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ry everything Oct 20. 2023

금이 가다.

엄마와 아들 사이에

"얘들아, 1페이지에 있는 관용표현 중에서 퀴즈를 낼 거야. 선생님이 뜻을 말할 테니 표현을 맞혀봐."

사이나 관계가 틀어지다.


"절교!"

"아니, 관용표현 중에서 답해야지. 관용 표현이 뭐라고 했죠?"

"둘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그 낱말의 원래 뜻과 다른 새로운 뜻으로 쓰이는 표현이요."

"그렇지, 절교는 단어가 한 개잖아. 그리고 1페이지에 있는 표현이야."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땡!"

"하루에도 열두 번?"

"그건 방금 '매우 자주'라고 배웠잖아. 얘들아, 생각하고 말해야지. 아무거나 말하면 안 돼요."

수많은 오답 끝에 결국 첫 글자 힌트를 준다.

"이것은 금으로 시작해."

"금이 가다!"

"딩동댕!"


이럴 일인가 싶게 꽤 먼 길을 돌아서 답을 맞혔다. 또다시 등장하는 라떼 시절에는 속담이나 관용구를 많이 알았는데 요즘 아이들은 생각보다 잘 모른다. 관용표현보다는 줄임말과 외래어, 비속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작년에 3학년을 가르칠 때도 비슷한 상황이라 딸에게 양해를 구하고 집에 있는 속담 만화책을 학급에 비치해 놓기도 했다.




다음 활동으로 넘어가려는 찰나 한 아이가 손을 번쩍 든다.

"선생님!"

"응?"

"저 이거 엄마한테 들어봤어요."

"뭘 들어봤다고?"

"금이 갔다요."

아이는 기쁠 것도 없어 보이는데 얼굴에 웃음기를 가득 머금고 이야기한다.

"제가 게임도 몰래 하고 숙제도 안 하고 그래서 엄마가 저한테 신뢰에 금이 갔다고 말했어요."

"아... 엄마가 그렇게 말씀하셨다고?"

"네!"

"엄마한테 이런 말을 들었다면 심각한 거 아니야?"


아이도 그 당시에는 매우 심각한 분위기 속에서 잘못했다고 반성을 했겠지만 지금은 천진난만하게 발표를 한다. 의도치 않게 학생의 가정생활을 엿봤다. 냉기가 감도는 방에 있는 엄마와 아들이 떠 오른다. 듣던 아이들도 나도 그런 적 있다며 고개를 끄덕인다. 말이 나온 김에 핸드폰 사용이나 게임 사용 시간을 줄이라고 한 마디 덧붙인다.




관용표현을 익히니 아이들과 하는 말에 재미가 생긴다.

친구가 돈을 빌려가서 안 갚는다고 하소연하는 아이에게는

"봐봐, 선생님이 친구 사이에 돈은 빌려주지도 말고 빌리지도 말라고 했잖아. 돈은 앉아서 주고 서서 받는다, 알지? 지금 이런 상황이야. 아이고."


모둠 활동을 하는데 교실 저 편에서 말소리가 들려온다.

"얘들아, 우리 머리를 맞대고 이야기하자."


아이들이 배운 표현을 까먹지 않고 상황에 끼워 맞추는 모습을 보면 웃음이 나기도 한다.

오래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지만.

매거진의 이전글 그럼에도 뉴스 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