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물고기자리 Jun 18. 2021

돈과 시간의 상관 관계

돈과 시간에 대해 자주 생각하는 편이다. 정확히 말하면 둘의 상관관계를 곧잘 생각한다. 돈과 시간 둘 다 많은 삶을 갈망하지만 현실은 돈도 시간도 늘 부족 속에 허덕인다. 사람마다 굴곡이 다르겠지만 대체로 젊은 날에는 돈보다는 시간이 많고 어느 시절을 지나면 시간보다 돈이 많아지다 저무는 시기가 되면 다시 시간이 많아지는 순간이 찾아오는가 보다. 어느 시절을 지났건만 시간과 돈은 늘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존재로 남아 있다. 내가 생각하는 돈은 ‘내가 버는 돈’이다. 우리의 돈이 아니라 나라는 인간이 독립적으로 기능함을 보여주는 온전히 내 손으로 버는 돈.


이 동네의 엄마들은 대부분 내 돈을 번다. 남을 위해 일을 하고 그렇게 번 돈으로 내 아이를 돌봐줄 사람에게 돈을 지불한다. 물론 안 그런 소수의 인간들도 있다. 나는 좀 애매한 카테고리에 속한다. 내 돈을 벌지만 내 아이를 돌봐줄 사람은 고용하지 않는다. 그건 내가 버는 돈이 그들에게 지불해줄 만큼의 여유가 되지 않는다는 일차적인 문제에 기인한다. 나에게는 내 시간을 희생하는 선택지밖에 없다. 돈이 없어서 시간도 빼앗기는 꼴이다. 이쯤 되면 잘못된 직업을 선택한 건가 후회를 할 법도 하지만 직업 만족도에는 이상 전선이 없다.


첫째 아이가 만 4살 때 다니던 Pre-K라는 시설에 아이를 데리러 갈 때면 동양인과 결혼한 동양인 엄마 몇 명, 서양인과 결혼한 동양인 엄마 몇 명, 대다수의 흑인 유모, 소수의 백인 엄마들이 아이들이 나오기를 기다리며 학교 앞에 서 있곤 했다. 코로나로 많은 엄마들이 집에서 일하면서 그 풍경이 흐려졌지만 코로나가 풀려 그들이 다시 출근을 하게 되면 우리의 풍경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 풍경은 누구에게 돈이 있고 누구에게 시간이 있는지, 다시 말해 누구에게 시간이 없고 누구에게 돈이 없는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며칠 전 아이를 픽업해 집으로 가는 길 아이가 물었다.


“엄마는 왜 출근 안 해? 왜 집에서 일해?”


옆에서 누가 확 밀치고 간 기분이 그런 걸까. 아이의 목소리에는 어떠한 감정도 묻어 있지 않았으나 다급해진 나는 질문의 의도를 읽어내느라 바빠졌다. 태연한 아이와는 달리 “엄마가 집에서 일해서 좋지?”라는 반 강제적 질문을 던지자마자 “엄마도 출근할까?”하는 반 협박조의 질문 공세를 퍼부은 나. 누가 봐도 내가 지고 있는 대화였다. 아이를 제대로 보는 것도 아닌 채로 아이 때문에 늘 일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하는 나는 무엇을 바랐던 걸까. 아이의 인정? 사회의 인정?


쉽게 답을 꺼내지 못하는 나와는 달리 아이는 제 앞에 갑자기 나타난 나비에 정신이 팔려 방금 자신이 던진 의미심장한 질문은 까맣게 잊은 채 저 앞으로 뛰어가고 만다. 고민은 뒤에 남은 나의 몫. 이제 아이 눈치까지 봐야 하는구나. 지인이 집에서만 일했더니 아이가 엄마가 집에 없는 것도 좋다고 얘기했다던데... 아이가 조금 더 크면 작업실이라도 알아봐야 할까. 머릿속은 작업실 비용에 아이를 맡기는 비용까지 계산하느라 바빠진다. 자당 계산되는 번역료로 그걸 다 감당할 수 있을까. 아무래도 무리겠지. 책을 번역해서 만족할 만큼의 돈을 벌기란 쉽지 않다. 돈은 이미 내 손을 떠난 주제일지도. 하지만 시간이라면 다르다. 나에게는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쓸지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비록 한정적이지만) 있다.  


어제 아이를 픽업해 볼일을 보고 함께 비눗방울 키트를 사서 공원 벤치에 앉았다. 오후 작업은 날라 갔다 싶어 마음을 내려놓고 아이와 비눗방울 놀이를 즐겼다. 때마침 불어온 선선한 여름 바람이 내 입술이 해야 할 일을 대신해주었고 거품 묻은 막대기를 들고 있기만 해도 형형색색 아름다운 비눗방울이 우수수 하늘을 갈랐다.   


꽃비 같던 비눗방울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는 동안 시간이 다르게 흘렀던 것도 같다. 내가 아는 시간은 늘 무언가로 채워야만 하는 시간이었다. 분 단위로 할 일을 정해 계획대로 착착 처리하는 하루를 보내야만 시간을 잘 썼다고 생각했다. 아이와 비눗방울을 보고 깔깔대고 지나가는 사람들과 웃음을 주고받는 시간은 고작해야 30분 남짓이 었겠지만 내가 알차게 보냈다고 생각한 그 어떤 3시간보다도 큰 자국을 남겼다.


돈이 없어 시간을 빼앗긴다는 억울함을 악착같이 내 시간을 챙기는 걸로 풀었던 나는 탁 놓아주는 순간의 홀가분함을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한 채 살고 있었다. 아이와 놀아주는 시간은 내 걸 하지 못하는 시간이었기에 그걸 즐길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아이의 욕구와 나의 욕구가 충돌하는 순간은 그렇지 않은 순간보다 잦으므로 어제와 같은 순간이 자주 찾아오지는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살다 보면 언제든 할 수 있을 것만 같아 미뤄둔 일들을 영원히 할 수 없어지는 때가 온다. 우리는 가끔 그 사실을 잊은 채 영원을 살 것처럼 판단하고 행동한다.


아이는 곧 자라서 엄마가 집에 없기를 바랄 테고 학교가 파하고 나면 이제 엄마와 아이스크림을 먹는 게 아니라 친구들과 쇼핑을 가려할 거다. 그때가 돼도 나는 돈과 시간을 저울질하고 있을까. 남아도는 시간을 어쩌지 못해 일 속에 파묻히는 걸 아닐 런지.


간밤에 무언가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꼭 붙들고 있다가 엉덩방아를 찧는 꿈을 꿨다. 내가 손에 쥐가 날 만큼 꼭 쥐고 있던 건 시간이었을까, 돈이었을까. 둘 다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혹시 비눗방울은 아니었을지. 어쩌면 그만 컸으면 싶은 아이들의 자그마한 손이었을지도.

매거진의 이전글 턱이 길어지는 기분이 들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