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셀렘 Dec 31. 2019

2019년 끄트머리에  

뭔가 다 아쉬운 숫자들 


2019 끄트머리에 붙어있는 9라는 숫자는 한자리 수의 마지막 숫자다. 

12월은 한 해의 마지막 달이고 

31은 가장 긴 한 달의 마지막 날짜다. 


이렇게 모아 놓고 보니 새삼스럽다.

마지막들이 모인 것 같아서 새삼 의미부여를 하게 된다. 


부끄럽게도 다시 글을 써야겠다고 결심하고 

실제로 그런 결심을 실행에 옮기는 건 늘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는 그쯤이었다. 

그래서 오랜만에 들어와 본 내 브런치에는 몇 년에 걸쳐 찔끔찔끔 적어둔 

차마 다시 클릭하지 못한 글들이 남아있었다. 


나조차도 다시 읽어보고 싶지 않은 글들을 

누가 읽어줄까 싶기도 하고 

혹여 누가 읽어준다고 해도 내가 고개를 들 수 없을 것 같아 모두 정리했다. 

아빠의 이야기를 적어둔 세 편의 글만 남겨두고. 


3년 전의 글들은 지금의 내가 다시 쓸 수 없는 거니까. 

그때 아빠가 나에게 준 온기는 지금의 내가 다시 흉내 낼 수가 없으니까. 


몇 년 동안 일만 하면서 생각했다. 

시간이 이대로 자꾸 가서 내 안에 28년 동안 간직된 기억들이 

다 증발해버리기 전에 얼른 적어두어야 한다고. 

그렇게 생각만 하다 또 한 해가 갔고 

나는 곧 서른이 된다. 


엄마와 헤어져야 했던 스물한 살을 지나

스물여덟이 되던 해엔 아빠와 헤어져야 했다. 

어쩌면 내 20대는 헤어짐의 연속이었던 것 같다. 

물론 새로운 만남도 있었고 지금도 여전히 헤어지는 중이지만. 


오늘도 짧은 헤어짐을 치렀다.  

연말의 2박 3일을 같이 보내고 다시 서울로 올라가는 나에게 

조심히 올라가라고 멀리서 손 흔들어주던 막내 오빠와 헤어졌다. 

오빠는 아빠와 달리 키가 큰 편인데 

마디가 굵고 손바닥이 넓은데 반해 비교적 손가락이 짧았던 아빠의 손을 꼭  빼닮았다. 


점점 오빠의 모습에서 아빠의 흔적을 찾게 된다. 

일부러 그러려고 하지 않아도 그렇게 된다. 

오빠 손을 보니 또 아빠가 생각나서 괜히 울뻔했다. 

다행히 주책맞은 눈물을 들키기 전에 돌아서서 걸었다.  

혹시나 해서 뒤돌아보니 여전히 내가 가는 걸 지켜보고 있어서 

또 울컥했다. 아빠처럼 왜 그런담. 

오빠도 나이를 먹나보다. 



서울 올라오는 고속버스에서 생각했다. 

이번에 다시 시작하면 꼭 그만두지 말고 계속 쓰자고. 

벌써 엄마와의 시간이 가물가물한데 

이러다 아빠와의 기억도 옅어지면 너무 슬플 것 같으니까. 

그땐 이미 떠난 버스를 붙잡겠다고 뛰어가도 아무 소용이 없게 된다. 


헤어짐은 슬프지만 우울하지만은 않았으면 좋겠다. 

이별은 새로운 만남의 다른 표현이니까 이런 이유 말고 

그냥 생각보다 살면서 꽤 많이 헤어지고 

당장에 좋은 이별은 없어도 

기억하고 싶은 순간들이 많다면 후에 그건 좋은 이별이었다고 말할 수도 있을 테니까. 

좋은 이별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빠라는 이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