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상순 Sep 02. 2023

군만두는 왜 서비스가 되었나

-돌봄 서비스는 정말 서비스인가

초등학생 때였던 것 같다. (솔직히 말하자면 국민학교다. 나는 초등학교 안 다녔다. 국민학교 다녔다.)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중국집 (중국요릿집이다. 그땐 다들 중국집이라고 불렀다.)이 있었다. 한자 간판 밑 하얀 문을 열고 들어가면 붉은 발이 찰랑댔고 홀 정면에 물고기 모양 작은 가림막이 있었다. 그 가림막이 올라갈 때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음식들이 등장했다. 짜장면도 탕수육도 볶음밥도 모두 물고기 가림막을 밀고 나서야 내가 앉은 탁자에 당도할 수 있었다.  


물고기 가림막을 통과한 음식 중 단연 내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은 군만두였다. 만두소를 야무지게 감싼 도톰한 만두피는 노르스름한 빛깔만큼 바삭했다. 짜장면을 비롯한 중국 음식이 소위 배달 음식의 대명사가 된 것이 먼저였는지 군만두가 탕수육의 옵션으로 '서비스'라 불린 것이 먼저였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철가방에서 꺼낸 순간, 이미 식고 눅눅하고 질길 것으로 예측되는 냉동 군만두에 비할 맛이 아니었다. 


군만두가 서비스가 된 이유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바로 대량 생산된 공장식 냉동만두다. '군만두는 왜 서비스가 되었나'라는 다소 비장한 문장을 검색창에 집어넣으니 1965년도 한 중식당의 메뉴판이 뜬다. 지금 시세로는 이해가 안 되는 가격이다. 우동과 짜장이 60원인데 군만두와 물만두가 우동과 짜장의 두 배, 120원이다. 식당 대표가 설명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땐 가게에서 만두를 빚었으니까요. 지금은 중국집 대부분이 공장에서 만드는 만두를 쓰잖아요. ‘군만두 서비스’가 그래서 있을 수 있는 거고요. 우리 집은 이제 만두를 안 해요. 공장 만두를 쓸 순 없고, 일손이 모자라 만들 수도 없어서. 옛날엔 주방에서 다 직접 했어요. 닭도 가게 뒤에서 키워서 썼고, 면도 손으로 뽑았죠. 수타를 무슨 기술처럼 말하던데, 옛날엔 기술도 아니었어요. 다 그렇게 했으니까."

-<군만두가 서비스? 짜장면보다 2배 비쌌다... 1965년 메뉴판 사연>, 중앙일보, 2022, 07,0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서비스업을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군만두 서비스의 서비스는 '무상'이라는 의미에 가깝다. 올*에서 화장품을 구입하는 딸들은 스킨/로션 샘플 서비스를 알 리 없지만, 그때 그 시절 스킨/로션 샘플 역시 무상, 공짜, 프리였다. 셀프서비스는 서비스일까. 고객을 위한 필요 이상의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지 않겠다는 으름장은 아닐까. 


서비스는 돌봄의 영역에 스며들었다. 아이돌봄서비스, 노인맞춤서비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등 아이를 돌보고 노인에게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장애인의 일상이 유지될 수 있는 활동을 보조하는 일이 서비스가 되었다. 탕수육에 따라오는 식어 빠진 군만두, 공짜이며 무상이자 프리인 서비스가 되었다. 한 존재가 삶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영역이 서비스라는 이름 하에 유통되고 있다. 군만두는 유상이었고 고가였음에도 대량 생산을 통해 헐값이 되었다. 애초에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던 돌봄 노동은 서비스라는 네이밍을 통해 어떤 운명을 겪게 될까. 


  

작가의 이전글 프리다이빙 로그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