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rancis Lee Jun 16. 2023

북한 주민은 아사하고 남한 국민은 자살하고...

한반도의 미래는 절망밖에 없는가?

왜 우리는 서로 사랑하지 않나?


BBC가 이틀에 걸쳐 북한의 절망적인 상황을 설명해 주었다. 사실 내용을 보니 ‘별것’ 아니다.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이미 북한과 관련해서는 자주 있던 일이라는 말이다. 북한에서는 당연히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일이니 그렇다. 그런데 그 정도가 1990년 무렵부터 시작된 이른바 대고난의 시기와 비슷한 양상으로 흐르고 북한 주민이 이럴 바에야 전쟁이라도 나는 것이 낫다는 정서가 흐른다는 것이 문제다. 1990년대 대기근으로 북한 주민 약 300만 명이 사망하였다. 북한 인구가 2천만 명 남짓이니 10% 정도의 주민이 사라졌다는 말이다. 그러나 어찌어찌 버텨낸 북한이 이제 또 같은 고난의 길에 들어선 것이다.     


이런 와중에 한반도 주변 정세는 극도로 악화하여 많은 전문가가 실제로 전쟁이 날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될 정도의 상황에 와 있다. 게다가 대만전쟁과 함께 진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에 실질적인 제3차 세계대전의 가능성도 점쳐지기까지 한다.     


북한 주민의 어려움은 순전히 생존 자체에 있다. 먹고 살길이 막막하여 며칠 동안 굶다가 죽어가는 사람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고 한다. 과연 한반도에서는 결국 전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운명인가?     


그런 북한에 비해 남한은 일단 굶어 죽어야만 하는 사람이 극소수이다. 물론 걸식 아동의 숫자가 30만 명에 이르고 하루 한 끼도 해결 못 하는 가정의 인구가 수백만 명이 된다는 통계도 잡히는 상황에서 막연히 낙관적인 비교만 하기에는 부끄러운 상황이기는 하다. 그러나 북한처럼 수백만 명이 이사하는 경우를 남한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다.      


그러나 남한의 경우는 자살률이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슬픈 현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10대의 자살률 1위와 더불어 이른바 ‘불행을’ 1위라는 불명예를 동시에 지고 있는 나라에서 북한과 비교해서 낙관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게다가 노인빈곤율 역시 OECD 국가 1위인 나라다. 은퇴하고 나서도 생계를 위해 취업 전선에 나서야 하는 노인의 인구가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다.  

    

결국 남한이나 북한이나 국민이 살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은 같다. 체제가 완전히 다르고 경제 수준도 비교할 수 없는 두 나라인데도 행복과 생존이라는 잣대를 놓고 볼 때 남한이 완승했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는 말이다.

     

더구나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중국과 척지고 노골적으로 ‘미국 편’을 들면서 전쟁 불사의 의지를 불태우는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이 차라리 전쟁이 나는 것이 낫다는 정서와 맞물리는 경우가 되는 것이다.     


해결책은 무엇인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가장 선결 과제일 것이다. 당장 먹을 것이 없는 북한 주민의 생존 자체를 외면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BBC 기사에 나온 대로 북한은 현재 북한이 자랑하는 군대조차 먹여 살릴 식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식량 지원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그 식량이 배고픈 주민이 아니라 군대의 식량으로 전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북한 사회에 공급된다고 해도 부패가 만연한 상황에서 정작 굶어 죽는 주민에게 그 식량이 온전히 전달될지 확신할 수도, 검증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북한은 경제적으로 중국에 매달리는 상황에 부닥친 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BBC의 보도대로 북한이 두만강 국경 경비를 강화하면서 이른바 북한의 ‘지하 시장’마저 차단된 상황에서 주민들의 생존은 문자 그대로 절망적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다. 나라의 경제가 파국인 상황에서 무조건적인 경제적 지원은 모두 국가 운영 비용으로 충당되어 당장 굶어 죽는 이들을 위한 인도적 지원의 효과를 전혀 발휘하지 못하게 될 것은 불문가지의 일이다.

     

그렇다면 인도적 지원에 더해 뭔가 효과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단 한반도에서의 전쟁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급선무다. 그러나 이미 문재인 정부에서 경험한 대로 북한은 평화협정을 전제로 한 미국과의 직접 회담만을 요구하는 상황이기에 남한이 개입할 여지는 많지 않다. 트럼프가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김정은은 미국과의 교섭에서 그 당시 문재인 정부가 중간에 개입하는 것을 마뜩잖게 여겼다. 미국과 직접 형상을 통하여 ‘통 큰’ 결과만을 보고자 했다. 그러나 그런 의도가 수포가 되자 북한은 당장 태도를 바꾸어 남한과의 모든 대화를 차단해 버렸다. 북한의 일차 목표는 오로지 체제 유지일 뿐이다. 통일도 관심이 없다. 평화도 사실 관심이 없다. 오로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일종의 ‘왕조’ 유지에 모든 것을 걸고 있는 것이다.     


결국 평화 협상도 안 되면 남은 것은 역시 전쟁뿐이다. 그러나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일단 전쟁이 나면 최소한 몇 년 동안 이어진다. 그리고 설사 전쟁이 끝나도 그 후유증 치유에 몇 년이 걸린다. 특히 미국과 연관된 전쟁은 후유증이 더욱 컸다. 베트남,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우크라이나에서 우리는 그 사실을 잘 목격하고 있다. 미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 최강의 국가이다. 이 나라에서 맘만 먹으면 한 국가의 공군력에 버금가는 무력을 지닌 항공모함 몇 척만으로도 전쟁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나라와 벌인 전쟁에서 버틸수록 피해는 커져만 간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한때 미국과 맞먹는 군사력을 지녔던 러시아지만 이제 현실에서 러시아는 무한 소모전의 덫에 걸려서 꼼짝도 못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역시 미국의 지원이 없다면 당장 러시아에 항복 선언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무리 국민이 일치하여 러시아에 맞서 싸울 항전 의지로 불타올라도 손에 쥐고 싸울 무기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 현대전이다. 그 진실을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이 잘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북한이 전쟁을 일으킨다고 해도 북한이 자력으로 전쟁을 수행할 능력은 기껏해야 석 달도 안 될 것이 뻔한 상황에서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차단한다면 북한은 항복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러난 대로 러시아의 무기가 생각 밖으로 ‘형편없는’ 수준에 있고 미국의 무기가 매우 정교해지고 강화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난 이상 북한이 섣불리 전쟁에 나설 용기를 낼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북한이 원하는 평화협정을 미국이 쉽사리 맺어줄 리가 만무하다. 특히 민주당 정권은 전통적으로 북한을 무시하는 전략을 추구해 온 정당이고 바이든은 북한에게 양보할 생각이 전혀 없다. 그의 관심은 오로지 중국 밖에는 없다.     


