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시나물 Jan 04. 2021

제주는 넓고 제주는 좁다

-50년 산 제주 토박이의 제주도 이야기-

 제주는 넓다. 행정구역으로도 대한민국에서 제일 큰 섬이니 넓다면 넓다고 할 수 있다. 사방으로 뻥 뚫린 곳에 사는 사람들이 보면 코웃음을 칠지 모르겠지만 제주에 사는 사람들에겐 자기가 사는 곳에서 동서남북의 끝으로 가는 것은 정말 귀찮고 큰 일이다. 그래서 웬만하면 자기가 살던 곳을 잘 떠나지 않는다. 동쪽에서 사는 사람은 끝까지 동쪽에서 살고, 서귀포에서 시작한 사람은 서귀포에서 나고 자라고 결혼해서 평생 사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래서 제주 사람들에겐 학교 동창들도 있지만 '동네 친구'라는 동창보다는 가깝고 가족보다는 조금 먼 밀접한 측근들이 존재한다. 물론 나처럼 어렸을 적부터 제주시에 사는 사람들에겐 그런 '동네 친구'는 없다. 단지 학교 동창만 있을 뿐. 이런 동네 친구가 열일을 하는 것은 결혼식이나 상이 났을 때다. 제주도에는 부신랑, 부신부라는 것이 있는데(다른 도는 어쩐지 잘 모르겠다) 이들은 측근 중에 측근이 맡고 그날 신랑 신부를 대신하여 많은 일을 보좌한다. 대개 '동네 친구'가 이 역할을 맡아할 때가 많다. 이러니 제주시에 사는 사람들이 서귀포시에 가는 건 날을 잡고 약속을 정해서 마음먹고 가는 경우가 많다. 버스로 빠르면 50분이면 충분히 갈 수 있고 승용차로는 40분이면 도착하는 길인데도 5.16 도로를 넘는다는 건 산을 넘는다는 것이니 구불구불 따라가는 길은 낯선 지방으로 가는 느낌이다. 어렸을 적 서귀포에 사는 친구를 만나려고 버스를 타면 운전기사 아저씨의 취향에 따라 가는 길이 편할 수도 있고 불편할 수도 있는데 비 오는 날, 버스 특유의 냄새에 트로트가 섞이면(지금은 이렇게도 좋은데) 가는 내내 버스 멀미로 고생을 할 때가 많았고 결국 종점에서 큰 사고를 칠 때도 있었다. (상상에 맡기겠다) 


 제주는 넓다. 바다에 둘러싸인 섬이어서 그런지 한가운데 한라산이 우뚝 솟아 있어서 그런지 같은 날인데도 지역에 따라 날씨가 너무도 다채롭다. '다채롭다'라고 표현한 것은 기분이 좋을 때 하는 말이고, 정말 어떤 때는 짜증 한 바가지를 뒤집어쓸 때가 있다. 바람 많은 지역이라 아무 때나 들이닥친 바람을 잔뜩 맞아 정신이 없다가 그곳을 조금만 벗어나면 햇볕이 와랑와랑이고 별안간 생뚱맞게 비를 맞기도 한다. 대학교 때 수업이 끝나고 나오다 갑자기 비를 맞고 온 몸이 젖은 채 버스를 타고 중앙로로 내려오면 무심한 햇볕이 쨍쨍 일 때가 많았다. 다들 멀쩡히 아무 일도 없듯 그렇게 오고 가는데 우리만 물에 젖은 생쥐 꼴이 돼서는 부끄러워 길을 재촉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 겨울이면 제주시 한복판은 소복소복 눈이 쌓이다가 말지만 아라동을 거쳐 한라산 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도로가 얼어 경사진 곳을 오도 가도 할 수 없어 교통 대란이 일어날 수도 있다. 

 며칠 전에도 제주도엔 눈이 왔다. 공교롭게도 내가 친한 선생님들 중에 제주도 토박이는 나 혼자다. 오래간만에 얼굴 보자고 만났는데 날씨 걱정을 하는 건 나 하나였다. 서울서 내려온 선생님들은 아무리 눈이 내려도 별 걱정을 하지 않았다. 제설작업이 금방 될 거라며 집에 가는 게 뭔 큰일이냐는 거다. 여기는 서울이 아니다. 우리 집은 중산간 하고 날씨가 비슷하니까 빨리 서둘러야 한다고 재촉했다. 내 등쌀에 못 이기는 척 모두 자리에서 일어섰는데 결국 우리 집 가는 길에서 승용차들이 엉키고 미끄러지는 것을 보고 나서야 잔뜩 긴장을 했다. 25분이면 갈 거리를 한 시간 넘게 걸렸다고 무섭다 혀를 내두른다. 제주도는 이런 곳이다.

눈 내리는 날 (아파트 베란다에서)

 제주도는 넓다. 지역을 언어권으로 나눌 수는 없지만 같은 단어를 두고도 사는 곳에 따라 '제주어'가 다양하다. 서귀포와 제주시로 나뉘겠지만 동쪽 마을과 서쪽 마을이 '제주어'가 조금씩 같은 듯 다르다.  '쥐'를 이야기할 때도 '중이', '쥉이', '쥐', '쥥이'라고 한다. 대학교에 가서 서귀포 친구들을 만났는데 끝 어미를 '언', '인'이라고 해서 재미있어했던 기억이 있다. '친구 인(있어), 전화 언(없어)' '제주어'가 축약의 언어이긴 하지만 반 백 년을 제주에서 살았는데도 '제주어'를 다 알지 못한다. 난 시엣 아이라서.(제주시에 사는 아이라서)


