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록빛보라 Nov 30. 2023

부끄러운 글쓰기

2023년 7월 18일. 그날 이후 내 마음에 들어온 슬픔과 분노 덩어리들. 교사의 정체성으로서의 나는 7월 18일 이전으로는 결코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세상에서 겪은 수많은 죽음은 너무 안타까워 슬프기도 하고 너무 억울하여 분하기도 했는데 7월 18일 한 사람의 죽음은 슬픔과 분노가 같이 일었다. 교단에 서기를 꿈꾸고 갓 선생님이라고 불릴 수 있게 된 2년 차라는 시기가 얼마나 찬란한가를 생각하면, 그 시기를 버티지 못하고 삶을 내던질 수밖에 없었던 한 사람의 선택이 너무나 비참해서 슬프다. 그런데 억울함이 슬픔을 이긴다. 한 사람을 바르게 성장시키겠다는 목적이 같다는 걸 모르는 학부모 때문에, 자신이 벼랑 끝으로 몰아갔던 사람도 누군가의 소중한 자식임을 모르는 학부모 때문에, 잘못된 것도 잘못이라 말하지 못하게 만드는 세상과 법 때문에 분해서 못 살겠다. 화가 나서 미칠 것 같다. 누군가는 고통받고 있었을 그 시간에 나는 수업 나눔 글쓰기로 학부모와 소통도 잘 되고 있고 아이들의 예쁜 점이 이렇게나 많다고 써왔던 나의 글쓰기가 돌아가신 분께 너무나 미안하고 부끄럽다. 고통을 뒤로한 채 좋은 것만 드러내려 했던 나의 행동이 선생님들의 죽음에 일조한 것 같아 마음이 무너진다. 힘들면 힘들다고 말하는 글쓰기가 필요했는데. 마음이 한없이 깊은 심연으로 가라앉고 있는데도 좋은 점만 보자고 마음을 다독였던 내가 원망스럽다. 나는 이제 어떻게 글을 써야 할까.

매거진의 이전글 서이초 막내 선생님을 추모하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