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osary Oct 24. 2023

누가 문명인이고, 누가 야만인인가

인류의 성취를 잿더미로 만드는 전쟁 <지옥의 묵시록>

지금은 할리우드 영화 제목을 굳이 한국식으로 바꾸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옛날에는 원제를 그대로 쓰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원제의 뉘앙스를 살리면서도 직관적으로 와닿는 잘 지은 한국 제목은 영화의 흥행을 좌우할 수 있기에 수입사는 제목 짓기에 고심을 했을 것이다. 의역으로 말맛을 살려서 굉장히 잘 지은 제목이 있는가 하면, 오직 흥행만을 생각해서 자극적이고 엉뚱한 제목으로 둔갑한 경우도 있다.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977>, <Ghost 사랑과 영혼. 1990>, <The Shawshank Redemption 쇼생크 탈출. 1995> 등은 작명 센스를 발휘한 제목으로 꼽을 만하다.


 <Apocalypse Now 지옥의 묵시록. 1979> 역시 감탄이 나올만한 제목이 아닐까 싶다. 파멸, 종말을 뜻하는 Apocalypse를 ‘지옥의 묵시록’이라는 비장한 작명으로 완성한 것은 원래 일본 개봉 시 나온 걸로 알려져 있는데 아마도 인문학적 소양이 풍부한 사람의 작품이 아니었을까 마음대로 추측해 본다.


<지옥의 묵시록>의 원작은 조지프 콘래드(1857~1924)의 소설 『어둠의 심연 Heart of Darkness. 1899』으로 19세기 콩고 정글의 토착민들을 길들이려는 유럽인들의 제국주의와 백인우월주의를 비판하면서 누가 문명인이고 누가 야만인인지를 묻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내용이었다. 이 소설을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각색해서 만든 작품이 <지옥의 묵시록>이다.


<지옥의 묵시록>에서 폭력과 파괴가 거침없이 이뤄지는 전쟁의 본질에 대한 인상적인 대사들은 대체 무엇을 위해 전쟁을 하는지를 묻고 있다. 커츠 대령(말론 브란도 분)은  윌라드 대위(마틴 쉰 분)에게 이렇게 말한다. “자네는 군인도 살인마도 아니야. 자네는 그저 심부름꾼이야.” "자네는 날 죽일 권리는 있어. 그러나 나를 심판할 권리는 없어.” 

킬고어 중령(로버트 듀발 분)은 “난 아침에 맡는 네이팜 냄새가 좋아. 한 번은 우리가 12시간 동안 계속 어떤 능선을 폭격했거든. 폭격이 끝나고 나서 거기 올라가 봤지. 가보니 아무것도, 썩는 시체 하나조차 없더군. 온 능선에서의 그 냄새, 휘발유 냄새 말이야, 그 냄새는… 승리의 향기지.”라고 말하는 모습은 인간성을 완전히 상실한 전쟁광의 광기가 느껴져 소름이 돋는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거의 2년이 되어가고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와중에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이 발발하여 지상전이 임박했다는 이야기까지 들리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무고한 민간인의 희생만 커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대체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벌이고 있는 전쟁인지 답답하기만 하다.

작가의 이전글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혔다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