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날마다 소풍 Nov 28. 2019

남의 나라 명절, 그 헛헛함에 대하여

미국인들의 명절, 추수감사절이 유난히 차갑게 느껴지는 날

내일이 온 동네가 터키를 굽는, Thanksgivoing 즉 추수 감사절이다.

올해는 가족이 더 그리운지, 추수 감사절이 유난히 더 차갑게 느껴진다.




Thanksgiving은 Christmas와 함께 미국인들에게는 가족이나 지인들이 함께 모여 커다란 터키를 비롯한 thanksgiving 음식들로 차린 만찬을 함께 하며 특별한 시간을 갖는 큰 명절이다.

우리나라처럼 고속도로가 꽉 막히고 기차표를 사기 위해 줄을 서는 대단한 번접함까지는 아니지만 그 추수 감사절과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가족을 찾아 떠나느라 공항이 북적인다.

그리고 마켓마다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 카트에 필요한 것들을 가득 채운 사람들이 계산대 앞에 줄은 서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을 떠나고 처음 맞는 한국의 명절이 다가왔을 때, 분주하게 명절을 지내는 가족들에게 미안함이 들었지만 그 북적거림과 거리가 있는 것이 홀가분하게 느껴졌다. 

지금은 미국과는 상관없는 설이나 추석에는 별다른 감흥 없이, 간혹은 설날이나 추석 날인지도 자각하지 못한 채 지나곤 한다.

반면에 이제는 미국의 절기에 적응이 된 모양인지 미국의 명절이면 오히려 가족들이 생각이 더 간절해진다.


추수 감사절이나 크리스마스가 되면 가족이나 친척들이 모여 집 밖으로 왁자지껄 떠드는 소리가 새어 나오거나 다른 친척네 집으로 가서 불이 꺼진 동네 이웃집들 사이에 오도카니 혼자 조용한 우리 집이 적적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조금 과장된 듯한 표현으로, 마치 성냥팔이 소녀가 창 밖에서 서서 집 안의 따스한 불빛과 사람들의 웃음을 보며 더 춥고 쓸쓸했을 그 차가운 밤 한가운데 서 있는 기분이 든다.

 

물론 미국에 다른 가족들이 없는 지인 가족들과 일부러 모임을 만들어 저녁을 먹거나 작은 파티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또한 품앗이처럼 서로 합의 하에 의도적으로 계획해야만 가능하다.


한국에 있을 때는 미리 약속을 하지 않아도, 계획을 세우지 않아도 명절이 되면 자연스럽게 온 가족이 모이고 친족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당연한 것이었다.

그런 당연한 명절의 분주하고 피곤한 과정이 가끔은 싫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너무나 익숙해서 소중한 줄 몰랐던 한국 명절의 북적임과 극성스러움이 그립다. 


남의 나라 명절을 맞아 내 나라의 명절에 대한 그리움이 조용하게 스며들 때면, 내가 태평양 건너 먼 남의 땅에 있음을 깊이 실감하게 된다. 




남의 나라에서 살면서 맞이하는 남의 나라 명절이면 유난히 마음이 헛헛하다.

일부러 만든 모임과 품앗이 저녁도 채우지 못하는 구멍 틈으로 그리움이라는 찬 바람이 들어오는 탓에 괜스레 울적해진다.


사람은 익숙하고 소중한 것들과 멀어지고 나서야 그것의 소중함을 알고 그것을 그리워하게 되는가 보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국에서 한쿡 아이가 아닌 한국 아이로 기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