 안 맞는 일이다. 우리가 사는 물신주의 사회에서 재생산은비생산+비효율로 점철된 사치일 뿐이다.(출산율이 증명하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재생산도 엄연히 생산이다. 번식으로 태어난 존재들이 번식을 통해 새로운 개채를 만들어내니 '재생산'이라고 일컫는다. (생물학 영역에서의 reproduction - 재생산 혹은 생식으로 번역된다.) 출산이 생명의 역사에서 딱 한 번만 일어난 일이라면 접두사 're'가 붙지 못했을 것이다. 생식으로 태어난 존재들이 또다시 생식을 하면서 생명의 사슬이 이어져 왔기에 '재'생산인 것이다. '생산직' 부모들에게서 태어난 우리들도 잠재적 '생산직'이다. 생명은 그다음 생명을 예비하는 속성을 가진다.
정관 수술한 남편이 생산직에서 서비스직으로 전환된다는 농담도 같은 맥락...
나는 가장 비생산적인 생산직, 아기 엄마다. 내가 의사로 일할 때는 급여를 받지만 아기 엄마로는 돈을 못 번다. 어쩐지 움츠러든다. (생각해 보니한 푼도 못 버는 것은 아니다. 나라에서 아동 수당을 준다.) 무슨무슨 병원 무슨무슨 직책이 박힌 명함은 그럴듯해 보여도, '애엄마'라는 나의 일차적 역할은 애초에 명함에 쓸 수가 없다. 내가 집에서 아기 침과 토와 똥을묻혀가며 씨름하는 동안 내 동료들은 해외 학회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병원에서 수많은 환자를 치료하며 경력을 쌓고 승진을 거듭했다. 아아... 다들 '갓생'을 산다.아기 낳은 죄로나만 이렇게 비생산적인 삶을 산다. 상대적 박탈감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이다.
하지만 생물학만큼은 출산을 '생산'으로 쳐준다. 번식이 곧 성공과 동의어인 분야는 진화밖에 없다. (승자와 패자를 나누자는 것이 아니다. 오해 마시길...)문명사회는 고능률, 고생산을 맹렬히 추구하지만 적어도 자연과학의 관점에서 생명을 이해하면 그게 다가 아니다. 소득이나 효율 논리를 벗어나 삶의 연속성을 담당하는 재생산의 진가가 빛을 발한다. 그래서 빠듯한 출산 휴가, 비우호적 양육 환경, 쪼그라든 소득에 전전긍긍해야 하는 현실보다 내 마음에 드는 세계관이다.엄마라는 새로운정체성이 나로 하여금 과학을 더 탐구하게 만든다. 내 몸에 일어난 일, 내 몸이 해낸 일을 진정 이해하려면 문명의 경제 논리에서 잠시 뒤로 물러나 생물 진화와 인류학의 지혜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나는 오늘도 내일도 쓸모없고 비효율적인, 무용한 일들을 반복할 것이다. 아기가 잠들 때까지 하염없이 등을 토닥이고 머리카락을 어루만져줄 것이다. 아기와 몇 시간이고 오솔길에 쭈그려 앉아 개미떼를 바라볼 것이다. 이게 뭐냐고 수십 번 물어봐도 수십 번 대답을 해주고, 잘 먹지 않는 밥일지언정 정성껏 차려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인간이, 포유류가, 생명체가 그런 식의 존재이기 때문이다.그러면 아이를 배고, 낳고, 키워내는 지금의 시절을 조금 더 다채로운 의미로 채워 넣게 된다. 잘 나가는 동료들을 질투하던 못난 마음을 덜고, 짧지만 강렬한 재생산의 경험을 감사하게 된다. 하긴. 갓생이 뭐 별 건가! 피조물을 창조해 내는 삶, 이것 또한 'god생'이라고 불려 마땅하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