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희언니 Jun 08. 2022

여자 다리 모양 망하게 만드는 트레이너들의 특징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여성 전문’ 트레이닝으로 많은 여성 고객님들의 버킷리스트인 바디프로필 촬영을 성공시킨 기업, 클레어 피트니스입니다.

사당역 헬스, 클레어 피트니스 1호점에서는 그동안 바디프로필 촬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별도의 홍보 없이도 현재 대기가 몰려 있을 만큼 문의가 폭주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사당역 헬스 클레어 피트니스가 그동안 바디프로필 촬영을 성공시키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인 하체 운동 전략에 대해 안내드리는 글입니다.


사당역 헬스를 찾아봤을 때 전문성을 갖춘 트레이너라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실 겁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트레이너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여성은 남성과는 ‘다른’ 해부학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남성과 다른 방식으로 하체 운동을 시켜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다리 모양을 망치는 트레이너들의 특징을 알고, 올바른 하체 운동이 무엇인지 알아가실 수 있다는 것을 장담하며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당역 헬스, 여자 다리 모양 망하게 만드는 트레이너들의 특징


1. 하체 운동 시 OOO과 OOO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는 트레이너


1. 하체 운동 시 OOO과 OOO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는 트레이너


여성 고객님들이 제일 첫 번째로 피해야 할 사당역 헬스 트레이너는 OOO과 OOO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는 트레이너입니다.


OOO과 OOO 스트레칭이란 무엇이길래, 이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는 트레이너가 제일 첫 번째의 이유로 뽑혔을까요?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여성의 골반 구조에 대해 먼저 아셔야 쉽게 이해가 되실 것 같습니다.

위 두 개의 골반 모양이 있는데요. 여성은 어떤 골반 모양을 가지고 있을까요? 바로 오른쪽입니다. 왼쪽은 남성의 골반 모양이에요.


아시다시피 여성은 임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얘기는 달리말해 여성의 몸은 애초에 임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태어났다는 말입니다. 배꼽 한뼘 아래의 자궁에서 아기가 생기면 아기가 자라면서 가슴 밑까지 차 오릅니다.


남성과는 달리 임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여성의 골반은 출산이 가능할 만큼 넓습니다.


실제로 남성의 엉덩이는 육안으로 보더라도 양쪽 엉덩이가 대체로 가깝습니다. 골반이 좁기 때문이죠. 반면 여성의 엉덩이는 대체로 양쪽 엉덩이가 멉니다. 골반이 넓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허리띠를 두르는 부분에서 약 10cm 아래에서 양쪽에서 만져지는 돌출된 부분이 있습니다. 이 양쪽 고관절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곳을 전문 용어로 대전자(Greater trochanter)라고 합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대전자의 위치가 어디인지 빠르게 이해되실 겁니다. 여성은 이 양쪽 대전자의 거리가 남성보다 넓습니다.

여성의 골반은 남성에 비해 넓은데, 이는 Q각(Q-angle)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Q각이란, 어렵고 자세하게 설명해드릴 수도 있지만 저희 클레어 피트니스는 독자분들을 위해 그림을 준비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바로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위의 그림은 한쪽 다리 그림입니다. 그림을 보셨을 때 파란색 표시해놓은 부분이 Q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Q각이란 위앞엉덩뼈가시(전상장골극)와 무릎뼈(슬개골)중앙에 선을 하나 긋고, 무릎뼈(슬개골)중앙과 정강뼈거친면(경골조면)에 선을 하나 그어서 만들어지는 각도입니다.


앞서 허리띠를 두루는 부분에서 약 10cm 아래에서 양쪽에서 만져지는 돌출된 부분(대전자)이 여성이 남성보다 넓다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은 위 그림에서의 왼쪽 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양쪽으로 더 벌어지면서 Q각이 커지게 됩니다. 남성보다 여성의 Q각이 5~10도 가량 큽니다.

이 말은 달리 말해, 무릎이 안쪽으로 더 모일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상태에서 남성들과 비슷하게 발의 포복으로 좁게 두고 스쿼트를 하는 경우, 무릎에 손상이 많이 갈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뼈와 뼈가 연결되어 접히는 부분)의 힘을 무시하게 되면 무릎의 통증과 부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남성과 같은 스쿼트 운동을 하더라도,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발의 보폭을 넓게 해야 남성과 같은 부위의 근육이 발달됩니다.


스쿼트 운동 시 발의 보폭을 남성과 비슷하게 혹은 좁게 두게 될 경우, Q각의 차이로 인해 남성과는 다른 근육이 발달되는데요.

발달되는 근육이 다름이 아니라 바로 허벅지와 종아리의 바깥쪽입니다. 이로 인해 Q각이 더욱 커지게 되고, 다리 모양도 망가지게 됩니다.


다리 모양이 망가지는 것 정도로 끝나면 그나마 나은데,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무릎의 통증입니다. 통증이 있으면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체지방 연소, 달리기, 근력강화 모두 다 잠정중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Q각이 커지게 되면 무릎뼈(슬개골) 바깥쪽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또는 연골연화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단단해야 할 무릎뼈의 관절 연골이 반대로 부드러워지는 것입니다. 무릎 연골이 닳는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그렇다면 Q각이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 모양을 예쁘게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운동을 해야 할까요? 어떤 근육을 풀어주거나 스트레칭하고, 또 어떤 근육을 강화해야 할까요? 여기서 드디어 OOO의 답이 나옵니다.


