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지현 May 24. 2024

경도인지장애 최신지견

펍메드 경도인지장애 SR 읽기 part1

[오케이 한방병원 한의사 오지현입니다]


경도인지장애에 관한 최신지견을 살펴보기 위해서 pubmed에서 논문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최근 5개년으로 찾아보니 만이천 편이 넘는 논문이 검색되더군요. 올해 1월 1일부터 4월 30일 사이에 발행된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s) 중에서 무료로 전체 원문을 볼 수 있는 논문으로 필터링을 해보니 총 30편의 논문이 나왔어요.


"mild cognitive impairment"

Filters: Free full text, Systematic Review, from 2024/1/1 - 2024/4/30 - PubMed

Date: 2024/5/6


이제 논문을 읽어봅시다. 오늘의 목표는 다섯 편입니다. 초록만 번역해서는 어렵기만 하고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라도 전체 원문의 내용을 담아 정리하였고, 약간의 부연 설명이나 의견은 J. 말머리를 달아 덧붙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쉽게 전달할까 생각하다가 각 논문의 핵심이 되는 단어를 AI 그림으로 생성해 보았으니(https://playground.com) 그림을 보면서 이해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관심이 생겨서 디테일까지 궁금해지셨다면 하단 첨부파일로 원문을 실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 1. 에리트로포이에틴(EPO)과 그 수용체는 신경계 장애 동물 모델에서 신경 보호 작용을 갖는다. 만성 신장 질환(CKD) 환자는 종종 경도인지장애나 다른 신경인지 장애를 경험하는데, 그들에게 rHuEPO 치료는 일반적인 빈혈 치료 외에도, 뇌 기능을 향상하고 신경심리검사 점수를 높이며 뇌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의 인지적 이점이 있다.



Ref 1. Barbieri, M., Chiodini, P., Di Gennaro, P., Hafez, G., Liabeuf, S., Malyszko, J., Mani, L. Y., Mattace-Raso, F., Pepin, M., Perico, N., Simeoni, M., Zoccali, C., Tortorella, G., Capuano, A., Remuzzi, G., Capasso, G., Paolisso, G., & CONNECT Action (Cognitive Decline in Nephro-Neurology European Cooperative Target) collaborators (2024). Efficacy of erythropoietin as a neuroprotective agent in CKD-associated cognitive dysfunction: A literature systematic review. Pharmacological research, 203, 107146.

J. rHuEPO는 인체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적혈구 생성 촉진 호르몬을 재조합한 것으로 혈액에서 적혈구 생산을 촉진하여 혈중 산소량을 증가시키고 빈혈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물질입니다. 인지 기능을 높이는 한약들이 사물탕 베이스가 많은 것과도 연결 지어 생각해 보면 어떨까 싶네요.



# 2. 비타민D는 지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비타민D 수용체(VDR: FokI, BSmI, TAQI, ApaI)와 결합하여 칼슘 항상성, 신경세포 발달, 세포분화 및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paI 유전자형은 전반적인 알츠하이머병 위험을 감소시키고, TaqI 유전자형은 전반적인 파킨슨병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smI 및 ApaI 유전자형은 전체 경도인지장애 위험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ef 2. Du, Y., Geng, P., Chen, Q., Han, L., Liu, L., Yang, M., Tan, M., Meng, J., Sun, X., & Feng, L. (2024). Associations of vitamin D receptor polymorphisms with risk of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16, 1377058.

J. 비타민 D가 인지 기능과 연관 있다는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직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지용성 비타민은 과하면 독성을 일으키므로 주의해야겠지만,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일정량 이상의 햇빛을 받으며 산책하는 것은 추천할만합니다.



# 3. 두 가지 특정 단백질 응집체는 알츠하이머병의 병태생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하나는 주로 아밀로이드 베타(Aβ) 응집에 의해 세포 외 공간에서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 플라크는 뉴런의 신호 기능을 억제한다. 2) 또 다른 단백질 변화는 타우 단백질(p-tau)의 인산화에 의해 형성되는 뉴런 내 신경원섬유 엉킴의 출현으로, 이는 세포 내부의 축삭 수송을 억제한다.