그래서 한반도의 운명은 결국 중국의 손에 달려있다고 보인다. 미국이 맘만 먹으면 북한을 초토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도움 없이 북한이 단독으로 한미일 연합군을 상대할 능력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70여 년 전의 한국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막대한 인적 물적 지원 없이는 북한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물론 핵무기 50여 개와 그것을 나를 수 있는 미사일 시스템도 갖추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재래식 탄두를 장착한 미사일의 전술적 효능은 미미하다. 결국 핵무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지만 단 한 개의 핵미사일이라도 발사한다면 북한은 자멸의 길을 가게 될 것이다. 김정은이 누구보다 그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남은 카드는 역시 인도적 지원이되 북한 정부를 거치지 않은 북한 주민에게 직접 전달되는 식량 공급이 유일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적인 구호단체와 협력하는 수밖에는 없다. 현재 북한이 남한과의 모든 교류를 차단하고 남한과 미국 그리고 일본에 대한 적개심 고취와 핵무기 선전에 몰두하는 상황에서 다른 방법은 없다. 결국 사람은 배부르고 등 따스우면 싸울 맘이 안 들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북한 주민이 싸울 의지가 없는데 김정은과 그의 측근만으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참으로 암울한 한반도의 하늘이다. 오늘 날치는 이토록 청명하고 하늘은 저리 맑은데 우리네 마음에는 근심도 많다. 진도 아리랑 가사 한 구절이 떠오르는 날이다.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우리네 가슴엔 수심도 많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우리 조상님들도 나와 같이 수심이 많았나 보다.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것이 그리 힘든 일인가?


아래는 BBC 기사 원문과 내가 직접 초역 수준으로 번역한 것이다. 오탈자를 감안하고 보기 바란다. 필요한 분들이 참고하기 바란다.


BBC 북한 소식 2023 6 15     

https://www.bbc.com/news/world-asia-65881803?zephr-modal-register   


BBC 북한 소식 2023 6 15     

For months, the BBC has been communicating in secret with three North Koreans living in the country. They expose, for the first time, the disaster unfolding there since the government sealed the borders more than three years ago.

Starvation, brutal crackdowns, and no chance to escape.

We have changed their names to protect them.      

Myong Suk is hunched over her phone, desperately trying to make another sale. A shrewd businesswoman, she is secretly selling minuscule amounts of smuggled medicine to those who desperately need it - just enough so she can survive the day. She has already been caught once and could barely afford the bribe to stay out of prison. She cannot afford to be caught again. But at any moment there could be a knock on the door. It is not just the police she fears, it’s her neighbours. There is now almost no-one she can trust.      

This is not how it used to be.      

Myong Suk’s medicine business used to be thriving.      

But on 27 January 2020 North Korea slammed shut its border in response to the pandemic, stopping not just people, but food and goods, from entering the country. Its citizens, who were already banned from leaving, have been confined to their towns. Aid workers and diplomats have packed up and left. Guards are under order to shoot anyone even approaching the border. The world’s most isolated country has become an information black hole.     

Under the tyrannical rule of Kim Jong Un, North Koreans are forbidden from making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With the help of the organisation Daily NK, which operates a network of sources inside the country, the BBC has been able to communicate with three ordinary people. They are eager to tell the world about the catastrophic toll the border closure has taken on their lives. They understand if the government discovers they are talking to us, they would likely be killed. To protect them, we can only reveal some of what they have told us, yet their experiences offer an exclusive snapshot of the situation unfolding inside North Korea.     

“Our food situation has never been this bad,” Myong Suk tells us.     

Like most women in North Korea, she is the main earner in the family. The meagre wages men earn in their compulsory state jobs are all but worthless, forcing their wives to find creative ways to make a living.     

Before the border closure, Myong Suk would arrange for much-needed drugs, including antibiotics, to be smuggled across from China, which she would sell at her local market. She needed to bribe the border guards, which ate up more than half of her profits, but she accepted this as part of the game. It allowed her to live a comfortable life in her town in the north of the country, along the vast border with China.      

The responsibility to provide for her family has always caused her some stress, but now it consumes her. It has become nearly impossible to get hold of products to sell.      

Once, in desperation, she tried to smuggle the medicine herself, but was caught, and now she is monitored constantly. She has tried selling North Korean medicine instead, but even that is hard to find these days, meaning her earnings have halved.       

Now when her husband and children wake, she prepares them a breakfast of corn. Gone are the days they could eat plain rice. Her hungry neighbours have started knocking at the door asking for food, but she has to turn them away.       

“We are living on the front line of life,” she says.      

In a town elsewhere on the border, Chan Ho, a head-strong construction worker, is having a frustrating morning. “I want people to know that I am regretting being born in this country,” he vents.      

He is up early again to help his wife set up for the market, before hea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He dutifully carries her products and loads them on to her stall, fully aware that her business is the only reason he is still alive. The 4,000 won he makes a day – the equivalent of $4 (£3) - is no longer enough to buy one kilo of rice, and it has been so long since his family received government food rations, he has forgotten about them.      

The markets, where most North Koreans buy their food, are now almost empty, he says, and the price of rice, corn and seasonings has soared.      

Because North Korea does not produce enough food to feed its people, it relies on imports. In sealing the border, the government cut off vital supplies of food, along with the fertiliser and machinery needed to grow crops.      

At first Chan Ho was afraid he might die from Covid, but as time went on, he began to worry about starving to death, especially as he watched those around him die.      

The first family in his village to succumb to starvation was a mother and her children. She had become too sick to work. Her children kept her alive for as long as they could by begging for food, but in the end all three died. Next came a mother who was sentenced to hard labour for violating quarantine rules. She and her son starved to death.      

More recently, one of his acquaintance's sons was released from the military because he was malnourished. Chan Ho remembers his face suddenly bloating. Within a week he had died.      

“I can’t sleep when I think about my children, having to live forever in this hopeless hell,” he says.      

Hundreds of miles away, in the relative affluence of the capital Pyongyang, where tower blocks line the city’s river, Ji Yeon rides the subway to work. She is exhausted, after a similarly sleepless night.       

