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사랑 Jun 12. 2023

제발 지켜주지 마세요

누구로부터?

어려서 많이 듣던 표어 중 하나가 "자연보호"였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늘 자연을 보호하고 지켜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 그리고 무엇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배운 기억이 별로 없습니다. 우리는 "무엇"으로부터 자연을 보호해야 하는 것일까요?




지중해성 기후를 가지고 있는 캘리포니아는 건조하고 더운 여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불이 나기에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캘리포니아의 대형 산불에 대해서 뉴스에서 여러 차례 들어 보셨을 것 같습니다. 저도 한국에 방문했을 때, 한국의 정부 관계자나 학자분들에게  캘리포니아의 산불과 캘리포니아의 예를 한국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자주 질문을 들었고 답변을 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캘리포니아의 날씨가 이러한 산불의 문제를 만드는 것이 맞나요? 만약 캘리포니아의 건조한 날씨가 모든 숲을 위협하고 태우는 것이라면, 캘리포니아를 방문하셨을 때, 만날 수 있는 그 크고 웅장한 숲들과 많은 녹지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방문하시는 세쿼이아 숲은 어떻게 유지될 수 있을까요? 그 유명한 제널럴 셔먼 (유명한 자이언트 세쿼이아 나무의 이름)은 어떻게 이천년이 넘는 동안 살아올 수 있었을까요? 운이 좋게도 불이 이 나무가 자라던 장소를 지난 2,000-3,000년 동안 피해서 간 것일까요?


과거에 캘리포니아의 자생종인 mountain whitethorn (ceanothus cordulatus)을 연구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이 종이 자라는 곳은 5-10년 (평균 7년)에 한 번씩 불이 나고 이 식물의 종자는 불이 나야 자연발아를 합니다. 이렇게 이 식물은 불과 함께 사이좋게 살아온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식물이 '보호'를 받기 시작하면서 발생했습니다. 이 식물이 살던 곳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이 식물을 ''로부터 보호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래서 이 식물은 7년에 한 번씩 탈수가 없어졌고, 그 몇 배가 되는 시간이 지난 후에야 타게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이제까지는 10kg의 유기물이 탔었는데, 이제는 한 번에 20kg 또는 30kg의 유기물이 한번에 타게 된 것입니다. 느긋하게 캠프파이어를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누군가 그 불을 2-3배로 늘린 경험을 하신 적이 있나요? 모두 한소리씩 하면서 캠프파이러를 둘러싸고 있는 원을 더 크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그 뜨거운 불은 이미 즐길 수 있는 허용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죠. 이렇게 불이 발생하는 주기를 늘리게 되면, 불은 훨씬 더 강하게 타고, 그 강한 불은 주변의 유기물을 더 쉽게 태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쉽게 수분을 증발시키고 더 멀리까지 불을 전파시킨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더 넓은 면적을 태우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뜨거운 불은 진화에도 더 어려움이 있게 됩니다. 또한 이 나무가 적응되어 있는 온도보다 훨씬 더 높은 온도로 불이 타니, 이 나무의 종자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평소와 다르게 더 많은 종자가 이 불에 타버리는 것이죠. 사람들이 이 식물을 ''로부터 보호한 것이 맞나요? 이 식물의 입장이라면 잘 살고 있었는데 생활이 더 괴롭게 된 것이 아닐까요? 정말 자연을 보호한 것일까요?


위에 자이언트 세쿼이아를 잠시 말씀드렸지만, 자이언트 세쿼이아를 포함한 이 근방에 사는 '키 큰' 침엽수들 역시 불을 잘 이용합니다. 자신은 불에 안 타고 경쟁상대들을 불에 태워 죽이는 방법으로 자신의 우위를 유지합니다. 만약 불에 대한 글들을 조금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머리를 갸우뚱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자료들이 침엽수는 불에 쉽게 상해를 받아서 산불이 활엽수에 유리하다고 얘기를 하고 있으니까요. 네, 둘 다 맞는 이야기입니다. 침엽수는 잎을 일 년에 한 번만 만들고 활엽수는 연중 내내 잎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침엽보다 활엽수가 불에 강하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불이 잎에 닿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네 그렇습니다. 이들 침엽수림 역시 산불의 주기가 매우 짧아, 바닥에 자라고 있는 키 작은 나무만 태우는 환경을 만듭니다. 이 불은 50m를 훌쩍 넘기는 키를 가지는 이들 침엽수의 잎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 아래에서 자라 올라오는 다른 미래의 경쟁상대만을 태워서 죽이게 되는 것이죠.


(자이언트 세쿼이아의 나이테는 이 나무가 주기적으로 많은 산불을 겪어왔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source: https://phys.org/news/2010-03-giant-sequoias-yield-longest-history.html))


이렇게 산불을 잘 이용하던 자이언트 세쿼이아에게도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 나무를 너무 사랑한 사람들이 이 나무를 ''로부터 보호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에서 경쟁상대들이 자라기 시작했습니다. 이 경쟁상대는 불이 났을 때 자이언트 세쿼이아의 잎을 태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키가 되었고, 또한 어러 층을 이루어서 불이 이 나무들을 계단 밟고 올라오듯이 올라와 자이언트 세쿼이아를 태울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지식을 습득하게 된 사람들은 이제는 주기적으로 이 숲을 태워서  이 나무를 ''을 이용해 보호하기 시작했습니다.


(자이언트 세쿼이아 숲에 처방화입을 하고 있습니다 (source: https://www.govtech.com/em/safety/yosemite-fire-threatens-iconic-giant-sequoia-trees))


(캐나다 로키산맥의 똑같은 장소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왼쪽은 McArther가 1888년에 찍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캐나다의 국립공원 관리청에서 1990년에 찍은 사진입니다.)


나무를 너무 사랑한 사람들이 숲을 ''로부터 보호한 것은 단지 미국만의 일은 아닙니다. 캐나다에서도 숲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숲을 ''로부터 열심히 보호했습니다. 위의 두 사진을 보시면 100년 전에 비해서 나무가 매우 많이 늘었고, 나무가 더 높은 고도까지 올라와 있음을 쉽게 눈치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람의 눈에는 아름다워 보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이는 야생동물에게는 매우 안 좋은 환경입니다. 야생동물은 기본적으로 초지(평지)와 숲의 경계면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는데 (먹이와 쉴 공간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환경은 먹을 것을 줄이고 이동을 어렵게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많은 연료가 쌓이므로 해서 산불이 이 숲의 매우 중요한 기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이 시스템에 큰 부담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좀 더 "자연적"인 환경으로 돌려주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만, 지난 100년 동안 인간의 영향이 너무 커서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처음 질문을 다시 한번 드려보고 싶습니다. 우리는 "무엇"으로부터 자연을 보호해야 하는 것일까요? 저희의 "자연보호"가 정말 자연을 보호했나요? 저희가 올바른 지식을 갖지 못하고 자연을 보호하려고 한다면, 저희는 자연을 "인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아니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 편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지도 모릅니다. 급격하게 변화하고 인간의 힘이 더욱더 커가는 현실에서, 올바른 지식이 더욱더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이전 04화 죽음의 학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