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하종 Dec 13. 2020

먹고살기도 바쁜데
무슨 환경을 신경 써요?

나는 그 무엇보다 '기후변화'가 두렵다.

 우리는 평소 환경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을까요? 세계에서 가장 많은 후원과 지지를 받고 있는 시민단체는 ‘그린피스’이고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시민단체는 한국의 ‘환경운동연합’ 일 정도로 우리는 오랫동안 환경에 아주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오랜 관심이 오히려 우리에게 안일함을 심어주고 있지는 않았나 생각합니다. 어려서부터 숱한 환경단체의 활동을 보고 있었다면 언젠가는 환경문제는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환경문제는 소수 환경운동가가 도맡아 해결하는 문제라는 인식을 강화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 환경운동은 일반 시민들의 후원과 지지는 많았지만 실제로 적극적인 행동을 이끌어내는 데까지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환경이나 기후 문제는 많은 관심에 비해 실제 일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우선순위에서 별로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합니다. 먹고사는 문제는 당장 급하고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기후 문제는 그에 비해서 눈 앞에 직접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해결 과정에 있어서도 그 효과가 바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기후변화 이외에도 더 크고 중요한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닌 것 같습니다.


 퓨 리서치 센터는 매년 감염병 확산, 기후변화, 테러, 해외 사이버 공격, 핵무기 확산, 세계 경제 상태, 빈곤, 국가나 민족 간 오랜 갈등, 대규모 이주 등 9개 항목에 대해 각국 국민이 얼마나 큰 위협이라고 생각하는지 추적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역시 14개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고 8개국이 기후변화, 4개국이 감염병 확산, 2개국이 해외 사이버 공격을 최대 위협으로 꼽았습니다.


 퓨 리서치 센터가 작성한 2020년 보고서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럽인들은 여전히 국가의 가장 큰 위협을 기후변화라고 본다.>에 따르면 한국은 14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89%)인 열명 중 약 아홉 명으로 감염병 확산이 국가에 중대한 위협이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이에 비해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등은 코로나 19로 큰 인명피해가 발생했지만 역대 가장 높은 비율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습니다. 더 주목해야 할 점은 따로 있습니다. 한국은 감염병 확산 말고도 해외 사이버 공격(83%), 글로벌 경기(83%), 국가나 민족 간 갈등(71%), 대규모 난민 이주(52%)에 대한 우려 정도도 14개국 중 가장 높았습니다.



Spring 2020 Global Attitudes Surbey (출처 : 퓨 리서치 센터)

 왜 이토록 우리나라 사람들은 걱정하는 문제가 이토록 많은 걸까요? 그 문제의 원인을 한반도 분단체제와 급격히 성장한 자본주의 체제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70여 년째 아직도 한국전쟁은 계속 중입니다. 평소에는 휴전상태라는 걸 느끼지 못할 정도로 평온하게 사는 듯 보이지만 핵 실험, 미사일 실험 등 실제 상황만 발생하면 극도로 불안해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체제가 확보되지 않는 한 이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대한민국은 70-80년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1997년 IMF라는 국가 경제위기 앞에 속절없이 무너지는 모습을 두 눈 뜨고 봐야만 했습니다. 경제 규모 10위권을 코앞에 둔 대한민국은 아직도 그 트라우마가 지워지지 않은 듯 보입니다. 평소에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며 자부심을 갖지만 2008년 금융위기나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 위기 등 경기가 조금만 안 좋으면 나라가 망할 것처럼 떠들썩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도 자본주의 체제가 이대로 지속되는 한 해결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한국 사람들이 모두가 지금 불안하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막연하게 불안하다고 느끼면서도 그 불안의 원인이 뭔지 정확하게 잘 몰라요. 그 불안을 돈으로 어떻게든 방어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서 돈에 올인하거든요. 그럼에도 불안이 사라지지 않고 더 불안해지죠. 또 사회적 차원에서 보면 경제성장에만 계속 관심들이 있지, 평등과 화목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주목을 거의 못하고 있어요.”

– 심리학자 김태형(심리연구소 ‘함께’ 소장)-

 

 우리는 현실을 제대로 직시해야 합니다. 기후위기가 가져올 변화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기후위기에 대한 대처 없이 평화도 경제도 그 무엇도 챙기기 어려울 겁니다. 기후위기는 사소한 불편 정도로 그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기후위기는 핵전쟁과 맞먹는 규모로 인류를 위협합니다. 생활양식, 미래에 대한 기대, 정체성 등 모든 수준에서의 위협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기후위기를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는 기후위기가 유발하는 불안과 그것이 요구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피하고 싶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기후위기는 절대 우리가 대처하지 못할 문제가 아닙니다. 이미 기후위기는 그 해결책마저 준비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에게는 집단적 행동에 나설 수 있는 강력한 추진력까지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기후행동’에 나섬으로써 경제적 이익과는 차원이 다른 보상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우리가 지금껏 고질적인 문제라고 여겨왔던 분단 적폐와 자본주의의 폐해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던져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일은 전 세계의 시민들이 하나로 뭉쳐야만 가능한 일이며 모두가 하나같이 지금까지 유지해 왔던 일상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포기해야만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강화도 조약 보다도 모르는 파리 기후협약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