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al Jul 31. 2021

안산 선수 금메달을 보며 느낀 것

경쟁에서 중요한 건 남이 아니다

나란히 선 세 여자를 안아주고 싶어졌다


안산 선수가 개인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올림픽 3관왕의 등극이자, 오로지 그의 실력으로 소모적인 논쟁을 종결하는 순간이었다. 두 번의 슛오프(Shoot off), 극한의 상황에서 내리 10점을 꽂아 넣는 안 선수의 차분한 대범함에 박수를 보냈다.


반면 관전자인 나는 전혀 차분하지 못했다. 안 선수가 시위를 당길 때마다 손을 모았다. 안하던 기도가 나왔다. 상대 선수가 활을 쏠 때도 기도는 멈추지 않았다. 내용은 정반대였다. 전자는 텐을 외쳤고, 후자는 8점을 속으로 되뇌었다.


금메달이 확정되고 흥분이 가시지 않은 채 시상식을 봤다.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른 태극기를 보며 흐뭇해졌다. 곧 세 선수는 단상을 내려와 나란히 섰다. 세 여자는 메달을 걸고 자기 노력의 결실을 누렸다. 그 장면을 보는 내 얼굴이 붉어졌다. 경쟁에 과몰입해 유치한 기도를 올리던 내 모습이 떠올랐다.


경기를 복기하며 경쟁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을 정리했다. 세 가지로 갈무리했다.



1. 경쟁은 남과 하는 것이 아니다.

양궁 필승법은 한 가지다. 상대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면 된다. 그러나 그 기준을 경쟁자에게 두어서는 이길 수 없다. 상대 선수가 시위를 당길 때마다 낮은 점수를 기도했지만, 내 기도는 번번이 빗나갔다. 아무리 간절히 기도해도 어쩔 땐 10점을 맞추고, 오히려 살짝 포기했을 때 8점을 쏘았다. 즉 상대는 전혀 통제할 수 없는 변수라는 것이다. 안 선수는 인터뷰에서 혼잣말로 멘탈을 다잡았다고 밝혔다. 경쟁은 궁극적으로 자기 싸움이다. 최선을 다하고, 상대의 몫을 기다리는 것이다.

 

2. 경쟁자도 나와 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수 있다

대나무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가며 연습한 Deepika Kumari

안 선수는 4강에서 한 인도 선수를 만났다. 디피카 쿠마리 (Deepika Kumari). 94년생으로 지난 7월부터 세계 랭킹 1위다. 잘 나가는 선수로만 보이지만, 그동안 쉽지 않은 시간들을 견뎌왔다.


인도에서 두 번째로 가난하다는 Ratu Chatti에서 자랐다. 그곳에서는 여자라면 응당 18세에 결혼한다. 학교에 가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쿠마리 선수는 대나무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가며 연습했다. 어렵게 상금으로 번 돈으로 집을 사자, 주변에서 여자가 더러운 돈을 벌어왔다고 손가락질했다.


넷플릭스 다큐 <Ladies First>의 주인공이 쿠마리 선수다. 다큐 도입부에는 쿠마리 선수가 들어왔던 차별의 말이 나열된다. 예를 들어, 여자는 스포츠에 어울리지 않는다. 살림하고 아이를 키워야 한다. 그게 여자의 역할이다. 내 딸을 일하게 두지 않을 것이다 등등.


그는 이렇게 답한다. "반박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말로 하면 사람들은 금방 잊을 것이다. 하지만 화살로 답하면 사람들은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다." (Often I feel like answering back, but then I think people might forget if I respond with words. But if I respond with my arrows, they'll never forget.)


처한 환경은 다르지만, 두 선수가 감당하고 있는 고통의 원인은 같다. 여성의 결정을 비난하고, 자유를 박탈하려 드는 것. 그리고 그 시도에 오로지 화살로만 답한 두 선수. 극점에 있는 경쟁자라도 나와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다.

 

3. 아무리 공정해도 ‘경쟁’ 자체가 목적인 건 의미가 없다

경쟁에는 반드시 승패가 있다. 비기면 연장전까지 겨뤄 승, 패자를 가른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뒤에는 더 이상 승자와 패자가 아닌 금메달리스트와 은메달리스트, 동메달리스트로서 존재한다.


시상은 짧았다. 높이가 다른 단상에 선 선수들 위로 애국가가 울린 순간은 57초. 1분이 되지 않는 시간이다. 세 선수는 곧 단상을 내려와 같은 바닥에 섰다. 나란히 서서 각자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더 긴 시간 동안 그랬다.


다시 같은 플로어에서 인사할 시간을 주는 것. 패자가 아닌 은메달리스트로 부르는 것. 그리고 4년 후에 도전할 기회를 주는 것. 경쟁의 의미는 이때 생기는 것 아닐까. 경쟁이 끝난 뒤 승자와 패자는 다시 같은 사선에 선 도전자일 뿐이다.


정치의 목적도 이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경쟁을 어떻게 시킬지 고민하는 것은 수단이다. 경쟁을 목적으로 착각해선 안 된다. 그래서 나는 경쟁 이후를 말하는 정치인에게 귀를 기울이게 된다. 경쟁의 규칙보다는 경쟁 그 다음을 말하는 사람, 미래를 이야기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생각이 여기까지 미치자 세 여자를 안아주고 싶어졌다. 학교에서, 시험에서, 입시에서, 면접에서 마주쳤던 경쟁 상대였던 이들을 한껏 끌어안고 싶어졌다. 우리 모두 수고했다고. 그러니 각자의 메달을 품자고 말이다.


        

작가의 이전글 여름을 여름답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