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이디 Jan 11. 2020

우리들의 타이완

우리의 미래는 우리가 결정합시다.


일본인 동료의 한마디가 가슴을 쳤다.

'와따시타치노 타이완(우리들의 타이완)'




2020년 1월 11일 토요일, 시각은 오전 8시 반, 보통 토요일 오전 이 시간대의 타이페이 거리는 한산하다 못해 인구 260만의 대도시가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로 황량한 풍경을 조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오늘은 그렇지 않았다. 만 18세 이상의 대만 국적의 성인이라면 누구나 행사할 수 있는 총통 선거의 투표날 아침이었기 때문이다. 내가 처음 타이페이에 왔던 4년 전에도 총통 선거가 있었다. 국민당의 마잉주 총통이 물러나고 민진당 진보 노선의 여성 총통 차이잉원이 탄생하는 순간을(천수이볜 이후 첫 민진당 출신의 총통이고 첫 여성 총통이다.), 타이페이 장기 거주의 첫 시발점이 시작된 그 해 나도 함께하고 있었다. 물론 지금까지 내가 타이페이에 있으리라곤 상상조차 못 했지만.



사실 나는 나 스스로도 뼛속 깊이 대한민국 국민이라 믿어 의심치 않고 *루로우판 보다 비빔밥이 더 좋으며, 설사 이 나라에 오래 살게 된다고 해도 국적을 바꿀 생각은 전혀 없다. 대만에서 재외국민 투표가 시작되고 첫 투표가 있던 날 버선발로 *대표부에 띄어갔던 여자가 바로 나다. 그렇기에 자동적으로 선거권이 없는, 그저 경제적 이익만을 위해 장기로 거주하고 있는 병의 입장에선 투표가 그리 크게 와 닿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나는 좀 유별난 회사와 그 회사에서 만난 특별한 동료들을 두고 있던 터라, 최근까지 투표에 관련된 많은 생각과 그에 관련된 이슈를 날것 그대로 느낄 수 있었다. 투표 전날 회사 내부 메신저에서는 회사 세미나 실에서 함께 개표 결과를 보자고, 도저히 집에서는 결과를 볼 수가 없을 것 같다는 동료의 피드도 있었고 다른 한 동료의 인스타 스토리의 문구엔 ‘투표하자! 우리의 미래는 우리가 정하자!’라는 텍스트도 보였다. 무엇보다, 투표 전날 밤 퇴근을 하는데 우연히 같은 방향의 지하철을 함께 기다리게 된 또 다른 동료 한 명이 내게 이렇게 말을 했다. ‘FB나 IG를 못하게 되는 건 싫으니까.’ 내가 설마 그럴 일이 있을까 하는 반문을 하니 고개를 설레 설레 흔들며 정말 그렇게 될지도 모른다고, 중국을 보라고, 우리는 그런 삶을 원하지 않는다는 걱정스러운 그의 표정도 보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대만의 총통 선거에 큰 관심이 있는 모양인지 네이버 메인에도 커다랗게 기사가 뜨는 것을 보고 정말 세월이 많이 흐르긴 흘렀다는 것을 실감했다. 내가 처음 대만에 자원봉사를 하러 가겠다는 말에 ‘대만? 거기 중국 아니야? 중국에 왜 가?’라는 말을 들었던 것과 지금을 비교해보자면, 세상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믿게 된다. 홍대 거리에 가면 대만의 먹거리가 이젠 익숙하게 보이고 티브이를 틀면 대만의 각종 명소가 나온다. 대한민국 사람들도 대만이 더 이상 중국의 일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생겼다.






창이 커다란 집 근처 스타벅스에 앉아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내 눈에, 아이의 손을 잡고 밝게 웃고 있는 두 젊은 부부의 표정이 비친다. 내가 언제까지 이 곳에 있을지는 모르지만 적어도 이 곳에 있는 지금 이 순간만큼은 대만인들의 희망이 곧 밝은 미래로 이어지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타이완, 찌아요우!



*루로우판: 滷肉飯,대만식 돼지고기 덮밥, 대만 로컬 음식 중 아주 대표적인 음식.

*대표부: 한국과 대만은 수교 국가가 아니기에 '대사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작가의 이전글 이방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