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지현 Jun 07. 2024

경도인지장애 최신지견

펍메드 경도인지장애 SR 읽기 part2

[오케이 한방병원 한의사 오지현입니다]


펍메드 경도인지장애 SR 읽기 part1(https://brunch.co.kr/@greenktm/6)에 이어서 논문을 읽어봅시다. 지난번에는 다섯 편을 읽어보았는데, #에리트로포이에틴 #비타민D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 #뇌의 기능적 연결성 #운동에 관련된 내용이 있었죠. 이제 새로운 다섯 편을 읽어보도록 하지요.





# 6. 장내 미생물은 뇌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알츠하이머 환자는 동일한 연령의 대조군에 비해 장내 미생물이 염증성 문이 풍부하고, 항염증성 문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지장애가 없는 일반인의 경우에도, 젊은 층에서와 달리 노인층에서는 유익균이 줄어들므로, 장내 미생물 군 구성 변화는 잠재적으로 경도 인지 장애가 나타나기 전 알츠하이머병이나 기타 치매에 대한 초기 생물학적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Ref 6. Kossowska, M., Olejniczak, S., Karbowiak, M., Mosiej, W., Zielińska, D., & Brzezicka, A. (2024). The Interplay between Gut Microbiota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Healthy Aging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Nutrients, 16(6), 852. https://doi.org/10.3390/nu16060852

J. 한의학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인체 여러 장부 기관의 유기적 연결, 특히 소화기계와 뇌기능의 관계를 강조해 왔습니다. 장뇌축 이론이 대두되었을 때도 한의학계에서는 '이런 당연한 사실을'이라는 반응이 대다수였지요. 그런데 구슬이 서 말 이어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다지요. 다양한 현대 과학적 연구가 뒷받침돼서, 우리에게만 커먼센스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더 많은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7. 경도인지장애(MCI)는 치매의 과도기 또는 전구 단계로, 자율성(자기 결정권)이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이 상태는 인지-감정 처리의 기초가 되는 전전두엽 피질과 피질하 뇌 영역의 점진적인 악화로 인해, 의사 결정 능력의 고갈을 수반할 수 있다. MCI 환자들은 '재정 관리, 의료 준수, 특정 인지 수행, 위험한 상태, 특히 불확실한 생활환경'과 관련된 의사 결정 능력이 약간 또는 중간 정도로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Ref 7. Alfeo, F., Lanciano, T., Abbatantuono, C., Gintili, G., De Caro, M. F., Curci, A., & Taurisano, P. (2024). Cognitive, Emotional, and Daily Functioning Domains Involved in Decision-Making among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Brain sciences, 14(3), 278. https://doi.org/10.3390/brainsci14030278

J. 경도인지장애 초기에 대응하는 것의 장점 중 하나는, 나중에 있을 여러 상황들에 대해서 미리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의사 결정 능력이 점차 손상될 수 있음을 받아들이고, 중요한 결정들에 대해서는 미리 러프하게라도 생각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 8. Mini-Cog는 세 단어를 기억하고 시계를 그려서 간단하게 평가하는 인지 테스트이다. 시간과 자원이 제한된 의료 환경에서 간단하고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Ref 8. Abayomi, S. N., Sritharan, P., Yan, E., Saripella, A., Alhamdah, Y., Englesakis, M., Tartaglia, M. C., He, D., & Chung, F. (2024).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Mini-Cog screening tool for the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19(3), e029868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98686

J. Mini-Cog는 3분짜리 쉽고 간단한 선별검사입니다. 검사지는 https://mini-cog.com/에서 확인해 볼 수 있어요.




# 9. 오메가-3 다중불포화지방산(n-3 PUFA)은 산화 스트레스에 취약한 뇌 영역의 시냅스 가소성과 신경 발생에 영향이 있을 수 있어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에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직 의미 있는 메타분석 결과는 없다.






Ref 9. Suh, S. W., Lim, E., Burm, S. Y., Lee, H., Bae, J. B., Han, J. W., & Kim, K. W. (2024). The influence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cognitiv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out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BMC medicine, 22(1), 109. https://doi.org/10.1186/s12916-024-03296-0

J. 오메가 3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지만, 견과류나 등 푸른 생선을 통한 자연스러운 섭취는 추천할 만합니다. 특히 입에서 여러 번 씹어서 저작운동을 활성화하면서 먹는 것이 좋겠지요. 


# 10. 대부분의 치매 형태는 진행성이고 되돌릴 수 없으므로 초기 단계의 발견이 중요하다.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알츠하이머병(AD)과 루이소체치매(DLB)를 구분하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Aβ42/Aβ40과 같은 여러 CSF 바이오마커의 조합은 DLB-MCI와 AD-MCI를 구별하는 데 탁월한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루이소체 치매의 10가지 흔한 증상(인지 기복(fluctuation), 혼란, 표정의 느슨함, 침 흘림, 약한 목소리,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는 것, 비자발적인 움직임, 꿈을 꾸는 것, 렘수면 행동장애, 물건을 잘못 판단하는 것) 중 3개 이상 존재하면, DLB-MCI 발병이 예측된다.

Ref 10. Burgio, M. I., Veronese, N., Sarà, D., Saccaro, C., Masnata, R., Vassallo, G., Catania, A., Catanese, G., Mueller, C., Smith, L., Dominguez, L. J., Vernuccio, L., & Barbagallo, M. (2024). Markers for the detection of Lewy body disease versus Alzheimer's diseas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6(1), 60. https://doi.org/10.1007/s40520-024-02704-y

J. 루이소체 치매의 유병률에 비해 국내 진단율이 낮은 편인데, 이는 누락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특히 환시 환각 등을 겪을 때 루이소체 치매인 줄 모르고 다른 약을 쓰는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감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전 03화 치매 개요를 알기 좋은 책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