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은 아니다. 더러워서 버리는 것이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와 나타샤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를 타고
시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리 없다
언제 벌써 내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디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 것이다
- 백석 -
대설주의보가 내렸다. 작년엔 눈 구경 한 번 하지 못하였는데 올 겨울은 눈 소식이 잦다. 창밖으로 하염없이 내리는 눈을 바라보면 백석의 시 ‘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가 떠오른다.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는 가혹한 현실 속에 놓인 시적 화자가 현실을 벗어나 자신의 사랑을 이루려는 의지를 이국적인 이미지를 통해 그리고 있으며 인간 마음속에 근원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사랑에 대한 환상을 드러내는 작품이다.
백석의 시대에 흔한 여인들의 이름 '순자'도'영자'도 아니고 ‘나타샤’라는 몽환적 이름이 등장한다. ‘나타샤’라는 이름만으로 눈처럼 흰 피부에 웨이브 있는 긴 금발머리에 회색 눈동자를 지녔을 러시아 여인이 떠오른다. 백석은 하필이면 나타샤를 부를까... 아마도 그것은 닿을 수 없는 사랑, 실현 불가능한 사랑에 대한 은유가 아닐까 싶다. 가난한 시적 화자가 나타샤를 사랑해서 눈이 푹푹 내린다는 특이한 인과론도 재미있다. 나와 나타샤가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를 타고 시골,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서 마가리에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혼자 소주를 마신다. 한걸음 더 나아가 ‘눈은 푹푹 나리고 내가 나타샤를 생각하고 있으니 나타샤가 아니 올리 없다 ‘고 단언한다. 벌써 지신의 속에 와 고조곤히 이야기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눈이 푹푹 나리는 날 흰당나귀를 타고 나타샤와 함께 출출이(뱁새) 우는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라 세상 따위는 더러워서 버리는 거라고 호기를 부린다. 지는 것이 아니라 버리는 것. 세상은 이기고 싶을 만큼 욕심나지도 않으며 더럽기 때문에 버리겠다는 시적 화자의 의지가 드러난다. 시골로 가는 것도 화자의 의지, 마가리에 살고 싶은 것도 화자의 의지, 더러운 세상을 버리는 것도 화자의 의지다. 화자가 시골로 가고 싶은 날은 바람 부는 날도 비가 오는 날도 아니고 눈이 잠깐 흩날리는 날도 아니다. 시의 표현대로 ‘푹푹 나리는 날’이다. 그날 시적 화자는 빈방에 홀로 앉아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가고 싶다고, 가겠다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고, 나와 나타샤는 사랑을 하고 흰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 것이라고 말한다.
흰당나귀, 눈이 푹푹 나리는 날, 나타샤. 공통점은 모두 하얗다는 점이다. 푹푹 나리는 눈은 더러운 세상의 얼굴 덮는 수단이다. 몽환적 대상으로 시인이 선정한 흰 당나귀와 나타샤는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대상, 소유하기 어려운 것, 닿을 수 없는 것의 상징이다. 나와 나타샤가 눈이 푹푹 나리는 날 타고 갈 동물이 흰 말도 아니고 흰 당나귀다. 흰 당나귀에 올라탄 두 사람이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 마가리에 이르려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까. 세상은 더러워서 버리지만 시적 화자가 이상적 장소로 택한 출출이 우는 깊은 산속까지 가는 길도 쉽지 않은 여정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오늘 나는 창밖을 보며 생각한다. 또다시 눈의 나라.... 설국이 된 도시의 모습. 아니 올 리 없다고 단언하는 그 남자에게 ‘나타샤’는 나타났을까...
세상 따위는 더러워서 버린다는 한 남자와 나타샤가 흰 당나귀를 타고 가는 모습을 상상한다. 남자와 나타샤의 머리 위에도 눈이 쌓이고 흰 당나귀의 발은 푹푹 나리는 눈에 푹푹 빠지고. 그래도 좋다고 응앙응앙 소리 내는 흰당나귀의 노래, 눈처럼 새하얀 노래가 들리는 것만 같다. /려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