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oeunpa Sep 25. 2024

갑질

한국사 속 '갑질' 일람一覽


가진 자들의 ‘갑질’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갑질’이란 통상적으로 계약서상의 계약 당사자를 지칭하는 용어 중 상대적으로 우위에 위치하는 갑甲에 좋지 않은 행위를 비하하는 뜻의 접미사 ‘-질’을 붙여 만든 신조어예요. 자신의 우월한 지위를 이용하여 이해당사자들에게 제멋대로 굴거나, 부당한 요구·처우 등을 하는 행위를 말하죠. 사회적으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갑질이 상대를 향한 인격 모독에서 그치지 않고 갖은 유형의 폭력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에 만연한 갑질의 사례는 일일이 열거하기조차 어렵습니다. 표면적으로 모두가 평등한 사회를 추구하는 현대사회의 모습이 이럴진대 철저한 계급사회였던 전근대에서 갑의 횡포는 말할 것도 없었습니다.


고구려에는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고구려 제19대 왕, 재위 391~413) 이전에 적극적인 대외팽창정책을 펼쳐 큰 업적을 이룬 왕이 있었습니다. 바로 제15대 미천왕美川王(재위 300~331)입니다. 그는 중국의 진晉나라가 팔왕의 난(八王之亂)*1을 시작으로 극심한 혼란기에 접어든 틈을 놓치지 않고, 고조선의 고토를 회복하는 큰 업적을 이루었어요.

일제 강점기 때 찍은 서대총西大塚. 중국 길림성 집안 지역 고구려 고분군 중 가장 큰 규모입니다. 미천왕의 무덤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즉위 전 미천왕 을불乙弗(미천왕의 이름)*2은 아버지가 큰아버지 봉상왕烽上王(고구려 제14대 왕, 재위 292~300)에게 반역의 의심을 받아 죽임을 당하자 궁궐을 나와 몸을 피합니다. 이때 갑질로 고역을 겪게 되었죠. 을불은 수실촌이라는 마을에 숨어 살며 음모陰牟라는 이의 집에서 품팔이를 했습니다. 고용주였던 음모는 을불에게 밤에는 집 옆 연못의 개구리가 울지 못하게끔 돌을 던지라 시키고, 낮에는 땔감을 해오도록 독촉하여 을불이 잠시도 쉬지 못하게 했어요.*3 고구려판 오너의 갑질+열정페이를 보는 듯합니다.


고려시대에는 갑질로 인해 나라의 집권 계층이 아예 물갈이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성종成宗(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7) 이후 유교를 국가통치이념으로 채택함으로써 고려는 문치文治를 지향했고, 자연스레 고려의 무신武臣은 문신文臣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대우를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전쟁 시 총사령관 자리에도 무신이 아닌 문신이 임명되었는데, 귀주대첩의 강감찬姜邯贊,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한 윤관尹瓘 등도 모두 문신이었어요.

안국사安國祠. 강감찬을 모신 사당으로, 서울 관악구 낙성대공원에 있습니다. (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의종毅宗(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때에 이르러 폭발 일보직전의 무신들에게 기름을 끼얹는 문신의 갑질이 연이어 터지고 말았습니다. 문벌귀족인 김부식金富軾(『삼국사기』의 그 김부식입니다)의 아들 김돈중金敦中이 자신의 배경만을 믿고 장군 정중부鄭仲夫의 수염을 태워 희롱하는가 하면,*4 젊은 문신 한뢰韓賴가 노쇠한 장군 이소응李紹膺의 뺨을 때리고 조롱하는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정중부 등은 한뢰가 품계가 한참 높은 이소응에게 한 짓을 용납할 수 없다며 의종에게 항의했지만, 의종은 한뢰를 감싸며 일을 유야무야 끝내버렸어요. 더 이상 참지 못한 무신들은 정중부를 필두로 쿠데타를 일으켜 문신들을 닥치는 대로 죽인 뒤, 왕까지 갈아치워 버립니다.*5 김돈중도 이때 죽임을 당했으며 그의 아버지 김부식은 부관참시剖棺斬屍(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어 시신을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거는 형벌)를 당했죠. 아시다시피 이후 고려는 100여 년 동안 무신들이 정권을 휘두른 무신집권기가 이어졌습니다.

『고려사高麗史』에 반역자로 기록된 정중부.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 후기에는 지주를 대신하여 소작지를 관리하는 ‘마름’이라는 직책이 널리 확대되었습니다. 지주가 멀리 떨어진 곳에 땅을 갖고 있거나 많은 토지를 보유하여 직접 관리가 힘들 경우, 이러한 부재지주不在地主를 대신해 관리·감독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가 마름이었죠.


마름은 소작료 징수만을 대신한 것이 아니라, 소작인 감독·소작권 박탈·소작료 징수 및 보관·소작인 평가 등 소작지 운영의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습니다. 당연히 소작농을 상대로 절대적인 갑의 위치에 있었고, 그 권한을 악용하여 갑질패악을 일삼는 자들이 많았습니다.


소작인을 자신의 마음대로 내쫓고 그 땅의 경작권을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고 팔거나, 소작료를 속여 받아 차액을 횡령하기도 하고, 풍년임에도 지주에게 흉년 탓에 손해를 봤다고 거짓 보고하는 등 지주와 소작농 모두를 농락하는 전횡을 일삼았습니다.*6 일제강점기에도 명맥을 유지한 마름은 해방 이후 농지개혁법이 실시되고서야 소멸됐어요.


비정상적인 상하관계를 통한 갑의 횡포는 반드시 근절해야 할 대상입니다. 뿌리 깊게 박힌 그릇된 의식구조의 개선, 갑질에 상응하는 법적·경제적 책임의 부과, 약자에 대한 강력한 보호책 등이 수반되지 않는 한 갑질 횡포는 계속될 것입니다. 압축성장으로 태어난 무한경쟁 한국사회에서 '갑을’은 언제든 뒤바뀔 수 있습니다. 상생相生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1) 중국 서진西晉의 혜제惠帝(서진의 제2대 황제, 재위 290~306) 때 일어난 내란을 말합니다. 황족 8명의 골육상쟁이었으며, 서진멸망의 단초가 되었어요.

*2) 우불憂弗이라고도 하며(『삼국사기』), 중국의 『위서魏書』, 『양서梁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등에는 을불리乙弗利라고 전합니다.

*3) 『三國史記』 卷17, 高句麗本紀5, 美川王 元年(300).

*4) 『高麗史』 卷128, 列傳41, 叛逆, 鄭仲夫.

*5) 『高麗史』 卷128, 列傳41, 叛逆, 鄭仲夫.

*6) 김용섭, 1995, 『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Ⅰ, 지식산업사.

     박찬승, 2007, 「한국전쟁기 합덕면 마을 주민 간의 갈등」 『사회와 역사』 74, 한국사회사학회.


이전 11화 항왜降倭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