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MD의 식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영 Dec 25. 2024

시금치가 맛으로 빛날 때..

겨울 채소 시금치

빛나는 윤슬이 있던 남해 미국마을 앞 풍경. 뒤는 안 보는 게 좋다.

겨울이면 출장 가는 곳 대부분이 남쪽 해안가다. 간혹 태백산맥 너머 삼척이나 울진도 간다. 대부분 전라남도나 경상남도행이다. 오일장 취재를 5년 넘게 하고 있다. 벌써 오일장 책도 세 권이나 나왔다. 겨울에 푸른 풍경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경남 남해군에 가면 독일마을을 따라 한 미국마을이 있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애매한 크기의 독수리상과 자유 여신상이 입구를 지키고 있다. 지나가다가 슬쩍 쳐다보고 있으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잠시 차를 멈춘다. 목적은 그것들이 아니다. 햇살 좋은 날, 바닷가까지 층층이 푸른 밭이 펼쳐져 있다. 하늘, 바다와 땅 할 것 없이 온통 파란 풍경을 만날 수 있다. 땅의 푸름은 시금치, 마늘, 양파가 내는 색이다. 여름 다랭이 논 못지않은 풍광이다. 좋은 풍경 앞에서 음식 하나가 떠오른다. 제철 시금치 넣고 막 만들어 내 김 모락모락 나는 잡채. 겨울이면 잡채는 꼭 한 번은 한다. 겨울 시금치, 제철 맞은 시금치가 맛이 좋을 때다. 김밥도 그렇다.

서리는 시금치에게는 하늘이 주는 설탕 같은 존재다.

시금치는 겨울이 맛나다. 겨울이 되면 포항, 남해, 고흥, 완도 할 것 없이 남녘에서 나는 시금치를 가끔 산다. 원래 시금치를 싫어했다. 왜 먹는지를 몰랐다. 초등학교 시절, 소풍이나 운동회 때면 시금치 넣은 김밥을 쌌다. 엄마한테 시금치 빼달라는 이야기를 몇 번이 곤 했지만, 시금치는 그대로였고 내 등만 매번 아팠다. 그때는 그게 왜 그렇게 맛이 없다고 느꼈는지, 왜 늦봄 소풍의 시금치가 그리 맛이 없는지 그땐 몰랐고 지금은 안다. 기억 속, 그때 시금치는 길었다. 지금도 긴 시금치는 여름이면 만난다. 

겨울 시금치가 나오면 잡채를 가끔 한다. 잡채도 맛있을 때가 있다.

더운 여름에 잘 자라는 종으로 유럽이 원산지다. 더울 때 나오는 것 치고 단맛 나는 잎채소 찾기는 힘들다.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수분만 많을 뿐이다. 소풍이나 운동회는 더운 늦봄에 많이 했다. 그때의 시금치는 한겨울 비금도에서 땅바닥 기듯 자란 것과 맛도, 모양도 달랐다. 겨울, 남쪽에서 자라는 것은 동양종으로 추위에 강하다. 추위에 강한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다. 모양은 좋지 않아도 제철이기에 단맛이 가득하다. 보통 채소를 고르라 할 때 예쁘고 모양 좋은 것을 고르라 한다. 무슨 기준일까? 곰곰이 생각해 보자. 아마도 이 기준이 아닐까 싶다. 눈의 기준, 입의 기준이 아니고 말이다. 눈의 기준으로 고르면 보기만 좋다. 보기 좋은 것이 맛도 좋은 경우는 드물다.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고 하는 속담은 떡에 해당하는 것. 아무 데나 갖다 붙이지 말자. 그 마저도 요새는 각종 첨가물로 덕지덕지 치장한 것도 꽤 있다. 모양 좋고 예쁜 것을 고르라는 글이 지면이나 인터넷상에 차고 넘친다. 다시 이야기하지만 눈이 아닌 코와 잎으로 채소는 골라야 한다. 유럽 시장 풍경을 보면 채소 고를 때 사람들이 코로 냄새 맡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채소에 중요한 것은 향이다. 채소 고르는 요령 바꿀 때가 됐다. 시금치 이야기를 꺼낸 김에 조금 더하자면, 국 끓이는 것은 잎이 넓고 긴 것을 고르라 한다. 무치는 것은 잎이 좁고 짧은 것이 좋다고 한다. 다들 그러라 하니 그런 줄 안다. 네이버에서 ‘시금치 고르는 요령’으로 많은 글이 검색된다. 대부분이 위의 내용과 조사만 다를 뿐 비슷하다. 글의 순서도 요령, 주의점, 먹으면 좋은 점, 레시피 순이다. 하나만 알고 둘은 공부 안 해서 전혀 잘못된 줄도 모르는 전형적인 글이다. 검색만 해서 복불하고는 검색 내용이 맞는지 틀리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시금치의 맛과 모양은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겨울 시금치는 짤막한 모양새이지만 끓이든 삶든 단맛이 좋다. 여름에는 겨울 시금치처럼 짤막한 모양새의 시금치는 볼 수가 없다. 계절 따라 모양이 다른 시금치가 생산된다는 이야기다. 앞선 레시피에 제철을 대입하면 여름에는 시금치 무침을 할 만한 것이 없다. 

포항초 또한 땅바닥에 기듯이 자란다. 겨울에 나는 시금치 특성이다.

겨울에는 잎이 길쭉하게, 넓게 자라지 못한다. 얼어 죽기 십상이다. 만일 있다면, 하우스에서 혹은 공장 베드(수경재배)에서 재배한 것이다. 겨울 노지 시금치는 모양이 예쁘지 않다. 포항, 남해, 고흥, 신안에서 나는 것들이 다 그렇다. 어디가 중요하지는 않다. 짤막하거나 봄동처럼 납작 엎드려 자란다. 추위를 피하기 위한 방책이다. 추운 겨울을 맞이한 시금치일수록 색깔이 별로다. 거무튀튀한 색이 난다. 색이 검을수록 시금치의 단맛이 깊다. 겨울이 깊어질수록 시금치의 맛 또한 깊어진다. 눈이 보기에는 하우스에서 자란 것이 신선하고 좋아 보인다. 눈만 그렇다. 입과 혀의 기준으로는 시커먼 것이 맛있다. 시금치, 뭣이 중헌디 알면 눈으로 고르라 하지 않는다. 아, 말 나온 김에. 시금치 이야기할 때 수산 이야기는 좀 빼자. 담석의 원인 물질이 되는 것이 수산이다. 하루에 몇 kg을 꾸준히 먹어야 몸에 돌이 생길까 말까 한다. 그 이야기를 쏙 빼고 시금치 많이 먹으면 수산으로 인해 담석이 생길 수 있다는 이야기만 한다. 얼마를 먹어야 지는 쏙 빼고 말이다.  


#시금치 #포항초 #남해초 #보물섬 #남해 #겨울시금치 #제철 #오일장 #제철 #제철음식

#음식 #음식강연 #음식인문학 #식품MD

#가는날이제철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85162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