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봉규 PHILIP Apr 09. 2021

[리모트워크] BCG 보고서

190여 개국, 209,000명 대상 설문

Remote Work, 원격 근무와 관련한 국내 관심은  뜸한 편이다. 반면에 미국은 뜨겁다. 최근 2주간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 The Nework 공동 연구 보고서 화제다. 190 개국 209,000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보고서 결론은 응답자 89% 원격 근무에 긍정하고 있고, 1주일 2 ~ 3 원격 근무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델을 가장 선호한다는 것이다. 보고서 내용  눈에 띄는 응답은 제품을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부서와 고객을 밀접하게 접촉하는 부서에서도 가끔은 원격 근무가 필요하다고 응답 했다는 점이다.


ps://www.helpnetsecurity.com/2021/04/09/remote-work-preference/



미국 사정은 분명 국내와는 다르다. COVID-19 대유행이 아니었어도 원격 근무는 대략 5백만 명이 참여했다. 여기에 지역 내 지역 간 이동 거리가 우리와는 판이하게 달라 원격 근무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코로나 팬데믹 현상으로 인해 이 시기가 앞당겨졌을 뿐이다. 하지만 이런 진단은 너무 순진한 생각이라는 것을 깨달았는가 보다.


코로나 대유행으로 75백만 명이 원격 근무에 참여했고, 생산성도 떨어지지 않은 것이다. 해서 대유행이 잠잠해진다 해도 코로나 이전(Before Corona)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아니 코로나 이후(After Corona) 시대 일하는 방식으로 리모트 워크를 어떻게 안착시킬 것인지를 다방면에 걸쳐 탐구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는 아직  부분에서는 둔감한 듯싶다.


다시 보스턴 컨설팅 그룹 연구 보고서로 돌아가 환기할 만한 몇 가지 사항을 짚어 보면 아래와 같다.



리모트 워크, 하이브리드 모델 선호에 담긴 속내는 '근무 유연성'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사를 비롯한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은 영구적인 원격 근무 또는 그에 상응하는 근무 규정을 마련하는 중이다. 이런 원격 근무 지침 움직임에 골드만 삭스 David Solomon CEO 연례 주주 서신에서 '일탈'(aberration)이라고 표현했다. 게다가 David CEO 오는 8 신규 인턴 직원 모두를 사무실로 출근 시키겠다고도 말했다(CNBC Eric Rosenbaum report. 2021.4.7.).



리모트 워크, 선진국 선호는 낮고, 개발도상국은 높다. 덴마크 7% · 스위스와 프랑스 8%, 필리핀과 아프리카 일부 국가 40%, 이에 반해 미국35% 점은 '도시 생활비' '출퇴근 시간'  변수로 작용한 결과이다.



③ 직장에 대한 가치 변화. 동료·상사와 좋은 관계 유지, 일과 삶의 균형은 지난 2018년 BCG 조사 결과와 우선순위 항목에서 여전히 상위권에 올라 있다. 단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랭크업 된 항목은 바로 '급여'였다. 이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한 실존적 위기를 체험하는 과정에서 '일자리와 안정적인 수입'이 행복 지표로 발돋움한 것으로 보인다.


이보다 더 놀랄만한 결과는 '경력 개발'과 '기술 훈련'과 같은 장기적 가치에 대한 선호도는 급격히 하락했다는 점이다. 해서 보고서는 이를 고려한 조직 관리와 인재 개발 전략을 대폭 손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④ 기업의 사회적 가치. 향후 구직자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는 전망 아래 다양성 존중 · 기후 협약 · 환경 보존과 같은 공동체를 유지하는 가치에 매우 민감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해서 이 분야 정책이 구직자 개인의 신념과 부합하지 않거나 약속을 지키지 않을 때는 일자리 제안을 거절할 수 있다고도 전했다.





BCG 보고서가 국내 리모트 워크 환경을 충실하게 대변한다고   없다. 하지만 선행 지표로서 삼을만 하다.


리모트 워크 하이브리드 모델과 관련한 계획에는 직장에 대한 가치 인식 변화를 충분히 검토하고 고려한 조직 관리 방안까지 포함해야 한다. 단순히 2 ~ 3일 재택근무 지침만으로는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에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리모트 워크 시대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한 성찰을 비껴가서는 안될 듯싶다. 선행지표로 BCG 보고서가 내다본 미래는 숨은 인재를 발탁할 수 없거나 인재가 떠나는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모트워크 #BCG보고서 #하이브리드모델 #근무유연성 #직장가치 #기업의사회적가치






매거진의 이전글 [온라인 TRUST 회의] 줌 비즈니스 계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