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LO Nov 12. 2023

나를 벗어나 나를 바라보기

깨진 것은 보고서지 내가 아니다. 비판받은 것은 발표지 내가 아니다. 우리는 내가 만든 산출물과 나 자신을 구분해서 인지할 필요가 있다. 뻔뻔해질 필요가 있다. 논리적인 접근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설득력을 높여주지만 그것은 방점을 찍지 못한다. 한 사람이 어떤 일을 하지 못할 이유를 찾자면 한도 끝도 없는 것처럼 어떤 의견이나 안건에 대해 비판하자면 그 또한 한계가 없다. 그것은 논리로 설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더 이상 비판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 설득의 종착지라면 뻔뻔함은 우리를 그 종착지에 데려다주는 무기일 것이다. 뻔뻔하다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는 것이고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더 이상 비판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세상은 이성적인 것 같지만 우리의 인식보다 훨씬 감성적이고 난잡하며 앞뒤가 들어맞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복잡계인 세상의 알고리즘을 정확히 알아차리긴 어려운 일이다. 그러니 그 함수의 해를 찾아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숫자를 대입하며 문제를 때려 맞춰 보는 것이다.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던져보는 태도다. 뻔뻔함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태도다. 그리고 그 속에는 내가 던지는 것과 나를 구분하는 마음이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 않고 내가 던지는 것과 나를 동일시하면 지속적인 시도가 있을 수 없게 된다. 타격을 받아 쓰러지게 된다. 뻔뻔함이란 그래서 중요한 덕목이 된다.


어쩌면 우리는 나 자신을 그 말 그대로 나 자신을  여기고 인지하기 때문에 망설이고 주저하게 될지도 모른다. 나를 단순한 하나의 객체로 인지하고 계속해서 그것을 던질 수 있다면 시도는 나의 편이 되고 쌓인 시도는 우리에게 계속해서 더 높은 수준의 산출물을 제공해 줄 것이다. 그렇게 치면 성공의 열쇠는 '나'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객관적으로 나 자신을 인지하는 것을 넘어서 이 세상을 초월한 상태에서 스스로를 바라보는 태도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23.08.31

매거진의 이전글 성공, 인식에 흔적을 남기는 과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