She has two children and her husband to support with the pennies she makes working in a food shop.      

She used to sneak fruit and vegetables out of the shop to sell at the market, alongside cigarettes her husband received in bribes from his co-workers. She would buy rice with the money. Now her bags are thoroughly searched when she leaves, and her husband’s bribes have stopped coming. No-one can afford to give anything away.      

“They’ve made it impossible to have a side-hustle,” she frets.       

Ji Yeon now goes about her day pretending she has eaten three meals, when in truth she has eaten one. Hunger she can endure. It is better than having people know she is poor.      

She is haunted by the week she was forced to eat puljuk – a mash of vegetables, plants and grass, ground into a porridge-like paste. The meal is synonymous with the very bleakest time in North Korea’s history – the devastating famine that ravaged the country in the 1990s, killing as many as three million people.      

“We survive by thinking 10 days ahead, then another 10, thinking that if my husband and I starve, at least we will feed our kids,” Ji Yeon says. Recently she went two days without food.      

 “I thought I was going to die in my sleep and not wake up in the morning,” she says.      

Despite her own hardship, Ji Yeon looks out for those worse off. There are more beggars now, and she stops to check on the ones lying down, but usually finds they are dead. One day she knocked on her neighbour’s door to give them water, but there was no answer. When the authorities went inside three days later, they discovered the whole family had starved to death.      

“It’s a disaster,” she says. “With no supplies coming from the border, people do not know how to make a living.” Recently she has heard of people killing themselves at home, while others disappear into the mountains to die. She deplores the ruthless mentality that has blanketed the city.       

“Even if people die next door, you only think about yourself. It’s heartless.” 

esy of NK News     

For months, rumours have been swirling that people are starving to death, prompting fears North Korea could be on the brink of another famine. The economist Peter Ward, who studies North Korea, describes these accounts as “very concerning”.      

“It’s all well and good to say you’ve heard about people starving to death, but when you actually know people in your immediate vicinity who are starving, this implies the food situation is very serious - more serious than we realised and worse than it has been since the famine in the late 1990s,” he says.      

Archive images from North Korea’s famine in the 1990s     

The North Korean famine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country’s relatively short history, sparking a breakdown in its rigid social order. The state, unable to feed people, gave them fragments of freedom to do what they needed to survive. Thousands fled the country, and found refuge in South Korea, Europe, or the United States.     

Meanwhile, private markets blossomed, as women began selling everything from soybeans, to used clothes and Chinese electronics. An informal economy was born, and with it a whole generation of North Koreans who have learnt to live with little help from the state – capitalists thriving in a repressive communist country.      

As the market empties out for the day, and Myong Suk counts her reduced earnings, she worries the state is coming after her and this capitalist generation. The pandemic, she believes, has merely provided the authorities with the excuse to re-exert its diminished control over people’s lives. “Really they want to crack down on the smuggling and stop people escaping,” she says. “Now, if you even just approach the river to China, you’ll be given a harsh punishment.”      

Chan Ho, the construction worker, is also nearing breaking point. This is the hardest period he has ever lived through. The famine was difficult, he says, but there were not these harsh crackdowns and punishments. “If people wanted to escape, the state couldn’t do much,” he says.       

“Now, one wrong step and you’re facing execution.”      

His friend’s son recently witnessed several executions carried out by the state. In each instance three to four people were killed. Their crime was trying to escape.       

“If I live by the rules, I’ll probably starve to death, but just by trying to survive, I fear I could be arrested, branded a traitor, and killed,” Chan Ho tells us.      

“We are stuck here, waiting to die.”      

Before the border closure, more than 1,000 escapees used to arrive in South Korea every year, but since then only a handful are known to have fled and made it to safety in the South.      

Satellite imagery, analysed by the NGO Human Rights Watch, shows that authorities have spent the past three years building multiple walls, fences and guard posts to fortify the border - making it almost impossible to flee.      

Merely trying to contact people outside the country is increasingly dangerous. In the past, residents near the border have been able to make secret phone calls abroad by connecting to Chinese mobile networks, using Chinese phones smuggled into the country. Now, at every community meeting, Chan Ho says anyone with a Chinese phone is told to turn themselves in. Recently Myong Suk’s acquaintance was caught talking to someone in China and was sent to a re-education prison for several years.       

By cracking down on smuggling and people's connection to the outside world, the state is stripping its citizens of their ability to fend for themselves, says Hanna Song from the North Korean Database Centre for Human Rights (NKDB).       

 “At a time when food is already scarce, it is fully aware of the damage this will cause,” she says.      

Yet these extreme controls could not keep coronavirus out. On 12 May 2022, almost two and a half years into the pandemic, North Korea confirmed its first official case.       

With no means to test people, those with a fever were, in effect, locked in their homes for 10 days. They and their entire household were forbidden from taking a single step outside. As the outbreak spread, whole towns and streets were locked down, on some occasions for more than two weeks.      

In Pyongyang, Ji Yeon watched from her window as some of her neighbours, who did not have enough food to last the lockdown, had vegetables put outside their door every other day. But up along the border there was no such help.       

Myong Suk panicked. She was already living day to day, meaning her cupboards were empty. This is how she ended up frantically selling medicine in secret, convinced it would be better to earn money and risk catching the virus than risk starvation.       

Chan Ho says five families were “half-dead” by the time they were released from a lockdown. They only survived by sneaking out to find food after dark. “Those strait-laced people who stayed at home could not survive,” he says.      

“People were clamouring, saying they were going to starve, and for a few days the government released some emergency rice from its stockpiles.” There are reports that in some areas lockdowns were called off early when it became clear people would not otherwise survive.      

Those who caught the virus could not rely on the country’s decrepit hospitals to treat them. Even basic medicine ran out. The official government advice was to use folk remedies to relieve symptoms. When Ji Yeon herself got sick, she desperately called her friends for tips. They recommended she drank boiling water infused with green onion roots.       

According to Ji Yeon, many old people and children have died from Covid-19. In a country where an estimated 40% of the population is malnourished, health experts say it makes sense that, unlike in other countries, children fell sick. One of the city’s doctors told Ji Yeon that during the outbreak about one in 550 people in each neighbourhood in Pyongyang died. If extrapolated to the rest of the country, that would equate to more than 45,000 deaths - hundreds of times the official death toll of 74. But everyone was given an alternative cause of death, she was told, be it tuberculosis or liver cirrhosis.      

