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밀품 Nov 19. 2024

겨울이 온다하여, 아니 가을이 간다하여


2024년 초겨울



이번주 월요일엔 -1로 떨어진다는 예보가 있자 일욜일을 가을걷이의 막바지, 대수확의 날로 점찍고 차까지 대동해 아침 일찍 텃밭으로 나섰다. 마치 전장에 나가듯 장렬하게 노동에 이 한몸을 바치겠다는 듯한 기세로. 주로 김장을 위한 무배추를 심은 텃밭들은 이미 수확을 한 뒤라 삭막했지만, 아직 일부다. 이른 김장을 하는 집이겠지. 대부분은 푸릇푸릇한 배추와 무와 대파들이 흙위를 가득 메우고 있으니 보고 있으면 눈도 머리도 가슴도 맑아지는 느낌이다. 사실 흙위가 삭막해지는 것을 나는 아쉬움을 넘어 좀 싫다. 나는 김장이 목적은 아니므로 언제가 시작이었는지 모르겠는 올해 가을쯤의 어는 날 작게 여러 채소들 모종을 심고 씨며 뿌렸다. 그래서 아직 텃밭은 다채롭고 신기하다. 그러니 이걸 겨울에 내주기는 그렇게나 아쉽다. 


무 배추 이태리파슬리 양배추 브로콜리 방울양배추 대파 애플민트

쪽파 상추 고수 가지 맷돌호박 로즈메리 근대 가지 울타리콩 


남의 텃밭에 비하면 무배추는 귀여운 수준이지만 나에게는 엄청난 양이다. 물론 겨우내 저장이 가능하다면 충분히 먹을 양이지만 저장고가 없는 상황에서는 어서어서 먹을 궁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배추는 다행히 -2,3까지는 견딘다하니 그냥 둔다. 아직 통이 차지 않았으므로 낮밤 반복되는 춥고 따뜻한 기온을 견디며 달고 묵직한 그 속을 기다려본다. 제일 관건은 무다. 일단 뽑아야 하는데 덩치와 무게는 제쳐두고라도 아파트에서 보관이 문제인것이다. 제일 시원한 베란다를 점찍어두고 맛있게 어서 먹어줘야지 한다. 배추와 양배추 방울양배추 상추 쪽파 대파를 남겨두고는 모두 수확을 했다. 아휴 세 번 나눠 들어도 들기 어려운 무게다. 


이제 안녕을 고해야 하는 채소들과는 찐하게 인사를 했다. 더 유심히 아직 생생한 밑동을 살펴보고 내년을 기약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근대. 나는 근대맛을 올해에서야 알게 되었다. 침 튀기며 근대된장국이 얼마나 맛있는지 열변하면 어른들은 한결같이 말씀하셨다. 가을근대국은 문을 잠가두고 혼자 먹는다고. 봄에 씨를 뿌려 이렇게 서리 전까지 재생의 화신처럼 또 자라고 또 자라는 기특함을 나는 맛뿐 아니라 존재에서까지 극찬하고 싶다. 그래서 근대잎이 잘려나간 핑크빛으로 마치 꽃같이 피어있는 밑동을 유심히 봤다. 이게 자란다는 건데... 신기할 따름이다. 


무는 흰무와 보랏빛이 이쁜 과일무 두 가지다. 무는 무청까지 버릴 게 없으니 밭에서 무에서 무청을 잘라 분리해 따로 담는다. 무청은 푹 삶아 우거지로 국이나 지짐이든 겨우내 먹을 좋은 식량이다. 작년엔 말린 시래기 말고 생무청우거지를 찾아 헤매었는데 올 겨울은 부족함이 없겠으니 든든하다. 뭔가를 대비하는데 성실하고 계획적인 것 같아 그도 스스로를 뿌듯하게 한다. 


늦게 모종을 심어 아직 결구가 완성되지 않은 양배추와 방울양배추는 수확을 한다는 것도 의미가 없고 이대로 두면 그냥 얼어 죽겠다 싶다. 사실 그래도 이상한 건 아니다. 그게 자연스러운 채소들의 생리이니까. 그냥 심어 두고 먹지 못한 인간의 욕심인 거다. 그럼에도 제 모양새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을 보니 아까운 마음에 있는 걸 우연히 만난 텃밭지인이 솔루션을 주었다. 비닐을 덮어 보온해 주라는 것이다. 밭에서도 비닐사용은 자제하려는 나에게 있는 것을 활용하는 것도 아니고 사기까지 하면서 해야 하나 하는 갈등도 잠시, 이건 계속 재사용할 수 있다는 말을 지인은 내 속을 아는 것처럼 말했다. 그렇다면. 완성된 양배추도 어쩜 밑동만 남은 고수와 상추도 조금 더 먹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환희는 손 시린 날 추가된 노동을 이겼다. 


앞으로 길지는 않겠지만 텃밭으로의 행보가 더 보장되었다. 좋다. 역시나 겨울에 이 텃밭을 내주기가 나는 싫다. 24.11.19

매거진의 이전글 밭에 가고 싶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