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현우 Aug 22. 2017

<더 테이블>: 소심해진 김종관, 느낌적인 느낌의 감성

소심해진 김종관, 심심한 <더 테이블>



소심해진 김종관, 심심한 <더 테이블>

브런치 무비패스 덕에 감사하게도 기대하던 김종관 감독의 <더 테이블>을 개봉 전에 미리 볼 수 있었다. 이 작품을 기대했던 이유는 감독의 전작인 <폴라로이드 작동법>, <최악의 하루>를 꽤나 재밌게 봤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순한 신작도 아니고 더 빵빵한 배우진으로 신작을 낸다고 하니 팬으로서 기대하지 않을 방도가 없었다. 이제는 김종관 영화에서 빠지면 안될 것 같은 정유미, 한예리에 더해서 정은채 "그리고 임수정"이라니.


좋아할만한 건 다 갖춰진 것 같은데, 정작 영화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내용은 너무 뻔해서 새로운 게 없고, 의도한 반전은 예측이 가능한데 감동스럽지도 통찰력이 있지도 않았고, 독특한 연출이랄 것도 없었다. 한 장소에서 두 인물이 대화하는 것만 찍은 영화가 어디 한 둘인가? 전작보다 유명하고 잘 나가는 배우들을 많이 섭외해서 김종관이 잘 나가는 감독 중 하나가 되었단 것만 확인시켜줄 뿐이다(혹은 여배우들이 같이 작업하고 싶어하는). 시나리오 디벨롭에 써야할 에너지를 배우 섭외에 다 써버린 건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최악의 하루>를 제작할 당시에 상당히 힘들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이는 감독의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투자자를 잃었고, 로케이션도 뜻대로 되지 않았다. 영화 작업을 할 때 가장 메꾸기 힘든 구멍이 뻥 뚫려버렸으니 감독 입장에서는 영화를 엎어버릴까 고민도 해보지 않았을까? 영화를 마지막까지 완성하려해도 리스크가 있고, 이걸 덮으려해도 리스크가 작지 않으니 이 고민 과정에서 감독은 적잖은 내상을 입었을 것이다. 결국 그 고생을 해서 만들어낸 <최악의 하루>가 잘 풀려서 임수정까지 섭외할 수 있을 정도로 '김종관 감독'이란 이름을 브랜딩하는 데 톡톡한 역할을 했지만 멘탈을 살퀸 상처는 그리 쉬이 가시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감독의 고난이 감독의 손에서 글로 풀어져 나왔다. 팬이자 영화 감상가로서 나는 그 글을 읽었기에 자연인 김종관의 경험을 필터로 그의 영화를 읽지 않을 방도가 없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나는 <더 테이블>에서 <최악의 하루>때 생긴 김종관의 트라우마가 읽혔다. 글로서 관객들과 소통하려는 의지인지 뭔지는 모르겠으나, 영화 감독은 영화로 말해야한다. 그의 글은 그의 영화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기보단 방해물이 된다. 그리고 이 글은 그 방해물로 인해 만들어진, 감독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영화를 해석한 1인의 이상한 글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애초에 영화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건 감독의 의도가 아니라 관객이 본 것이니.


영화는 너무도 안전한 상황에서 만들어졌다. 우선, 감독이 또다른 글을 브런치에 썼으니 인용해보자. "<최악의 하루>는 길에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중심이고 <더 테이블>은 카페 안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실제로 <최악의 하루>는 길에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중심이고 <더 테이블>은 카페 안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니까. 감독이 로케를 카페로 잡은 이유는 뭘까? 감독이 글을 쓰며 카페를 전전하다가 커피 맛을 알아가고 카페라는 공간에 대해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는 것까지는 알겠다. 그런데 영화 속에서는 왜 굳이 감독이 카페라는 공간을 택했는 지 불명확하다. 그가 친절히 써준 글을 읽어도 나는 여전히 '왜 카페인가?'에 대한 시원한 답을 얻지 못했다. 


나는 추측한다. 그가 카페를 고른 이유는 카페라는 공간이 꽤나 안전한 로케이션이라서였을 것이라고. 세트를 만들어도 싸게 먹히고, 사장이랑 싸바싸바만 잘하면 카페라는 한 공간을 빌릴 때의 노동은 <최악의 하루>에서처럼 길거리를 빌리는 것과 비교도 안되는 시시한 노동력을 요구하며, 안정적이다. 갑자기 비가 와서 촬영을 접어야할 일도 앵간하면 발생하지 않고, 비가 와도 즉흥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스탭들이 기자재를 나를 일도 없으니 기자재 나른다고 차 부를 일도 없고,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는 아니지-이동 중에 기자재가 도중에 사라지거나 뽀사지는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모든 사고를 방지하고 또 돈을 아끼겠다는, 그래서 이전처럼 영화 제작에 타격을 주는 사고가 발생하게 만들지 않겠다는 감독의, 혹은 감독과 함께 일하는 PD의 의지가 느껴지는 건 비단 나뿐인가?