In August 2022, three months after the outbreak, the government declared victory over the virus, claiming it had been eradicated from the country. Yet many of the quarantine measures and rules are still in place.      

When Kim Jong Un sealed the border in such an extreme manner, he surpris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is one of the most heavily sanctioned countries in the world, due to its pursuit of nuclear weapons. It is banned from selling its resources abroad, and unable to import the fuel it needs to function. Why, many asked, would a country already in economic ruin willingly inflict so much pain upon itself?      

“I think the leaders decided that Covid-19 could kill a lot of people, or at least the wrong kinds of people, the people they feared dying,” says Peter Ward, referring to the military and elite who keep the Kim family in power. With one of the worst healthcare systems in the world, and a malnourished and unvaccinated population, it was reasonable to assume many would die.      

But according to Hanna Song from NKDB, Covid has also presented Kim Jong Un with the perfect opportunity to re-exert control over people’s lives.       

“This is what he has secretly wanted to do for a really long time,” she says. “His priority has always been to isolate and control his people as much as possible.”      

After preparing and eating her meagre dinner, Ji Yeon washes the dishes and cleans her home once over with a damp towel. She climbs into bed early, hoping for a better night’s rest. She will probably manage more hours’ sleep than Chan Ho. Work is so busy now, he often has to sleep at his construction site.      

But in the relative quiet of her border town, Myong Suk steals a moment to unwind, sitting with her family to watch TV, using a battery they have charged up during the day.      

She particularly enjoys South Korean TV dramas, even though they are forbidden. The shows are smuggled across the border on micro-SD cards and sold in secret. The most recent release Myong Suk saw was about a K-pop star who shows up at his family’s house claiming to be their long-lost son. Since the border closure, hardly any new shows have made it into the country, she says. Plus, the crackdown has been so strong that people are being more careful.      

She is referring to the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Rejection Act, passed in December 2020. Under this law, those who smuggle foreign videos into the country and distribute them can be executed. Chan Ho calls this “the scariest new law of all”. Merely watching the videos can lead to 10 years in prison. The purpose of the law, according to a copy of the text obtained by the news organisation Daily NK, is to prevent the spread of “a rotten ideology that depraves our society”.      

The one thing Kim Jong Un is thought to fear above all else is his people learning about the prosperous and free world that exists outside their borders, and waking up to the lies they are being sold.       

Chan Ho says since the law was passed, foreign videos have almost disappeared. Only the younger generation dares to watch them, causing their parents immense worry.      

Ji Yeon recounts a recent public trial in Pyongyang. The local leaders were gathered to judge a 22-year-old man who had been sharing South Korean songs and films. He was sentenced to 10 years and three months in a hard-labour camp. Before 2020, Ji Yeon says this would have been a quiet trial, with perhaps one year in prison.       

“People were shocked how much harsher the punishment was,” she says. “It’s so scary, the way they are targeting young people.”      

Ryu Hyun Woo, a former North Korean diplomat who defected from the government in 2019, says the law was introduced to ensure young people’s loyalty, because they have grown up with such a different attitude from that of their parents. “We grew up receiving gifts from the state, but under Kim Jong Un the country has given people nothing,” he says. Young people now question what the country has ever done for them.      

To enforce the law, the government has created groups that go around “ruthlessly” cracking down on anything deemed anti-socialist, says Ji Yeon. “People don’t trust each other now. The fear is great.”      

Ji Yeon herself was taken in for questioning under the new law. Since her interrogation, she never reveals to others what she really thinks. She is more afraid of people now.      

This erosion of trust concerns Prof Andrei Lankov, who has been studying North Korea for 40 years. “If people don’t trust each other, there is no starting point for resistance,” he says. “What that means is North Korea can stabilise and last for years and decades to come.”      

In January 2023 the government passed yet another law, banning people from using words associated with the South Korean dialect. Breaking this law can, in the most extreme cases, also result in execution. Ji Yeon says there are now too many laws to remember, and that people are being taken away without even knowing which one they have supposedly violated. When they ask, the prosecutors simply respond by saying: “You don’t need to know which law you have broken.”      

“What these three North Korean people have shared supports the incredible idea that North Korea is even more repressive and totalitarian than it has ever been before,” says Sokeel Park, from the organisation Liberty in North Korea, that helps North Korean escapees.      

“This is devastating tragedy that is unfolding,” he says.      

Recently there have been signs the authorities could be preparing to open the border. Myong Suk and Chan Ho, who live along the border, say most of those in their towns have now been vaccinated against Covid - with the Chinese vaccine they presume - while in Pyongyang, Ji Yeon says a good number of people have received two shots. Furthermore, customs data shows the country is once again allowing some grain and flour over the border from China, possibly in an attempt to ease shortages and stave off a much-feared famine.      

But when North Korea finally decides to reopen, it is unlikely people’s old freedoms will be returned, says Chad O’Carroll, who runs the North Korea monitoring platform NK Pro.      

“These systems of control that have emerged during the pandemic are likely to cement. This will make it harder for us to understand the country, and sadly much harder for North Koreans to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outside of what they are told.”      

There are small signs however that the regime will not emerge unscathed from the hardship it has inflicted on its people over the past three years.      

Chan Ho says during the week, people do not think much about changing the system. They are so focused on finding one meal a day, simply happy to have food in front of them. But come the weekend, he, Myong Suk, and Ji Yeon have time to reflect.       

They must attend their weekly Life Review Session, compulsory for every citizen. Here they admit to their mistakes and failures, whilst reporting the shortcomings of their neighbours. The sessions are designed to encourage good behaviour and root out dissidents. They could never admit to it in the classroom, but Chan Ho says people have stopped believing the propaganda on TV.       

“The state tells us we are nestling in our mother’s bosom. But what kind of mother would execute their child in broad daylight for running to China because they were starving?” he asks.      

“Before Covid, people viewed Kim Jong Un positively,” says Myong Suk, “but now almost everyone is full of discontent.”      

For more than three years, North Korea has sealed its borders. People are banned from leaving or entering the country. Almost every foreigner who was inside has packed up and left. Three people inside North Korea have risked their lives to tell the BBC what is happening.       

Ji Yeon remembers when Kim Jong Un met President Trump in 2018, to negotiate giving up his nuclear weapons. She recalls being filled with hope and laughter, thinking perhaps she might soon be able to travel to foreign countries. The talks broke down, and since then Mr Kim has continued to spend his limited finances on improving his nuclear arsenal, spurning all offers of diplomacy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2022, he conducted a record number of missile tests.      

