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봉규 PHILIP Apr 30. 2021

[구글 스프린트] 문제해결 · Reflection

디자인 스프린트 27.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 세 차례 테스트를 모두 마쳤다. 참여 인원은 모두 8분 이었고, 타깃으로 선정한 인사 · 교육 담당자여서 이 점은 목표 달성을 했다. 또한 이번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젝트를 가지고 진행하면 정말 좋은 효과가 나올 것 같다" 라는 반응과


"의사결정자로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를 생각하게 됨" 이라는 반응은 고무적이었다. 하지만 세 번째 테스트에서 실수가 있었다. 다름아닌 참석자 피로도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이 점은 앞서 두 번의 테스트와는 다른 반응이었다. 1시간 정도까지는 웃음꽃이 필 만큼 화기애애 했다. 하지만 쉬는 시간 없이 강행한 점은 무리수 였다. 오죽하면 '재미 없어서가 아니라 체력이 딸려요~'라는 말에서 아차 싶었다. 분명 테스트 계획 때 짚었던 부분여서 아쉬움이 더욱 컸다. 아마 앞선 두 번 테스트에서는 없었던 반응여서 둔감해졌는가 싶다. 성찰이 필요한 대목이다.




3rd 테스트 개요


① 장기 목표: 브랜드 스프린트 과정을 온라인으로 구현한다.


② 스프린트 질문:


(1차 테스트) 브랜드 스프린트 과정을 어떻게 하면 자기계발 즉, 개인 브랜딩 온라인 워크숍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까?


1차 테스트 후 아래와 같이 질문을 수정한 후 2차 테스트, 

https://blog.naver.com/hfeel/222326586843 )


2차 테스트 후 아래와 같이 질문을 수정한 후 3차 테스트,

https://blog.naver.com/hfeel/222326844305 )


(1차 테스트 질문 수정) 브랜드 스프린트 과정을 어떻게 하면 팀 워크 즉, 팀 브랜딩 온라인 워크숍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으로 바꾸고, 이 이름으로 3차 테스트를 치룬 후 확정지으려고 한다.


Answer, 브랜드 스프린트 온라인 버전 명칭을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으로 확정지으려고 한다. 3차 테스트 회고와 성찰에서도 이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젝트 팀' 또는 '한 팀을 맡을 팀 리더에게 유익하다'라는 결론을 얻었기 때문이다.



(2차 테스트) 어떻게 하면 브랜드 스프린트 '온라인' 참여자가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가지고 가게 할 수 있을까?


(3차 테스트 질문) 어떻게 하면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 참여자가 팀 브랜딩 요소를 이해할 수 있을까?


Answer, 팀 브랜딩 요인으로 꼽은 것은 팀 로열티 · 팀 인식 · 팀 지각 품질 · 연상 이미지 네개였다. 사실 정확하게 이 네 요인을 참여자가 인식했는지 여부는 판단이 서지 않는다. 다만 두 번째 테스트 때는 이 요인를 자연스럽게 전한 반면 이번 세 번째 테스트 때는 끼워 맞추는 듯 한 인상을 남긴 것도 같다. 프레임에 내가 갇힌 결과다. 덧붙여 팀 브랜딩에 대한 의미를 좀 더 간략하게 할 필요를 깨달았다.



(2차 테스트) 어떻게 하면 브랜드 스프린트 '온라인' 각 단계별 연관성을 갖게 할 수 있을까?


(3차 테스트 질문) 팀 브랜딩 스프린트 6단계 활동 간 의미를 어떻게 하면 '본질적 요소 · 식별가능 요소 · 차별 및 상징 요소'로 구분해 전달할 수 있을까?


Answer, 이 역시 세 요소 역시 프레임에 갇힌 듯 싶다. 각 단계 활동 소감을 물었던 앞 두 차례 테스트와 달리 이 활동 의미가 팀 본질에 다가서기 위한 것이다. 상징 요소다 등등으로 전달하는 데 급급했던 것 같다. 성찰이 필요한 지점이다.


테스트 1차. 프로토타입



테스트 2차. 프로토타입



테스트 3차. 프로토타입



세 차례에 걸친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 과정 총평은 절반의 성공 하지만 만족할 수 없다라는 것이 입장이다. 마치 블루보틀(세 종류 프로토타입은 모두 실패했다. 하지만 두 종류 프로토타입에서 얻은 장점을 제대로 살렸다)과 슬랙(두 스프린트 질문에 하나는 '그런대로 잘' '아니다 ... 아마도'가 답변이었다. 하지만 슬랙은 프로토타입부터 다시 시작했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냈다)이 겪었던 그 지점에 나도 도착해 있는 듯 하다.



첫째, 프로그램 본래 의도 즉, 특정 프로젝트와 팀 리더 또는 의사결정자로서 갖춰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깨달았다는 점.


둘째, 피드백 보다 반응에 초점을 맞추라는 제이크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한 점. 반응에 초점을 맞추니 성찰이 자연스럽다. 피드백에 초점을 맞췄다면 내가 왜 그랬지, 왜 실수를 했을까라며 자책하기에 바빴을 것같다.



팀 브랜딩 스프린트 테스트 결과


3rd 테스트 개요


① 장기 목표: 브랜드 스프린트 과정을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으로 구현한다.


② 스프린트 질문:

(최종 질문)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 참여 결과물이 팀 브랜딩 네 요인이라는 점을 어떻게 이해시킬 수 있을까?


(최종 질문)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 여섯 단계 활동 의미가 브랜드 구성 세 요소 즉, 본질적 요소 · 식별가능 요소 · 차별 및 상징 요소라는 점을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을까?


(추가 질문) 어떻게 하면 이 팀 브랜딩 스프린트 온라인 과정이 특정 프로젝트 또는 팀 리더에게 효능감이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을까?



스프린트 27. 테스트 반응은 성찰할 점, 피드백은 개선점을 얻는다. 성찰은 학습 동기로 쓸 수 있지만 개선점은 자칫 자책으로 빠질 수 있다.



#BigProblem #어려운문제 #Remotework #리모트워크 #SPRINT #스프린트 #문제해결 #프로토타입 #테스트 #실전 #팀브랜딩스프린트













매거진의 이전글 [구글 스프린트] 문제해결 · Test ③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