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가지 단상|노무현 대통령의 영원한 후원자이자 동지
※ 올해는 故 노무현 대통령의 11주기입니다. 아래는 3년 전 다큐멘터리 영화 <노무현입니다>를 보고 제 페북에 올렸던 글입니다. 노.무.현. 이름 석 자만 들어도 먹먹한 감정은 여전합니다. 저는 노무현 대통령을 떠올리면 두 사람이 먼저 떠오릅니다. 문재인과 강금원.
다큐멘터리 영화 <노무현입니다>를 봤다. 여러 번 울컥했지만, 속으로 삼켰다. 과거 노무현 변호사를 마크(담당)했던 전 중앙정보부 요원 이화춘 씨, 운전기사 노수현 씨의 얘기가 절절했다. 영화를 다 보고나니 불현듯 한 사람이 떠올랐다.
'인간 노무현'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면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인데, 이 영화에 등장하지 못했다. 이미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그는 노무현의 영원한 후원자이자 동지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이다. 지난 2009년 5월 23일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했던 때 강 회장은 사실상 정치 보복으로 옥중에 있었다.
구속된 지 47일만인 5월 26일에야 보석으로 풀려난 강 회장은 곧바로 봉하마을을 찾았다. 빈소에 도착한 강 회장은 노무현 대통령의 영정을 보자마자 굵은 눈물 방울을 흘리며 "대통령이 무슨 잘못이 있습니까. 일국의 대통령을 하셨던 분인데 그렇게 사람을 치사하게 괴롭힙니까"라며 울분을 토했다. 당시 강금원 회장의 눈망울에 담긴 슬픔을 어떤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강금원 회장은 3년 후인 2012년 8월 2일, 친구 노무현의 곁으로 갔다. 두 사람은 서로에게 크나큰 부채의식을 갖고 운명을 달리 했다. 정치 보복의 결과는 너무나도 잔인했다. 강금원 회장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고마움과 미안함'은 노 대통령이 지난 2009년 4월 17일 '사람사는세상' 홈페이지에 올린 '강금원이라는 사람'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강 회장이 구속되기 전의 일이다. 내가 물어보았다.
"강 회장은 리스트 없어요?"
"내가 돈 준 사람은 다 백수들입니다. 나는 공무원이나 정치인에게는 돈을 주지 않았습니다."
"그 많은 돈을 왜 주었어요?"
"사고치지 말라고 준 거지요. 그 사람들 대통령 주변에서 일하다가 놀고 있는데 먹고 살 것 없으면 사고치기 쉽잖아요. 사고치지 말고 뭐라도 해보라고 도와 준 거지요."
할 말이 없다. 부끄럽고 미안하다. 나의 수족 노릇을 하던 사람들이 나로 인하여 줄줄이 감옥에 들어갔다 나와서 백수가 되었는데, 나는 아무 대책도 세워 줄 수가 없었다. 옆에서 보기가 딱했든 모양이다. 강 회장이 나서서 그 사람들을 도왔다.
그동안 고맙다는 인사도 변변히 한 일도 없는데 다시 조사를 받고 있으니 참으로 미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무슨 말을 할 수가 없다. 멍하니 바라만보고 있는데 강 회장이 계속한다.
"지난 5년 동안 저는 사업을 한 치도 늘리지 않았어요. 이것저것 해보자는 사람이야 오죽 많았겠어요? 그래도 그렇게 하면 내가 대통령님 주변 사람을 도와줄 수가 없기 때문에 일체 아무 것도 하지 않았어요."
강 회장이 입버릇처럼 해오던 이야기다.
"회사 일은 괜찮겠어요?"
"아무 일도 없어요. 지난번에 들어갔다 나오고 나서 직원들에게 모든 일을 법대로 하라고 지시했어요. 수시로 지시했어요. 그리고 모든 일을 변호사와 회계사의 자문을 받아서 처리했어요. 그리고 세무조사도 다 받았어요."