로케이션에서 읽히는 감독 혹은 PD의 안전하고도 확실한 것에 대한 집착은 소재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이 영화는 4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옴니버스 영화인데 모두가 사랑을 소재로 한다. 그런데 한예리가 등장했던 에피소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무난무난한-어디서 본듯한 소재를 다뤘다. 그나마 한예리가 등장했던 에피소드는 나름 반전을 통해 어떤 종류의 감동을 낳으려고 했던 것 같은데 소재에서부터 결말이 예측되어버리니 감동 코드는 그리 힘을 쓰지 못했다. 아침에서 시작해 밤에 끝나는 것도 전형적이다. 밤에는 아침에 안 오던 비가 오는데 정작 대화가 시작할 때는 비가 그치게하며 편집에 편의를 마련한 것에서도 '안전'에 대한 집착이 느껴졌다. 


영화는 파격적일 필요도 없고, 아방가르드할 필요도 없다. 이 영화가 소자본으로 제작된 영화라고 해서 아방가르드해야할 의무같은 게 주어지는 건 아니다. 내 불만은 영화가 마땅히 가져야하는 파격성을 이 영화가 무시했기 때문에 생긴 게 아니다. 감독이 전작인 <최악의 하루>에 비해 영화가 상당히 소심해졌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김종관 감독의 영화가 아닌 다른 무명 감독의 <더 테이블>이었다면 이 글은 성립하지 않는다. 나는 아마 "괴물이 나타났다"라는 제목으로 찬사를 늘어놓는 글을 썼을지도 모른다. 



또 영화는 시종일관 아름답다. 네 번의 에피소드에 반복해서 등장하는 꽃도 이쁘고, 테이블도 이쁘고, 거기에 등장하는 남배우들이나 여배우들도 다 이쁘다. 게다가 <폴라로이드>에서와는 달리 남자 배우에게 얼굴도 생겼다. 배우들이 이뻐서 이쁘게 찍히는 게 아니다. 이쁘게 찍으니까 이쁜거다. 여기에는 감독의 의도가 개입된다. 그런데 그 사람들이나 소품들이 왜 이뻐야되는 지, 거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는 명확하게 잡히지 않는다. 감성과 느낌적인 느낌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 무엇이다. 그냥 이쁠 것 같아서 넣었는데 그걸 감성이라 불러주니 넣은 느낌적인 느낌이 강하게 든다 <뷰티인사이드>와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달까? 


그런데 '이쁨' 마저도 전작인 <최악의 하루>에는 딱히 없던 것이다. 그럼 <더 테이블>에서 이 이쁨에 어떤 의미가 있어서 넣은 것일텐데, 난 그게 도저히 뭔 지 모르겠다. 다만 이 영화에 헤쉬태그를 넣어주고 싶을 뿐이다. #감성 #감성글귀 #감성영화 #감성촬영 #임수정 #사랑합니다


카페라는 공간, <더 테이블>이란 제목

영화의 제목은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것일 때 가장 좋다. 가령, <인셉션>의 제목은 <인셉션>이 가장 적당하다. <인셉션>이 아닌 <꿈>으로 하면 제목이 포괄하는 것이 너무 넓어져서 영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른 대안도 딱히 없다. <킥>으로 할 수도 없고, <에디뜨 피아쁘>로 할 수도 없다.  


<더 테이블>이란 제목은 다른 수많은 단어들로도 교체가 가능하다. <더 카페>라고 해도 영화가 성립하고, <커피와 차>로 해도 영화가 성립한다. <두 사람 간의 대화>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이 영화가 옴니버스 영화고 4개의 스토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기보단 그저 공간만 공유해서 생길 수 밖에 없는 현상이기도 한데, 정작 영화감독은 글로 카페라는 공간을 강조하고 있으니 왜 영화 제목을 <더 카페>가 아니라 <더 테이블>로 했는 지 의문이 든다. 


더 나아가 카페라는 공간을 감독이 브런치 글로 강조하긴했지만, 정작 영화는 카페가 아닌 다른 공간이었어도 얼마든지 성립이 가능하다. 또, 영화의 제목은 <더 테이블>인지라 안전한 로케를 확보해두고 거기에다가 브런치글로 해명 아닌 해명을 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제목과 마찬가지로 장소조차도 얼마든지 다른 무엇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쉽게 허물어질 수 밖에 없는 이쁜 모래성과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옴니버스라는 형식을 택해서 이럴 수 밖에 없는 것이라면, 잃은 것만큼 얻어낸 것이 있어야한다. 그런데, 없다.

-

브런치 구독은 사랑입니다.
-
소액 후원 받습니다. 카카오 페이, 페이팔- funder2000@naver.com

커피 기프티콘도 후원받습니다. 카톡- funder2000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사랑입니다.
문의- funder2012@gmail.com
-
작가 페이스북
글쟁이 박현우


매거진의 이전글  JTBC <비긴어게인>: 좋지만, 몇가지 아쉬운 지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