“We were tricked,” says Ji Yeon. “This border closure has taken our lives back 20 years. We feel hugely betrayed.      

“The people never wanted this endless weapons development, that brings hardship to generation after generation,” she laments.      

Chan Ho blam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US and UN seem half-witted,” he says, questioning why they still offer to negotiate with Kim Jong Un, when it is so clear he will not give up his weapons. Instead, the construction worker wishes the US would attack his country.       

“Only with a war, and by getting rid of the entire leadership, can we survive,” he says. “Let’s end this one way or another.”      

Myong Suk agrees. “If there was a war, people would turn their backs on our government,” she says. “That’s the reality.”      

But Ji Yeon hopes for something simpler. She wants to live in a society where people don’t starve, where her neighbours are alive, and where they don’t have to spy on each other. And she wants to eat three meals of rice a day.       

The last time we heard from her, she did not have enough to feed her child.      

We put our findings to the North Korean (DPRK) government.     

A representative from its embassy in London said: “The information you have collected is not entirely factual as it is derived from fabricated testimonies from anti-DPRK forces. The DPRK has always prioritised the interests of the people even at difficult times and has an unwavering commitment to the well-being of the people.       

“The people’s well-being is our foremost priority, even in the face of trials and challenges.”       

Read more: North Korea experts on what the BBC’s testimony means     

Credits

Author: Jean Mackenzie     

Producers: Hosu Lee and Won Jung Bae     

Images: NK News, Maxar, Getty Images      

The BBC would like to thank Lee Sang-Yong and the team at Daily NK for helping us to gather these interviews. We would also like to thank Chung Seung-Yeon and the team at NK News for helping us to verify some of our findings, and for providing us with photos and videos taken in North Korea.      

Published June 2023

  

몇 달 동안 BBC는 북한에 거주하는 3명의 북한 주민과 비밀리에 연락을 취해왔다. 그들은 3년여 전에 정부가 국경을 봉쇄한 이후 처음으로 그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난을 폭로한다. 굶주림, 잔인한 단속, 그리고 탈출할 기회가 없다. 우리는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의 이름을 바꿨다.

명석은 전화기 너머로 몸을 구부리고 필사적으로 또 다른 판매를 시도한다. 기민한 사업가인 그녀는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에게 밀수된 극소량의 약을 비밀리에 팔고 있다. 그녀는 이미 한 번 잡힌 적이 있고 뇌물을 간신히 감당할 수 있었다. 그녀는 다시 잡힐 여유가 없다. 그러나 언제든지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릴 수 있다. 그녀가 두려워하는 것은 경찰만이 아니라 그녀의 이웃이다. 이제 그녀가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명숙의 의약 사업은 한때 번창했다. 그러나 2020년 1월 27일 북한은 대유행에 대응하여 국경을 강타하여 사람뿐만 아니라 식량과 상품의 입국을 막았다. 이미 출국이 금지된 시민들은 마을에 갇혀 있다. 구호 활동가들과 외교관들은 짐을 싸서 떠났다. 경비원은 국경에 접근하는 사람이라도 사살하라는 명령을 받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가 정보 블랙홀이 되었다.

김정은의 횡포한 통치 아래에서 북한 주민들은 외부 세계와의 접촉이 금지되어 있다. BBC는 국내 취재원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데일리NK의 도움으로 일반인 3명과 소통할 수 있게 됐다. 그들은 국경 폐쇄가 그들의 삶에 닥친 재앙적인 피해에 대해 세상에 알리고 싶어 한다. 그들은 정부가 그들이 우리와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살해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이해한다.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말한 것 중 일부만 공개할 수 있지만 그들의 경험은 북한 내부에서 전개되는 상황에 대한 독점적인 스냅숏을 제공한다.

북한의 대부분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그녀는 가족의 주요 소득자이다. 의무적인 국가 직업에서 남성이 버는 빈약한 임금은 거의 가치가 없으므로 아내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창의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국경이 폐쇄되기 전에 명숙은 항생제를 포함하여 절실히 필요한 의약품을 중국 전역으로 밀반입하여 현지 시장에서 판매했다. 그녀는 국경수비대에게 뇌물을 주어야 했고, 국경수비대가 수익의 절반 이상을 먹어 치웠지만, 그녀는 이것을 게임의 일부로 받아들였다. 그것은 그녀가 중국과의 광대한 국경을 따라 북쪽에 있는 그녀의 마을에서 편안한 삶을 살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녀의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책임은 항상 그녀에게 약간의 스트레스를 주었지만, 지금은 그것이 그녀를 소모시킨다. 판매할 제품을 확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졌다.

한 번은 필사적으로 약을 직접 밀반입하려 했으나 적발돼 지금은 상시 감시를 받고 있다. 대신 북한산 약을 팔아봤지만, 요즘은 그것도 구하기 힘들어 수입이 반토막이 났다.

이제 그녀는 남편과 아이들이 일어나면 옥수수로 아침 식사를 준비한다. 일반 쌀을 먹을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배고픈 이웃들이 음식을 달라고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지만, 그녀는 그들을 물리쳐야 한다.

“우리는 삶의 최전선에서 살고 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국경 너머 다른 마을, 고집 센 건설 노동자 찬호는 답답한 아침을 보내고 있다. 그는 “내가 이 나라에 태어난 것을 후회한다는 걸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다”라고 토로했다.

그는 공사장으로 향하기 전에 아내를 돕기 위해 다시 일찍 일어났다. 그는 성실하게 그녀의 제품을 운반하고 그녀의 포장마차에 싣고 그녀의 사업이 그가 아직 살아있는 유일한 이유임을 완전히 알고 있다. 4달러에 해당하는 하루 버는 4,000원은 더 이상 쌀 1kg을 사기에도 부족하고, 그의 가족은 식량 배급을 받은 지 너무 오래되어 배급을 잊고 있다.

대부분의 북한 사람이 음식을 사는 시장은 이제 거의 비어 있고 쌀, 옥수수, 조미료의 가격이 치솟았다고 그는 말한다.

북한은 주민들을 먹일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경을 봉쇄하면서 정부는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비료 및 기계와 함께 중요한 식량 공급을 차단했다.

찬호는 처음에 코로나로 죽을까 봐 두려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 사람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며 굶어 죽을까 봐 걱정하기 시작했다.

