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학준 Jan 27. 2018

굵은 글씨체


굵은 글씨체




 “건강보험료 날라 왔더제?” 

 

 직접 부친 편지마냥 그렇게 묻자 나는 

 

 “그게 뭔데?”


하고 물었다. 차마 내가 모르리라 예상은 못 하고


 “우체통에 건강보험료 내라고 안 날라 왔더나?”


 명세서 같은 게 꽂혀 있어도 ‘있구나.’ 적잖이 지켜보는 나는


 “그게 뭔데?”


 엄마는 그때서야 일어날 수 있는 일인 걸 알고 화를 섞어


 “니가 서울로 주소지를 옮겼다면서 임마야 그러니까 앞으로 니 건강보험료는 니 쪽으로…”


 나는 잠자코 들으면서 또 그건 안 듣고 나와의 길어지는 통화를 엄마는 더 좋아하고 있으리라 잘 한 게 있다는 식의 생각 같은 걸 했다. 물론 엄마일 때 그렇다는 건데 들을수록 엄마만 설명하고 있는 게 아니었다. 나 들으라고 하고 있는지 통화 밖에서, 엄마 중간 중간, 내가 이야기를 옮기면 따라오고, 따라오는, 굵은 글씨로 된. 


 “엄마 옆에 아빠 좀 조용히 해라고 해라.” 

 

 해봤자 안 그럴 걸 아는 엄마는 내 말을 안 전했다. 나도 알고 있었다. 건강보험료에 대한 설명과 길어진 차에 몇 가지 더 얘기 나누는 동안 굵은 목소리는 혼잣말 아니지만 통화 밖이라 잘 읽을 수 없는 글씨들을 띄엄띄엄 전했다. 두 명과 통화한 것 같은 기분으로 전화를 끊는데, 아빠의 글씨가 많이 작아진 듯한 걸 읽었다. 

 

 엄마가 누구하고 통화를 하건 아빠는 그러는 사람이다. 엄마의 상대방 목소리를 듣지도 않으면서 통화하는 엄마 쪽만 듣고 엄마가 좀 쉴 때 얘기하고, 또 엄마 말이 틀렸을 때도 얘기하고, 혼자 웃기도 하고 화내기도 하고. 내 머리가 굵어지고 나서 아빠한테, 엄마 통화할 때 그러지 쫌 마라고 상대방이 얼마나 시끄러운지 아냐고 아빠를 혼낸 적이 있다. 무서웠던 아빠는 저녁녘 자란 수염을 씩 훔치면서 겸연쩍어 했다.    


 조금 전 아빠도 얼마나 설명하고 싶었을까. 굵은 글씨가 얼마나 많았을까. 하지만 난 아빠와 잘 통화하지 않는다. 엄마 중간 중간 따라오면 좀 가라고 이야기를 옮긴다. 하고 싶은 얘기를 옆에서나 하면서 통화를 상상하고 또 재밌어하는, 굵은 글씨의 폰트를 이제 좀 키워드리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무제X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