제일 첫 번째로 피해야 할 사당역 헬스 트레이너는 모음근(내전근)과 TFL(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는 트레이너입니다.


예쁜 다리 모양을 위해서는 반드시 허벅지의 모음근(내전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 흔히 TFL이라 부름)을 풀어줘야 합니다.

허벅지의 모음근(내전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이 짧아지게 되면 다리가 안쪽으로 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더 이상 짧아지지 않도록, 즉 근육이 정상 길이를 유지하도록 모음근(내전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을 스트레치하여 풀어주는 것입니다.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 같은 경우, 근육은 작지만 근육과 뼈를 이어주는 힘줄(건)이 길게 붙어 있습니다. 이 힘줄을 엉덩정강근막띠(장경인대, ITB)라고 합니다.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 은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지만 엉덩정강근막띠(장경인대, ITB)는 수축과 이완이 불가합니다.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 은 고무줄 같은 역할을, 엉덩정강근막띠(장경인대, ITB)는 스카치테이프 같은 역할을 합니다.


자, 고무줄과 스카치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고무줄이 짧아지면 스카치테이프는 팽팽해집니다. 고무줄이 늘어나면 스카치테이프도 널럴해집니다. 다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 이 짧아지면 엉덩정강근막띠(장경인대, ITB)가 팽팽해집니다. 엉덩정강근막띠(장경인대, ITB)는 무릎 밑까지 붙어 있기 때문에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 짧아지면 무릎이 더 모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TFL) 을 풀어줘야 하고, 엉덩정강근막띠(장경인대)도 살아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긴장이 완화될 수 있도록 쭈욱 풀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하체 운동 시 무릎이 모여 아프신 분들에게 중요한 부분이에요.


이 부분에 대해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고, 하체 운동만 계속 시키는 트레이너라면 당연히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특정 하체 운동만 시키는 트레이너


예쁜 다리를 만들고 싶을 때, 피해야 하는 트레이너 두 번째는 특정 하체 운동만 시키는 트레이너입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보통 하체 운동을 할 때 가장 흔하게 많이 하는 운동이 바로 스쿼트와 런지입니다. 엉덩이 모양을 만들기 위해서죠.


그런데 이 특정 동작들만 하면 여성의 예쁜 다리 모양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스쿼트와 런지는 보통 앞쪽 허벅지와 엉덩이 근육 중 큰볼기근(대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이기 때문입니다.


앞서 첫 번째 이유에서 여성의 골반은 남성보다 넓어서 Q각이 증가하고 무릎이 안쪽으로 더 모일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하체 운동 시 발의 보폭을 넓게 해야 하고, 허벅지 안쪽과 바깥쪽을 스트레칭해줘야 한다는 부분도 안내드렸습니다.


반면에 강화해야 할 근육은 어디일까요? 바로 왼쪽 사진의 중간볼기근(중둔근) 후방섬유와 오른쪽 사진의 안쪽넓은근(내측광근, 흔히 VMO라 부름)입니다.


중간볼기근(중둔근) 후방섬유가 강화되면 근처의 뼈가 무너지지 않게 하여 Q각이 더 이상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안쪽넓은근(내측광근, VMO)은 허벅지 앞 쪽에서 아래쪽의 안쪽에 있는 근육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근육에 문제가 생기면 걸어가다가 다리에 힘이 풀려 주저 앉는 무릎꺾임 현상이 벌어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특정 스쿼트나 런지만 시키는 트레이너가 아니라 중간볼기근(중둔근) 과 안쪽넓은근안쪽넓은근(내측광근, VMO) 강화 운동을 하체운동에 골고루 포함시키는 트레이너를 만나시길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사당역 헬스, 여자 다리 모양 망하게 만드는 트레이너들의 특징 2가지를 소개하는 글이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허벅지의 모음근(내전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 TFL) 스트레칭을 시키지 않는 트레이너


2. 특정 하체 운동(스쿼트, 런지)만 시키는 트레이너


위 두 가지 사항을 반드시 기억해주시고 트레이너를 선정한시다면, 트레이너 때문에 여성 고객님의 다리 모양이 망가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다리 모양을 망치지 않고 올바른 하체 운동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만, 사실 이것만 안다고 해서 다이어트가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리 모양을 망가뜨리는 트레이너를 피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성 고객님의 다이어트와 목표를 빠르고 건강하게 달성시켜줄 트레이너를 찾는 법도 아셔야 할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당역 헬스 클레어 피트니스가 작성한 글이 있습니다. 궁금하신 여성 고객분들은 아래에 첨부해놓은 글을 꼭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으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다음 포스팅에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https://blog.naver.com/clairefitness/222737450933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dmw8yqqty3Zw_3GycdAvQQ


지도(예약 가능)

건대점 : https://map.naver.com/v5/entry/place/1609579440?c=14145483.4731903,4514411.0334578,15,0,0,0,dh

이수역점 : https://map.naver.com/v5/entry/place/1099353212?c=14135066.8188170,4506809.3454551,15,0,0,0,dh


작가의 이전글 생리주기 다이어트 할 때만큼은 엄마보다 중요한 이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