그의 마을에서 굶주림에 굴복한 첫 번째 가족은 어머니와 그녀의 아이들이었다. 그녀는 일하기에 너무 아팠다. 그녀의 아이들은 음식을 구걸하며 가능한 한 오래 그녀를 살렸지만 결국 세 사람 모두 죽었다. 다음은 자가격리 위반으로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엄마다. 그녀와 그녀의 아들은 굶어 죽었다.

최근에는 지인의 아들 중 한 명이 영양실조로 군에서 제대했다. 찬호는 갑자기 얼굴이 부어오른 것을 기억한다. 일주일 안에 그는 죽었다.

“이 절망적인 지옥에서 영원히 살아야 하는 내 아이들을 생각하면 잠을 이룰 수 없다.”라고 그는 말한다.

수백 마일 떨어진 상대적으로 부유한 수도 평양에서 지연은 지하철을 타고 출근한다. 그녀는 비슷하게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낸 후 지쳤다.

그녀는 식품점에서 일하면서 번 돈으로 부양할 두 자녀와 남편이 있다.

그녀는 남편이 동료들에게 뇌물로 받은 담배와 함께 과일과 채소를 가게 밖으로 슬그머니 몰래 시장에 내다 팔곤 했다. 그녀는 그 돈으로 쌀을 살 것이다. 이제 그녀가 떠날 때 그녀의 가방은 철저하게 수색되고 남편의 뇌물은 더 이상 오지 않았다. 누구도 무엇이든 포기할 여유가 없다.

"그들은 부업을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라고 그녀는 초조해한다.

지연은 이제 세끼 먹은 척하며 하루를 보내고 있는데, 사실은 한 끼를 먹은 것이다. 그녀가 견딜 수 있는 배고픔. 그녀가 가난하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보다 낫다.

그녀는 풀죽(채소, 식물, 풀을 으깨서 죽 같은 반죽으로 만든 풀죽)을 먹도록 강요받은 그 주에 괴로워한다. 이 식사는 북한 역사상 가장 암울했던 시기, 즉 1990년대 북한을 황폐화해 무려 3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엄청난 기근과 동의어이다.

지연은 “남편과 내가 굶어 죽으면 적어도 우리 아이들은 먹일 수 있을 거로 생각하며 10일 앞을 생각하고 또 10일을 생각하며 살아간다”라고 말했다. 최근에 그녀는 음식 없이 이틀을 보냈다. “잠을 자다가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는 줄 알았어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자신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연은 더 어려운 사람들을 돌본다. 이제 더 많은 거지가 있고, 그녀는 누워있는 사람들을 확인하기 위해 멈춰 섰지만, 대개는 그들이 죽은 것을 발견한다. 어느 날 그녀는 이웃집 문을 두드려 물을 주었지만, 대답이 없었다. 3일 후 당국이 안으로 들어갔을 때 그들은 온 가족이 굶어 죽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재앙이다. "라고 그녀는 말한다. “국경에서 공급품이 들어오지 않아 사람들은 생계를 꾸려 나갈 방법을 모른다.” 최근에 그녀는 사람들이 집에서 자살하고 다른 사람들은 산으로 사라져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녀는 도시를 뒤덮은 무자비한 사고방식을 한탄한다.

“옆집 사람이 죽어도 자기 생각만 해요. 무정하다.”

몇 달 동안 사람들이 굶어 죽는다는 소문이 돌면서 북한이 또 다른 기근에 직면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 북한을 연구하는 경제학자 피터 워드는 이러한 설명을 "매우 우려스럽다"라고 설명한다.

“사람들이 굶어 죽는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말하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실제로 바로 근처에 있는 사람들이 굶어 죽는다는 것을 알게 되면 식량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대 말 기근 이후로 계속됐다”라고 말했다.

북한의 기근은 상대적으로 짧은 북한의 역사에 전환점이 되었고, 경직된 사회질서가 붕괴되었다. 사람들을 먹여 살릴 수 없는 국가는 그들에게 생존에 필요한 일을 할 수 있는 자유의 일부를 주었다. 수천 명이 나라를 떠나 한국, 유럽 또는 미국으로 피난처를 찾았다.

한편, 여성들이 콩에서 중고 옷, 중국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팔기 시작하면서 개인 시장이 꽃을 피웠다. 비공식 경제가 탄생했고, 그와 함께 국가의 도움을 거의 받지 않고 사는 법을 배운 북한 주민들, 즉 억압적인 공산주의 국가에서 번창하는 자본가들이 탄생했다.

하루 동안 시장이 텅 비고 명숙은 줄어든 수입을 계산하면서 국가가 자신과 이 자본주의 세대를 좇고 있다고 걱정한다. 그녀는 팬데믹이 사람들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다시 발휘할 구실을 당국에 제공했을 뿐이라고 믿는다. "실제로 그들은 밀수를 단속하고 사람들이 탈출하는 것을 막고 싶어 한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이제 중국으로 가는 강에 접근만 해도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될 것이다.”

건설 노동자 찬호도 한계점에 다다랐다. 이것은 그가 살아온 가장 힘든 시기이다. 기근은 힘들었지만 이렇게 가혹한 단속과 처벌은 없었다고 그는 말한다. “사람들이 탈출을 원하면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라고 그는 말한다.

그의 친구의 아들은 최근 국가에서 여러 차례 사형을 집행하는 것을 목격했다. 각각의 사례에서 3~4명이 사망했다. 그들의 범죄는 탈출을 시도한 것이다.

“법대로 살면 아마 굶어 죽을 텐데, 살려고만 해도 체포되어 반역자로 낙인찍혀 죽임을 당할까 봐 두렵다.”라고 찬호는 말한다.

국경 폐쇄 이전에는 매년 1,000명 이상의 탈북자가 남한에 도착했지만, 그 이후에는 극소수만이 남한으로 안전하게 탈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NGO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가 분석한 위성 이미지는 당국이 국경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3년 동안 여러 개의 벽, 울타리와 감시초소를 건설하여 도망가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순히 해외에 있는 사람들과 연락을 시도하는 것만으로도 점점 더 위험해진다. 과거 국경지역 주민들은 밀반입된 중국산 전화를 이용해 중국 이동통신망에 접속해 해외로 비밀 전화를 걸 수 있었다. 이제 찬호는 마을 회합 때마다 중국산 전화를 가진 사람은 누구든지 자수하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최근 명석의 지인은 중국에서 누군가와 통화하다 적발돼 몇 년 동안 교화소에 보내졌다.

