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나링 Dec 06. 2022

비밀이야

그 자리의 뉘앙스

친구가 비밀을 말해줄테니 너도 비밀을 만들어 오라고 해서(..! 하지만 난 비밀이 없는걸? 너에게? ) 이 참에 비밀을 하나씩 써보았는데 1번까지는 괜찮았다. 2번부터는 도저히 말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다행히 나에게도 비밀이 있었다. 


얼마 간에 확실히 느낀게 있다면 일상을 글로 녹여내고 보여주는 일은 때때로 수치스럽다는 점이다. 그 수치심은 섹슈얼한 욕망을 가감없이 드러내거나 일상을 노출하는 데에서 오지 않는다. 그보다는 나의 일부분을 공개하고 싶다는 열망 자체에서 온다. 내가 어떤 인간인지 보여주고 싶다는 마음. 그 욕망에 간단히 지배되어 버리니까. 

아니 에르노는 말했다. “자기가 겪은 일을 글로 쓰는 사람을 노출증 환자쯤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노출증이란 같은 시간대에 남들에게 자신을 드러내 보이고 싶어하는 병적인 욕망이니까.” 그렇다면 나는 이 시대에 걸맞는 노출증 환자인 것 같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마찬가지다. 이십대의 에르노에게 인스타그램이 있었다면 그녀는 어떤 방식으로 자신을 노출했을까. 에르노는 내가 겪은 진실 외에는 쓰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1988년 만난 연하의 외국인 유부남 연인과의 이야기를 소설로 발표했다. <단순한 열정>은 1991년에 출판되었다. 그녀는 202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다.


일상 속엔 타인이 넘쳐난다. 그리고 난 사적이지만 공개적인 기록에 그들을 어떤 방식으로 어디까지 포함시켜야 할지 고민하다가 쉽게 포기하곤 한다. 사적인 기록을 사적으로 남긴다. 그건 내게 포기에 가깝다. 일상을 편집하여 기록하는 건 다분히 즐겁고 기록만으로 의미를 갖지만 공개/비공개의 문제는 별개로 존재한다. 쓰고 싶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쓸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써야만 하는 것과 쓰여선 안되는 것이 있다. 그 동안의 결심. 부드러운 날들은 간결하게 새겨둔다. 


기억 없이는 별로 살고 싶지도 않다. 지난 날을 덩어리로 간직하기 위해 기억에 가깝게 기록한다. 나는 기록을 너무너무 좋아하니까 앞으로도 계속 할 생각이다. 기록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개될 것이다. 이건 정말 이상한 기분이다. 나의 일상을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겠다는 열정은 흔하지만 낯설다. 공개적인 사적 기록은 무언의 경계를 요구하며 비밀은 타인에 의해 간직된다. 그 사이에서 말하기를 거듭하여 연습한다. 그 자리의 뉘앙스. 무엇이든 박제하고 싶진 않다. 최근에 수집한 단어의 목록처럼.


“ 너의 이십 대 단어는 뭐야?” 아빠는 대수롭지 않게 물었다. 일단 떠오르는 단어를 말하고 엄마 아빠의 단어를 번갈아 들었다. 친구를 만났을 때 질문이 떠오르면 묻고 그렇지 않으면 묻지 않았다. 물음을 던지면 뜻밖의 단어를 듣는다. 김사월을 들을 때처럼 듣는다. 난 김사월을 듣지 않을 때도 그녀를 듣고 있다. 튀어나온 단어는 되도록이면 가볍게 생각한다. 중요한 건 충동성. 목록은 갱신된다. 질문을 던진 뒤 단어가 기억되는 방식이 좋았다. 나는 충동적으로 '낭만'이라고 답했다. 그 후로도 종종 '낭만'을 떠올렸지만 이젠 그것에 대해 그만 생각해도 될 것 같다. 어느 순간부터 부족하지도 넘치지도 않는게 이 정도면 충분히 낭만적이다. 하지만 사실 가장 먼저 떠오른 단어는 따로 있었다. 그 단어를 떠올리자마자 헉 하고 단숨에 삼켰는데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충동적으로 이게 맞는 것 같다. 글로 못 쓰겠다. 다양한 방식으로 쓰고 지웠다. 이건 스타벅스만큼 남자를 좋아한다는 말과 비슷하다. 


p.s. 요즘 가벼운 나의 단어는 야생(wild). 틈틈이 장난치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무엇인가 만들어져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