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비로소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느루 Jul 09. 2018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릴 때부터 융통성 없는 아이라는 말을 자주, 많이, 잊을만하면 들어왔다. 처음엔 뭣도 모르고 그 말이 남들과 다른 특별한 아이라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남들이 그 단어를 말할 때 쓰는 미묘한 뉘앙스 대신에 그 단어를 '대쪽같은 성격' 정도로 단어의 의미에만 집중했던 것 같다. 초등학교 때엔 작은 학교 탓에 3, 4학년 동안 한 선생님이 담임을 연거푸 맡기도 하셨는데 그 선생님은 내게 악감정이라도 있으셨던 건지 구구절절 칭찬의 끝에 항상 다 좋은데 '그러나' 융통성이 없습니다.라는 말을 꼭 붙여 가정통신문을 나눠주셨고 난 성적표 가득한 '수'에도 불구하고 늘 엄마에게 혼이 났다. 


"그러게, 선생님도 아시잖니. 융통성이 없다는 거. 엄마가 없는 소리하는 게 아니라니까."

"......"


엄마는 그렇게 학기가 끝날 때마다 내가 집으로 들고 오는 성적표를 보며 자신의 뜻을 알아주는 사람이 하나라도 더 있다는 것에 위안을 얻어 신난 듯 보였으나 난 아무리 곰곰이 생각을 해도 그게 왜 나쁜 일인지 알 수 없었다. 융통성이 없다니. 그게 도대체 뭐가 어때서. 융통성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가질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성질의 한 종류로 구분하지 않고 융통성이 없는 게 꼭 어디 도덕성이라도 하나 결여된 듯 구는 게 싫었다. 그렇게 나는 유별난 사람이 되고 마는 걸까. 


그럼 되고 말지 뭐. 나 스스로에게 따져 물으니 굳이 하나를 고르자면 난 유별난 사람이다. 그 사실에 대한 반감도 없고 더하자면 유별나지 않은 사람은 내게 매력 없는 사람처럼 느껴질 만큼 내가 가진 '유별남'에 대한 생각은 긍정적인 편이다. 그런데 내가 그런 사람으로 불리는 게 왜 싫냐고 하면 그건 유별난 사람이라는 딱지가 싫다기보다 그 어휘를 말하는 사람이 주는 태도, 어감이 싫기 때문이다. 일체의 감정적 판단을 제외한 '다르다'의 의미가 아닌 네가 다름으로써 다른 이에게 해악이 될지도 모르는 '다르다'의 유별남. 


그런 내게-다른 이들과는 다른 유별남을 가진-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말은 최후의 보루이기도 하고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벽이기도 하다. 세상에 100명의 사람이 산다고 하면 100개의 유별남과 100개의 다름이 있기 마련이니까. 그런 사람들이 어울려 살아가려면 응당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켜야 할 선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융통성 없는 내가 융통성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려 살기 위한 자기 방어의 수단인 것이다. 다수가 그러하기 때문에 내가 법을 어기고 규칙을 어기는 한이 있어도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면 난 어김없이 이 카드를 꺼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에 법이 있고 규칙이 있는 이유는 있다.'고.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같은 융통성에 지지 않는 나같은 사람이 있어도 괜찮을 만큼 이 세상엔 융통성 넘치는 남의 눈치만 보며 편승하는 이들이 많으니 나 하나 정도는 좀 건들지 말고 봐주라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나는 이 어지러운 세상에서, 다 저만  옳다고 여기는 세상에서, 공통의 선, 도덕, 가치, 법과 같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켜야 하는 것들을 발견해가며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가 소수를 억압하지 않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이 실제를 규정하지 않길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자가 규칙에 의해 희생을 강요받지 않길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거진의 이전글 월요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