북한인권데이터베이스센터(NKDB)의 송한나는 "밀수와 외부 세계와의 연결을 단속함으로써 국가는 시민들의 자립 능력을 박탈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식량은 이미 부족한 상황에서 이것이 야기할 피해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통제는 코로나바이러스를 막을 수 없었다. 2022년 5월 12일, 팬데믹이 시작된 지 거의 2년 반이 지났을 때, 북한은 첫 공식 사례를 확인했다.

사람들을 검사할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열이 있는 사람들은 사실상 10일 동안 집에 갇혀 있었다. 그들과 그들의 온 가족은 한 발짝도 밖으로 나가는 것이 금지되었다. 발병이 확산하면서 전체 마을과 거리가 폐쇄되었고 때에 따라 2주 이상 폐쇄되기도 했다.

평양에서 지연은 봉쇄 동안 식량이 부족한 이웃들이 격일로 채소를 문밖에 두는 모습을 창문으로 바라봤다. 그러나 국경을 따라 올라가면 그러한 도움이 없었다.

명숙은 당황했다. 그녀는 이미 하루하루를 살고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찬장은 텅 비어 있었다. 이렇게 그녀는 굶어 죽는 것보다 돈을 벌고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 더 낫다고 확신하며 미친 듯이 비밀리에 약을 팔게 되었다.

찬호는 다섯 가족이 봉쇄에서 풀려났을 때 "반쯤 죽은" 상태였다고 말했다. 그들은 어두워진 후에 몰래 빠져나와 음식을 찾아야만 살아남았다. “집에 틀어박혀 살던 사람들은 살아남을 수 없었다.”라고 그는 말한다.

“사람들이 굶어 죽는다고 떠들어대는데 정부가 비축해 둔 비상미를 며칠간 풀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이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을 때 일부 지역에서 봉쇄가 조기에 해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은 그들을 치료하기 위해 국가의 낡은 병원에 의존할 수 없었다. 기본적인 약도 떨어졌다. 공식적인 정부 조언은 민간요법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었다. 지연은 몸이 아파지자 필사적으로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어 조언을 구했다. 파뿌리를 우려낸 끓는 물을 마시라고 권했다.

지연에 따르면 코로나19로 많은 노인과 어린이가 사망했다. 인구의 약 40%가 영양실조에 걸린 나라에서 보건 전문가들은 다른 나라와 달리 아이들이 병에 걸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한다. 도시의 한 의사는 지연에게 평양의 각 동네에서 약 550명 중 1명이 사망했다고 말했다. 나머지 국가로 추정하면 공식 사망자 수인 74명의 수백 배인 45,000명 이상이 사망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다른 사망 원인이 주어졌다고 그녀는 말했다.

발병 3개월 후인 2022년 8월, 정부는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근절됐다고 주장하며 바이러스에 대한 승리를 선언했다. 그러나 많은 검역 조치와 규칙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

김정은이 이렇게 극단적으로 국경을 봉쇄하자 국제사회는 놀랐다. 북한은 핵무기를 추구하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재를 받는 국가 중 하나이다. 자원을 해외에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기능에 필요한 연료를 수입할 수 없다. 많은 사람이 왜 이미 경제 파탄에 빠진 나라가 자진해서 그토록 많은 고통을 가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피터 워드는 김 씨 일가의 권력을 유지하는 군부와 엘리트를 언급하며 "지도자들이 코로나19로 많은 사람, 적어도 잘못된 종류의 사람들, 그들이 두려워하는 사람들을 죽일 수 있다고 결정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세계 최악의 의료 시스템 중 하나와 영양실조 및 예방 접종을 받지 못한 인구로 인해 많은 사람이 사망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그러나 NKDB의 송한나에 따르면 코로나19는 김정은에게 사람들의 삶을 다시 통제할 완벽한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것은 그가 정말 오랫동안 비밀리에 하고 싶었던 일이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의 우선순위는 항상 그의 백성을 가능한 한 많이 격리하고 통제하는 것이었다."

빈약한 저녁 준비와 식사를 마친 지연은 설거지와 젖은 수건으로 집을 한 번 청소한다. 그녀는 더 나은 밤의 휴식을 바라며 일찍 잠자리에 든다. 그녀는 아마 찬호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게 될 것이다. 지금은 일이 너무 바빠서 공사장에서 자주 자야 한다.

그러나 국경 마을의 비교적 조용한 곳에서 명숙은 가족과 함께 앉아 낮 동안 충전한 배터리를 사용하여 TV를 보면서 긴장을 풀기 위해 잠시 시간을 보낸다.

그녀는 금지된 한국 TV 드라마를 특히 즐긴다. 쇼는 마이크로 SD 카드로 국경을 넘어 밀수되어 비밀리에 판매된다. 명석이 본 가장 최근의 릴리스는 오랫동안 잃어버린 아들이라고 주장하며 가족의 집에 나타나는 K-pop 스타에 관한 것이다. 국경 폐쇄 이후 새로운 쇼가 거의 국내에 들어오지 않았다고 그녀는 말한다. 게다가 단속이 너무 강해서 사람들이 더 조심하고 있다.

2020년 12월 통과된 반동사상문화 배척법을 말하는 것이다. 찬호는 이를 "가장 무서운 신법"이라고 부른다. 영상만 봐도 징역 10년형에 처할 수 있다. 언론사 데일리NK가 입수한 텍스트 사본에 따르면 이 법의 목적은 “우리 사회를 타락시키는 썩은 이데올로기”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다.

김정은이 무엇보다 두려워하는 한 가지는 그의 사람들이 국경 밖에 존재하는 번영하고 자유로운 세계에 대해 배우고 그들이 팔리고 있는 거짓말에 눈을 뜨는 것이다.

찬호는 법이 통과된 이후 외국 영상이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젊은 세대만이 감히 그들을 지켜보고 있어서 부모들은 엄청난 걱정을 하고 있다.

지연은 최근 평양에서 열린 공개 재판에 관해 이야기한다. 한국 노래와 영화를 공유한 22세 남성을 심사하기 위해 현지 지도자들이 모였다. 그는 10년 3개월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았다. 지연은 2020년 이전에 이것이 아마도 1년의 징역형을 받는 조용한 재판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처벌이 얼마나 가혹한지 충격을 받았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들이 젊은이들을 표적으로 삼는 방식이 너무 무섭다."