그래서 안심했는데 다시 덜컥 구속이 되어버렸다. 털어도 먼지가 나지 않게 사업을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닌 모양이다.
어떻든 강 회장은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을 맞은 것이다. 이번이 두 번째다. 미안한 마음 이루 말할 수가 없다.
강 회장이 나를 찾아 온 것은 내가 종로에서 국회의원에 출마했을 때였다.
모르는 사람한테서 전화가 왔다.
"후원금은 얼마까지 낼 수 있지요?" 전화로 물었다.
"1년에 5천만원까지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무실로 온 사람이 강 회장이다.
"나는 정치하는 사람한테 눈꼽만큼도 신세질 일이 없는 사람입니다."
첫 마디를 이렇게 사람 기죽이는 이야기로 시작했다. 눈치 안보고 생각대로 말하고 하고 싶은 대로 하는 사람이구나 싶었다. 그래서 경계를 하지 않았다.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당시 나는 장수천 사업에 발이 빠져서 돈을 둘러대느라 정신이 없던 때였다. 자연 강 회장에게 자주 손을 벌렸다.
당시 안희정씨가 그 심부름을 하면서 타박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정치인이 정치나 하지 왜 사업을 하려고 하느냐 하는 것이 구박의 이유였다고 한다. 그러나 나에게 직접 타박하지는 않았다. 그런 와중에 나는 2000년 부산 선거에서 떨어졌고, 2002년 대통령 후보가 되었을 때에는 장수천 빚 때문에 파산 직전에 가 있었다.
강 회장의 도움이 아니었더라면 나는 대통령이 아니라 파산자가 되었을 것이다. 강 회장은 아직도 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지만 나를 원망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는 나에게 단 한 건의 이권도 청탁한 일이 없다. 아예 그럴만한 사업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한다.
퇴임이 다가오자 강 회장은 퇴임 후 사업을 이야기했다.
처음에는 생각이 조금 달랐다. 강 회장의 생각에는 노무현이 중심에 있었고, 나의 생각에는 생태 마을이 중심에 있었다. 결국 생태마을 쪽을 먼저 하고 재단은 퇴임 후에 하기로 가닥이 잡혔다. 그렇게 해서 주식회사 봉화가 생겼다. 이름이 무엇이든 우리가 생각한 것은 공익적인 사업이었다.
70억이라고 하니 참 크게 보인다. 그런데 강 회장의 구상은 그보다 더 크다.
"미국의 클린턴 재단은 몇 억 달러나 모았잖아요. 우리는 그 10분의 1이라도 해야지요."
이것이 강 회장의 배포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그렇게 많은 돈을 모으기가 어렵다. 꼭 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강 회장 혼자서 부담을 해야 할 형편이다.
강 회장은 퇴임 후에 바로 재단을 설립하자고 주장했으나 다른 사람들은 좀 천천히 하자고 했다. 강 회장 한 사람에게만 의지하는 것이 미안하고 모양도 좋지 않으니 출연할 사람들을 좀 더 모아서 하자는 의견이었다.
그런데 퇴임 후 바로 내 주변 사람들에 대한 각종 조사와 수사가 시작되고, 강 회장에 대한 세무조사도 시작되니 아무 일도 시작할 수가 없었다. 사람들을 모을 수가 없게 되었으니 재단은 표류하고 있다.
나는 사람들에게 가급적 우리 집에 오지 말라고 한다. 그러지 않아도 사업하는 사람들은 오겠다는 사람도 없었다. 사업을 안 하는 사람이라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어디 취직이라도 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봉하에 오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런 봉하에 강 회장은 매주 하루씩 다녀갔다.
그런 강 회장이 구속이 되었다. 아는 사람들은 그의 건강을 걱정한다. 제발 제 때에 늦지 않게 치료를 받고 건강하게 다시 볼 수 있기를 바란다.
면목 없는 사람 노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