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로윤 Aug 11. 2023

어리광이 뭐죠? 먹는 건가요?

아이들을 안좋아하는 사람

나는 애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보통 사람들은 애들을 보면 너무 귀엽다며 좋아하던데 난 그렇지 않았다. 애들이라고 생각하면 시끄럽고 정신없고 귀찮은 존재라고 생각했다. 이런 생각은 우리 남편도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왜 그럴까? 어리광 부려본 적이 없는 아이들이라 그런 건 아닐까 생각해 봤다. 어리광 부리는 아이들이 불편하고 보기가 싫은 것이다. 첫째 아들인 남편은 집에서 더욱 무뚝뚝했지만 나 역시 그랬다.


사람들은 외동딸이라고 하면 엄청 사랑받고 철이 없고 뭔가 버릇없고 싸가지 없을 것 같은 이미지를 떠올리는 모양이다. 나는 그 반대였다. 항상 외동이라고 하면 사람들이 '외동 안 같다'라고 말했다. 외동에 대한 편견이 나는 항상 불편해서 외동이라는 사실을 최대한 숨겼다.


우리 집은 가난했고, 고민을 말해도 공감도 제대로 된 조언도 받지 못한 적이 많아서 나는 아주 독립적이었다. 나는 항상 이야기도 안 하고 어떤 문제든 혼자 해결했다. 친구들이 종종 서운해할 정도로 말이다.


집에서는 떼써본 적도 없고 물건 사달라고 졸라본 적도 없었다. 어리광이라는 건 나와는 아주아주 먼 이야기였다. 집에서 엄마의 고민을 들어주는 것도 내 역할이었고 몸이 약하고 덤벙대는 엄마를 챙기는 것도 내 역할이었다. 병원도 안 가고 불규칙적으로 사는 아빠를 챙기는 것도 내 역할이라고 할머니는 아빠 좀 챙기라고 병원에 데려가라고 나를 닦달했다. 원래는 성실하고 부지런한 사람인데 엄마 때문에 그렇게 변했다나. 엄마가 없으면 아빠의 식사를 챙기는 것도 미성년자인 내 몫이었다.


하나뿐인 자식이자 할머니에게 하나뿐인 손주였던 나는 아주 큰 책임감이 어깨 위에 떠 안겨졌다. 내가 무조건 잘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는 항상 당연히 잘해야 하는 아이였다.


내가 챙겨야 하는 사람들에게 내가 어리광을 부려야 할 이유가 없었던 게 아닐까. 내가 애교가 없다고 그러는데 다른 아이들이 애교를 피우는 이유는 사랑이던 관심이던 용돈이던 갖고 싶은 물건이던 얻을 게 있기 때문에 애교를 부리는 것 아닐까 싶다.


내 소원은 제발 나를 가만 좀 내버려두었으면 좋겠다는 거였으니 애교를 부리거나 어리광을 부릴 리가 없었다. 집의 가난까지 알고 있으니 더욱 그랬을 것이다.


남편도 나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가난을 알았고 형이니 뭐든 참고 양보하고 챙기라는 게 당연한 환경에서 어리광이라는 건 쉽지 않았을 거다. 우리 아들 공부 잘한다고 너무너무 좋아하시고 여기저기 자랑하는 부모님 앞에서 나 사실 너무 힘들다고 어리광 부리기가 어디 쉬웠을까.


우리의 아이는 우리와는 다르게 아이답게 클 것이다. 부모님을 챙길 필요도 없고 큰 부담도 주지 않을 것이다. '나 너무 힘들어' 하고 폭 안겨 어리광 부리는 아이가 되기를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집 사업병 환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