2019년 탈북한 전직 북한 외교관 류현우는 부모와 다른 태도로 성장한 젊은이들의 충성심을 보장하기 위해 법이 도입됐다고 말했다. “우리는 국가로부터 선물을 받고 자랐지만, 김정은 치하에서 국가는 사람들에게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라고 그는 말한다. 젊은이들은 이제 국가가 그들을 위해 무엇을 했는지 묻는다.

법을 집행하기 위해 정부는 반사회주의로 간주하는 모든 것을 "무자비하게" 단속하는 단체를 만들었다고 지연은 말한다. “지금 사람들은 서로를 믿지 않는다. 두려움이 크다.”

지연은 새 법에 따라 심문받았다. 심문 이후로 그녀는 자신이 진정으로 생각하는 바를 다른 사람에게 절대로 밝히지 않는다. 그녀는 이제 사람들을 더 두려워한다.

이러한 신뢰의 침식은 40년 동안 북한을 연구해 온 안드레이 란코프(Andrei Lankov) 교수와 관련이 있다. "사람들이 서로를 신뢰하지 않는다면 저항의 출발점이 없다."라고 그는 말한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북한이 안정되고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2023년 1월 정부는 한국 방언과 관련된 단어 사용을 금지하는 또 다른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을 위반하면 가장 극단적인 경우 사형에 처할 수도 있다. 지연은 기억해야 할 법이 너무 많고, 어떤 법을 어겼는지 모른 채 끌려가고 있다고 말한다. 묻자 검찰은 “어떤 법을 어겼는지 알 필요 없다”라고만 답한다.

탈북자를 돕는 단체인 북한의 자유(Liberty in North Korea)의 박석길은 “이 세 명의 탈북자가 공유한 것은 북한이 그 어느 때보다 훨씬 더 억압적이고 전체주의적이라는 믿을 수 없는 생각을 뒷받침한다”라고 말했다.

"이것은 펼쳐지고 있는 파괴적인 비극이다."라고 그는 말한다.

최근 당국이 국경을 개방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징후가 나타났다. 국경을 따라 사는 명숙과 찬호는 그들의 마을에 있는 대부분 사람이 이제 그들이 추정하는 중국 백신으로 코비드에 대한 예방 접종을 받았다고 말하지만, 지연은 평양에 있는 많은 사람이 두 번의 주사를 맞았다고 말한다. 게다가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부족을 완화하고 크게 두려워하는 기근을 막기 위한 시도로 중국에서 국경을 넘는 곡물과 밀가루를 다시 한번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마침내 재개를 결정하더라도 사람들의 예전 자유가 반환될 것 같지는 않다고 북한 모니터링 플랫폼인 NK 프로를 운영하는 채드 오캐롤은 말한다.

“팬데믹 동안 등장한 이러한 통제 시스템은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우리가 북한을 이해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것이며, 슬프게도 북한 사람들이 들은 것 외에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기가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다.”

그러나 북한 정권이 지난 3년 동안 국민에게 가한 고난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작은 징후들이 있다.

찬호는 주중에 사람들이 시스템을 바꾸는 것에 대해 별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들은 하루에 한 끼 식사를 찾는 데 너무 집중하고 있으며, 그들 앞에 음식이 있다는 것만으로 행복하다. 하지만 주말이 오면 그와 명석, 지연은 반성의 시간을 갖는다.

그들은 모든 시민에게 의무적인 주간 생활 검토 세션에 참석해야 한다. 여기에서 그들은 이웃의 결점을 보고하면서 자신의 실수와 실패를 인정한다. 이 세션은 좋은 행동을 장려하고 반체제 인사를 근절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교실에서는 절대 인정할 수 없지만 찬호는 사람들이 TV의 선전을 더 이상 믿지 않는다고 말한다.

“국가는 우리가 어머니 품에 안겼다고 한다. 그런데 어떤 어머니가 자식이 굶주려 중국으로 도망갔다고 대낮에 처형하겠습니까?” 그는 묻는다.

명숙은 “코로나 이전에는 사람들이 김정은을 긍정적으로 봤지만, 지금은 거의 모든 사람이 불만으로 가득 차 있다”라고 말했다.

북한은 3년 넘게 국경을 봉쇄했다. 사람들은 출국 또는 입국이 금지된다. 안에 있던 거의 모든 외국인이 짐을 싸고 떠났다. 북한 내부의 세 사람이 목숨을 걸고 BBC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렸다.

지연은 김정은이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핵무기 포기 협상을 했을 때를 기억한다. 그녀는 희망과 웃음으로 가득 찼던 것을 회상하며, 그 이후로 김정은은 제한된 재정을 핵무기 개선에 계속 사용하면서 국제사회의 모든 외교 제안을 거절했다. 2022년에 그는 기록적인 수의 미사일 시험을 했다.

지연은 "우리는 속았다"라고 말했다. “이 국경 폐쇄는 우리의 삶을 20년 전으로 되돌려 놓았다. 우리는 엄청난 배신감을 느낀다.

“대대로 고난을 안겨주는 이 끝없는 무기 개발을 국민은 절대로 원하지 않았다.”라고 그녀는 한탄한다.

찬호는 국제사회를 탓한다. 그는 “미국과 유엔은 얼간이처럼 보인다”라며 김정은이 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 분명한데 왜 여전히 협상을 제안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대신 건설 노동자는 미국이 자신의 나라를 공격하기를 바란다.

"전쟁을 통해서만, 그리고 전체 지도부를 제거해야만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다."라고 그는 말한다. "이런 식으로 끝내자."

명숙도 동의한다. “전쟁이 나면 사람들은 우리 정부에 등을 돌릴 것이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하지만 지연은 더 간단한 것을 원한다. 그녀는 사람들이 굶지 않고, 이웃이 살아 있고, 서로를 염탐할 필요가 없는 사회에서 살고 싶어 한다. 그리고 그녀는 하루 세끼의 밥을 먹고 싶어 한다.

우리가 그녀의 마지막 소식을 들었을 때, 그녀는 자기의 아이를 먹일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

우리는 조사 결과를 북한(북한) 정부에 알렸다.

런던 주재 영국 대사관 관계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귀하가 수집한 정보는 반공화국 세력의 조작된 증언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사실이 아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어려운 시기에도 항상 인민의 리익을 우선시하고 인민의 복리를 위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시련과 도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안녕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북한과 소련의 우호 관계는 중국에 어부지리가 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