Aβ 및 p-tau 상태를 고려하면 증상이 나타나기 전이나 경미한 단계에서 인지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A+T+일 때 A+T-보다 정상에서 경도인지장애로,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의 오즈비가 크다. 현재의 치료적 한계와 조기 예방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비약리학적, 약물학적 치료는 인지 상태로 시작되기보다는 Aβ 및 p-tau 상태로 미리 시작되어야 한다.




Ref 3. Huszár, Z., Engh, M. A., Pavlekovics, M., Sato, T., Steenkamp, Y., Hanseeuw, B., Terebessy, T., Molnár, Z., Hegyi, P., & Csukly, G. (2024). Risk of conversion to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among subjects with amyloid and tau patholog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16(1), 81.

J. 최근에는 염증이나 면역 이론이 점차 주목받고 있지만,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도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은 인지 증상이 시작되기 15~20년 전부터 응집이 시작되지요. 그동안의 연구들이 임상에서 크게 효과를 내지 못했던 원인 중 하나는 증상이 병으로 인식된 순간은 이미 늦었기 때문입니다. 일단 비가역적으로 뇌의 신경변성이 일어나게 되면 현재 수준에서 치료는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지요.


# 4. 경도 인지 장애 환자의 인지 결핍은 뇌의 기능적 연결성(FC)의 변화와 관련 있어 보인다. FC의 변화는 과제의 종류에 따라, 뇌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경도 인지 장애 환자는 전반적으로 주로 전전두엽, 두정엽 및 후두엽 피질에서 휴지기 FC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과제가 주어졌을 때는 전전두엽 기능이 증가할 때도 있고, 감소할 때도 있다. 동물 이름 말하며 걷기 과제(naming animal-walking task: 언어 유창성에 초점, 의미 기억에 의존)를 하는 동안에는, 전전두엽피질(주요 인지 영역, 기억, 판단, 분석, 사고 및 작동), 운동피질(감각 및 운동 기능을 조정) 및 후두엽피질(시각 처리에 관여하고 움직임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상상)에서 향상된 FC를 보였다. 반면, 계산하며 걷기 과제(calculating-walking task: 작업 기억과 주의력 관련)를 하는 동안은, 오른쪽 전전두엽에서 왼쪽 전전두엽 피질까지 FC의 감소(더 까다롭고 민감한 작업에 직면했을 때, 하위 작업 간섭을 극복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적절)가 관찰되었다.


Ref 4. Wang, S., Wang, W., Chen, J., & Yu, X. (2024). Alterations in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ies. Brain and behavior, 14(4), e3414.

J.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으로 헤모글로빈 농도를 변화를 측정하여 뇌 활성도를 확인한 논문들을 분석한 연구입니다. 뇌에서는 다양한 연결성 패턴이 나타나는데, 경도인지장애가 있으면 일괄적으로 뇌기능 연결성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과제의 종류나 뇌의 영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





# 5. 장기간의 신체적 운동이 경도인지장애나 치매 환자의 시공간 작업 기억(VSWM) 향상에 도움이 된다. VSWM은 작업 기억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단기 기억에 공간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음운 고리(phonological loop)와 비교하여, VSWM은 중앙 실행 기능(central executive functions)에 더 많이 의존하므로 인지 저하의 주요한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경우, 주당 3~4회로 60분 이상의 중강도(VO2max 50-75%) 운동(을 3개월 이상 하도록 추천한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주당 2회로 90분 이상의 중강도(VO2max 50-75%) 운동을 3개월 이상 하도록 추천한다.







Ref 5. Deng, J., Wang, H., Fu, T., Xu, C., Zhu, Q., Guo, L., & Zhu, Y. (2024). Physical activity improves the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of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Frontiers in public health, 12, 1365589.

J. 시공간 작업기억은 시각적, 공간적 정보를 잠시 보관하는 기억인데요. 시각적 심상을 떠올리는 능력과 연관이 있습니다. 위 논문에서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는 MBE(mind body exercise)를,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는 에어로빅을 가장 효과적이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해마가 자극되면서 VSWM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요.




이전 01화 경도인지장애 스터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