 제주도는 또 넓다. 갑자기 생겨난 카페와 박물관과 음식점이 너무도 많고, 구석구석 책방과 커피숍이 넘쳐난다. 그리고 360개가 넘는 오름부터 한라산, 폭포 등 볼거리 즐길거리 먹을거리가 지천이다. 특히 요즘은 거기서 거기겠지 했다가 지인들이 여기 아냐고 물어오는 곳 태반이 전혀 들어본 적도 가 본 적도 없는 곳이 많다. 점점 다양해지는 카페와 식당과 음식이 나에게 제주도를 더 넓고 낯설게 만드는 것 같다. 우스갯소리로 여행을 온 관광객들이 제주 도민보다 훨씬 정보가 빠르고 다양하다며 오히려 우리가 물어봐야겠다고 웃는다. 이러니 오랜만에 고향을 찾은 친구들이 예쁜 커피숍 있다고 데려가고, 맛난 음식점을 추천해 준다. 엉겁결에 따라간 제주도 토박이인 내가 이런 곳도 있구나 탄성을 내지르는 이상한 상황이 전개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과 인터넷의 위대함을 느낀다 

 

제주 시내 한 커피숍

그렇지만 제주도는 역시 좁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큰 섬이라고는 하나 동서를 가로지르는 데 남북을 가로지르는데 그다지 긴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너무 도로를 잘 빼놔서 관광객들이 1박 2일이면 웬만한 관광지는 다 돌아볼 수 있어서 돈을 쓸 일이 없다는 농담 아닌 농담도 할 정도다. 마음만 먹으면 외지에 사는 사람들은 비행기 타고 배 타고 와야 하는 곳을 제주도민은 언제든지 가 볼 수 있다. 주말마다 올레길을 갈 수 있고, 한라산을 등반할 수 있으며 점심시간을 이용해 잠깐 바닷가에서 쉴 수도 있다. 별 준비를 하지 않고도 집에 가는 길이 드라이브 코스고 자동차로 20분만 가도 한라산 등반을 시작할 수 있다.


 제주 시내에서 약속을 할 때도 30분 전에만 가면 웬만한 곳은 다 갈 수 있다. (요즘은 차량이 많아져서 교통체증이 장난이 아니다. 그래서 약속 시간보다 일찍 출발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긴 했다) 약속 장소로 손꼽는 곳도 몇 군데 되지 않아서 조금 과장하면 테이블 하나 건너 아는 사람일 정도였다. (물론 지금은 아닌 때가 더 많다)


 역시 제주도는 좁다. 모르는 사람을 만나 통성명을 하고 나서 어느 학교를 졸업했는지만 물어도 친구 둘쯤 건너면 서로 공통적으로 아는 사람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그 사람을 통해서 '아, 그때 너였구나'하는 경우도 많다. 같은 학교,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마주쳤음을 알게 된다. 직장도 마찬가지다. 고향이 어디냐는 질문에 답하면 그 고향에 사는 누구누구를 아느냐는 질문이 쏟아진다. 그러다 보면 사돈에 친척에 선배에 후배에 동창 하다 보면 모두가 아는 사람이 되고 모두가 이웃이 된다. 그래서 제주에 사는 사람들은 같은 마을에만 살아도 혈연 지간이 아닌데도 모두가 '삼촌'이다. 그러니 제주에서는 모르는 사람이라고 함부로 대하고 다투면 낭패를 볼 때가 있다. 언제 어디서 누구를 만나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비밀을 갖기가 힘들었다. 첩보전을 펼쳤다 해도 저녁이면 누구네 아들과 아무개네 딸이 데이트하더라를 부모님들이 모두 아시게 되는 경우도 있다. 나도 집으로 돌아가다가 우리 동생이 여자 친구와 팔짱 끼고 걸어가는 것을 목격하고 놀렸던 기억이 있다. 이런 지경이고 보니 외지에서 온 사람들이 말하는 제주도 텃세(?)는 좁은 동네에서 친척 아닌 친척으로 사는 간섭의 또다른 모습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결혼을 할 때도 예비 신랑이 어디 사는 아무개라 했더니 엄마 지인 중엔 우리 신랑 삼촌이 있었고 우리 숙모와 어머님께서 젊었을 때 같은 회사에서 함께 근무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도 신기했던 적이 있다. 이젠 이런 일이 놀랍지도 않다. 그래서 지금도 어른들끼리는 큰일이 있을 때 별 연락을 하지 않더라도 누가 누구에게 연락하면 올 사람은 다 온다.

  


  지금이야 제주도도 많이 달라졌다. 교통이 복잡해지고 타도에서 온 많은 사람들이 생겼다. 어찌 보면 제주가 넓다 좁다 하는 건 나의 기억 속 제주의 삶이 그렇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살아온 제주는 때론 부처님 손바닥 안 같은 좁은 곳이기도 했고, 할 일 많고 갈 곳이 많은 대양 같은 넓은 곳이기도 했다. 지금의 제주 역시 이러저러한 이유로 사람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복잡해지다 보니 넓어진 면도 있고 좁아진 면도 있다. 더욱이 요즘은 넓고 좁고의 문제보단 생존의 문제에 더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중이다. 환경문제, 교통문제, 범죄문제 등이 얽혀있어 물리적 크기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질을 생각해야 할 때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박이인 듯 아닌 듯 살고 있는 나는 더이상 제주가 나쁜 일로 입방아에 오르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고, 누구가에게 요란한 빈수레가 되지 않길 바라며 이상한 요지경이 되지 않길 바란다. 나에게 제주는 여전히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들이 함께 하고 내 어릴 적 추억이 깃든 넓지만 좁은 곳, 좁지만 넓은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주가 어떤 이유로든 더이상 넓어지길 바라지도 더 좁아지길 바라지도 않는다. 제주는 그냥 제주일 때 가장 제주다울 것임으로.  

매거진의 이전글 돌고래를 만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