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reebird Feb 07. 2022

맘모스와 매머드

(방송국에 살다보면)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맘모스'와 '매머드'가 같은 거란 사실을 3년 전에야 알았다. 어느날 커피숍에서 음료를 기다리며 mammoth coffee라고 적힌 간판을 물끄러미 보다가 무릎을 친 것. 혹시 매머드가 맘모스인가?? 맞구나!!! 난 40년 넘게 맘모스는 맘모스고 매머드는 매머드인줄 알았는데... 알파벳으로 된 원어 표기를 보고서야 알게 된 것.

이 착각(정확히는 무식)을 굳이 변명하자면, 어릴적 맘모스라는 말은 대부분 좋은 단어에 붙었다. 맘모스빵(이 달콤한 빵에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맘모스수영장, 맘모스백화점... 기억 속 백화점 로고도 마치 둘리같이 생긴 하늘색 아기코끼리였다. 상아가 무시무시하게 뻗어있는 매머드 이미지와는 정반대였다.  발음부터 귀엽지 않은가. 윤석열 선대위를 매머드급이라고 하지 맘모스급이라고는 안 하지 않나.

일본식 발음이었던 맘모스를 매머드로 쓰게 된 게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다. 외래어, 외국어 발음을 현지, 원어 발음에 가깝게 하면서 나같은 지각생이 생긴 것.   

그 원어가 영어가 아닐 경우는 더 복잡해진다. 알레르기, 알러지 한동안 뭐가 맞냐를 놓고 격렬했던 걸로 안다. 둘 다 엄연히 있는 발음(독일어-영어)이니까. 영어만 좇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 때문에 왠지 알러지라고 해야 유식한 사람 대접을 받는 분위기도 있었던 것 같다. (물론 반대의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꼴값 떤다'고 내심 조롱하기도 했지만)

한자를 쓰는 중국어의 경우는 더하다. 오랜 기간 우리 한자 독음으로 사용해왔던 지명, 인명은 뇌리에 박혀있는데 요즘은 또 원칙이 그게 아니기 때문이다. 덩샤오핑보다는 등소평이 익숙한데 시진핑을 습근평이라고 하면 알아들을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조선중앙TV를 즐겨보는 사람이 아니라면.)  흑룡강성이라고 말하면 어른들은 대부분 어디 있는지까지도 잘 안다. "맞아, 우리 손주 봐주는 그 이가 흑룡강성 사람이야. 연변 윗쪽에 있잖아." 그런데 헤이롱장이라고 하는 순간 대번에 "그건 또 어디여?"라는 반응이 돌아올 것이다. 중경과 충칭, 성도와 청뚜, 심양과 선양 다 마찬가지.

일관성이 없는 경우도 있다. 타이완은 대만이라 하지만 타이베이를 대북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이준석 말마따나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할 지.   

원어 발음에 가깝게 옮기는 큰 방향은 사실 맞다고 본다. 미국인이 우리 발음이 어렵다며 내 이름을 대충 뭉개서 제멋대로 부르는게 불쾌한 것처럼 우리도 마찬가지여야 한다. 그러나 위의 경우들처럼 헷갈리는 일이 많은 것도 현실이니 참 어렵다. 더구나 말과 글을 업으로 사는 나한테는. 뉴스 시간 코앞에 두고 1분1초 바빠죽겠는데 알레르기가 맞냐 알러지가 맞냐, 야 그럼 이데올로기도 이디알러쥐라고 쓰냐.. 머리에 쥐가 난다.

한글이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이런 어려움이 더 한 것 같다. 중국어는 표의문자다 보니 외래어를 비슷한 발음의 한자로 바꾸면서도 뜻도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꽤 있어 흥미로운 적이 많다. 가장 잘 옮긴 외래어중 하나가 대만에서 쓰는 '탈구수'라는 말. '토크쇼'를 음역한 것인데 脫口秀라고 쓰고 '투어커우시우'라고 읽는다. 발음도 비슷하게 따왔지만 '입을 턴다, 벗는다, 허심탄회하게 털어놓는다'는 토크쇼의 뜻까지도 기발하게 잘 보여주는 단어다.

결론도 내지 못할 이야기를 주절주절 쓰다보니 국립국어연구원에 계신 분들도 참 어렵겠다 싶다.

이 와중에 네이버에 맘모스라는 단어를 쳐보니 곧바로 '맘모스 매머드'가 자동완성된다. 나처럼 헷갈린 사람이 또 있나보다. 위안이 된다.

작가의 이전글 이젠 부암동 주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